젠슨 황 CEO "향후 5년 간 AI 통해 모든 분야가 자동화 될 것"···산업 현장에 스며든 IT 기술

디지털 전환에 대한 요구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산업 고도화를 이끄는 기술 기업에 대한 투자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술이 솔루션 개발에 드는 도입 비용과 시간을 단축하고, 핵심 업무에 집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업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AI, 드론, 클라우드 등 핵심 경쟁력을 바탕으로 산업 변화를 주도하는 스타트업이 점차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초분광 영상 처리 기술과 AI 기술을 결합한 솔루션 ‘스펙트럴AI’
국내 시장 규모 126조원, 연평균 5.3%씩 성장 중인 식품제조업계는 최근 밀키트와 간편식 수요가 증가하면서 식품 제조 시설 또한 수요에 맞춰 증설되는 추세다. 식품 제조 기업 특성상 이물질 혼입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많은 선별 인원을 투입하거나 금속검출기와 X-RAY를 도입해 왔지만 금속, 돌, 유리, 플라스틱, 고무, 벌레 등의 이물질을 선별해 내는데 한계를 보였다. 엘로이랩은 인공지능과 초분광 카메라라는 특수 카메라를 이용해 식품 공정 중 발생하는 이물질을 검출하는 솔루션을 개발했다.

엘로이랩은 산업은행 넥스트 원 2기, 서울대 캠퍼스 타운 오스카에도 선정된 바 있으며, 2022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에 참가해 기존 솔루션보다 3배 이상 빠르고 4~6배 정확한 스펙트럴에이아이 검사 기술로 눈길을 끌었다. 지난해 11월엔 CJ 제일제당 밋업 선정으로 MOU, NDA 협약을 맺었으며, 향후 CJ제일제당 등 파트너사와의 협력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기업의 IT감사 업무를 자동화하는 ‘쿼리 스태커’
2018년 외부감사법이 개정됨에 따라 2025년부터 국내 모든 상장사와 연결 기업은 외부감사인으로부터 기업의 내부통제를 감사 받아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많은 이슈로 보고된 부문은 회계감사 시 수행되는 IT감사 관련 사항들이었다. 지금까지 내부회계관리제도 이행을 위한 내부통제 업무를 지원하는 전용 솔루션이 없었기 때문에 많은 인력과 시간을 투입했음에도 이행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이마저도 여력이 되지 않은 기업은 의도치 않게 IT 시스템 관련 내부통제 미비점으로 감사인의 지적을 받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ACE: Automated Test Evaluator’는 회사 내 통제 수행에 대한 평가를 80~100% 수준까지 자동화하여 업무에 투입되는 인력과 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향후 다양한 분석 시나리오 개발이 된다면 이 솔루션들은 기업의 위기관리에 전환점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로그스택은 국내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기업 3곳과 POC 단계에 착수했으며, 점차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
태양광발전소 시설 검사, 관리를 위한 항공 열화상 플랫폼 ‘솔빛’
블룸버그NEF는 2018~2050년 글로벌 태양광 발전 설치량이 8%에서 40%까지 급성장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기후 위기 대응이 중요해짐에 따라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태양광, 풍력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력거래소가 발간한 2021년도 전력계통운영실적을 보면 태양광 발전 설비 용량은 24.6%, 풍력 발전 설비 용량은 4.4% 증가했다. 태양광 발전 설비가 증가함에 따라 발전소 시설 정비를 위한 검사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의 인재 채용을 돕는 SaaS 솔루션 ‘나인하이어’
MZ 세대가 노동 시장의 키를 잡은 세대로 부각되면서 대기업, 스타트업을 비롯한 모든 기업들이 인재 영입 전쟁을 치르고 있다. MZ 세대는 평생 직장 개념 대신 자신의 역량 강화와 성장을 위해 2~3년 주기로 이직을 하는 추세다. 잦은 이직으로 인해 기업에서는 채용에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는데도 불구하고 인재를 놓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2021년 출시 이후 현재 500여곳의 고객사가 사용 중이며, 스타트업, 중견, 대기업군에서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특히 전담 채용팀이 없거나 채용팀 인원이 적은 스타트업 고객사가 70% 이상 달한다. 단순 반복적인 채용 업무를 자동화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지원자를 모집하고 평가하는 등의 채용의 본질적인 업무를 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쓰고, 그로 인해 채용 성과를 높일 수 있게 했다는 평이다. 공개 채용이 줄고 상시 채용이 확대돼 기업용 채용 솔루션을 찾는 고객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채용의 속도와 정확도를 높이는 기능으로 계속해서 업데이트해 나갈 예정이다.
khm@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