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신윤경 대학생 기자] Open AI가 내놓은 생성형 인공지능 AI ‘ChatGPT’는 출시 이후 연일 화제를 몰고 있다. ‘ChatGPT’는 대화 전문 인공지능 챗봇이다. 공개 후 두 달 만에 월간 활성 이용자 수 1억 명을 돌파하며 전 세계적인 돌풍을 이끌었다. 국내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국민 3명 중 1명이 이용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ChatGPT의 영향력을 실감한 다수의 글로벌 기업은 생성형 인공지능 시장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구글은 ‘바드(Bard)’ 출시를 밝혔고, 마이크로소프트는 검색 사이트 ‘빙(Bing)’에 ‘ChatGPT’기능 탑재를 예고했다. 국내 기업들도 발 빠르게 움직인다. 카카오는 ‘다다음(ddmm)’을,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 출시를 예고했다.

많은 분야에 영향을 미쳤지만, 채용업계는 눈에 띄는 변화의 움직임을 보인다. ChatGPT를 통해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는 사례들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전문가에게 ‘ChatGPT’가 채용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는지, 또한 ‘ChatGPT’를 이루는 생성형 인공지능인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이환희 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AI 학과 교수를 만나봤다.
[자기소개서 시대의 종말? : 챗GPT 등장 이후의 채용 환경 ①] ’ChatGPT’ 도대체 정체가 뭐야?, 이환희 중앙대 AI학과 교수에게 묻다
인공지능의 정확한 정의가 무엇일까요
“인공지능을 너무 무겁게 생각하지 말고 무언가 자동화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인공지능이라고 생각해요. 사전적인 정의는 ‘인간의 지능이 가진 학습, 추리, 적응 따위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이죠. 그런데 AI를 연구하는 입장에서 이렇게 생각해요. 결국 우리가 하고자 하는 것은 인간의 뇌를 모방해서 무언가를 하고 싶은 건데 그런 측면에서 보면 무언가를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을 자동으로 하는 형태들을 포괄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합니다.”

일반 시민 입장에서 일상생활 속 인공지능을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사실 생각해 보면 인공지능이라는 것이 지금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니라 우리는 이미 꽤 오래전부터 인공지능의 도움을 많이 받으며 살아왔다고 볼 수 있죠. ‘ChatGPT’ 때문에 인공지능에 놀랐지만, 알파고 때도 그랬고 기술이라는 것은 사람들의 삶에 계속 스며들어 있죠. 실제로 우리가 제일 쉽게 접할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핸드폰 어플을 통해 사진을 찍으면 바로 보정해 주는 거예요. 그것 자체도 결국 일종의 인공지능이라고 볼 수 있어요. 보정을 자동으로 해주잖아요. 실제로 저희 분야에서 연구하는 것 중 하나도 저해상도 사진을 고해상도로 복원하는 것, 흑백사진을 컬러사진으로 복원하는 것이 있어요. 이런 것도 실제로 인공지능의 하나죠. 그 외에도 자율주행이나 인공지능 스피커도 이미 우리 삶 속에 스며들고 있죠. 그렇기에 인공지능 기술이 급격한 변화보다는 지속해서 우리 삶에 있었다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이 많은 이슈인데요. 앞서 우리 삶 속에 스며든 인공지능과 생성형 인공은 어떤 면이 다를까요
“인공지능은 어떤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고 새로운 창작물을 만들 수 있죠. 창작물이 아니더라도 언어든 이미지든 생성할 수 있어요. 아니면 언어나 이미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죠. 그런데 판단을 하는 문제는 상대적으로 조금 쉬워요. 예를 들어 이미지에선 개나 고양이를 구분하는 문제가 있을 것이고 텍스트를 예로 들면 어떤 영화 리뷰 댓글이 달려 있을 수 있죠. 그 댓글이 이 영화에 대해서 긍정적인 리뷰인지, 부정적인 리뷰인지 이런 걸 판단할 수 있어요. 보통 이런 경우가 쉬운 경우예요. 거기서 더 나아가 반대로 되는 것이 생성문제로 볼 수 있어요. 생성형 인공지능이 없었던 것은 아니에요. ‘ChatGPT’는 이미 2년 전에 공개됐던 기술이에요. 결국 지금의 ‘ChatGPT’는 인공지능이 학습할 수 있는 엄청 좋은 데이터가 축적되면서 업그레이드를 한 결과에요. 여기서 말한 데이터라는 것이 사람이 만든 데이터에요. 모든 인공지능이 기본적으로 사람이 만든 데이터로 학습되는 것이 맞지만, ‘ChatGPT’ 같은 경우 사람이 피드백도 줘요. 한 모델이 생성한 결과물이 1부터 5까지 있다고 하면, 이 결과물에 사람이 순위를 매겨요. 그럼 그 순위를 매긴 데이터를 추가로 계속 업그데이드 하죠.”

‘ChatGPT’가 뭘까요
“ChatGPT 뜻을 풀어보면 Chat은 채팅을 얘기해요. GPT같은 경우에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약자에요. Generative는 생성의 의미를 갖고, Pre-trained은 사전학습이라는 의미를 갖죠. Transformer은 모델 이름이에요. 자연처리 분야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죠. 특별히 변형이라는 의미를 담지 않고 언어모델이 만드는 가장 기본이라고 볼 수 있어요.”

‘ChatGPT’는 어떤 식으로 탄생하나요
“ChatGPT는 사전학습언어모델의 특징이 있어요. 기존의 인공지능과 달리 자기 지도 학습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는 거예요. 문장이 단어의 10개 정도로 이뤄져 있다고 할 때, 다섯 번째까지 단어를 주면은 여섯 번째 단어는 예측하도록 하는 거죠. 쉽게 말해 이전 단어를 주면은 그다음 단어를 예측하도록 하는 것이 자기 지도 학습이에요. 이 자기 지도 학습을 바탕으로 한 사전학습언어모델로 무수히 많은 데이터를 만들어 학습하죠. 이렇게 사전학습을 엄청나게 많이 해요, 그리고 추가로 사람이 순서를 매긴 레이블링도 포함돼 그 데이터를 가지고 추가로 학습하면은 ‘GPT’가 탄생해요. 이 GPT라는 모델이 정확하게 얘기하면 5년 정도 전에 나왔어요. 그 모델이 계속 업그레이드돼 GPT1, GPT2, GPT3이 된 거죠. 현재 ‘ChatGPT’를 GPT 3.5라고 불러요. 그렇게 사전학습기술로 계속 발전시켜 데이터를 많이 쓰고 모델의 사이즈를 키운 거죠. 그래서 요즘 초고대 언어라고 많이 써요. ‘ChatGPT’가 일종의 초고대 언어모델의 일종이죠. 엄청 큰 모델과 엄청 많은 데이터와 사전학습 언어모델로 학습한 방법을 통해 학습하고 거기에 사람이 순서를 매긴 데이터를 활용해 추가로 학습해서 ‘ChatGPT’가 탄생하는 거예요. 이전 인공지능과 다른 점은 간단하게 말하면 엄청 큰 모델로, 엄청 많은 데이터를 활용하고 사람의 피드백을 반영하며 자기 지도 학습이라는 방식을 활용했다는 것입니다.”

채용 전형의 미래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요
“채용에서 자기소개서가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맞습니다. 어느 직군에 가나 자기소개서를 쓰게 되죠. 대학 입시부터 심지어 교수가 되기 위해서도 자소서를 써야 해요. 하지만 자기소개서에 가장 중요한 건 본인에 대한 정보라고 생각해요. 결국 컨텐츠죠. 본인이 어떤 대외활동과 교내활동을 했는지, 그래서 왜 이 회사에 가고 싶은지는 본인이 다 스토리를 짜야 한다는 거예요. 그런 면에서 보면 내용이 중요한 것이지 ‘ChatGPT’가 화려하고 수려하게 표현해주는 건 기존에 있는 첨삭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해요.”

채용방식의 변화가 올 거라고 생각하나요
“이 부분은 쉽게 예상할 수 없지만 애초에 자기소개서라는 것을 쓰는 이유가 채용하는 입장에서 보면 지원자의 배경을 보고 싶어 하기 때문이잖아요. 기업들이 자기소개서를 조금 더 간결하게 쓰라고 할 수는 있을 거 같지만 급격한 변화를 예상하긴 힘들 거 같아요. 글을 얼마나 잘 쓰는 경우를 판단하는 분야는 문제가 될 수 있지만 그런 경우에는 다른 방법을 통해 글 쓰는 능력을 볼 수 있는 과정을 거칠 거 같아요.”

앞으로 생성형 인공지능을 잘 활용하는 것이 기업이 바라는 인재상이 될 수 있을까요
“충분히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중요한 것은 결국 어떤 직군이든 기업 입장에서 같은 업무를 최대한 빠른 시 일 내에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인재를 원할 확률이 높아요. 그런 측면에서 이것도 결국 업무의 보조적인 성격을 갖고 활용해 빠르게 일할 수 있으면 좋죠. 실제로 프로그래밍 같은 것을 할 때 보통 검색을 많이 해요. 그런데 ‘ChatGPT’가 이런 역할을 잘해줘요. 프로그래밍도 옆에서 도와주고 기본적인 코드같은 것을 잘 짜주거든요. 그런 부분을 잘 활용해 빨리 좋은 결과물을 낼 수 있는 업무를 할 수 있다면 기업 입장에선 그런 인재를 싫어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해요.”

‘ChatGPT’를 어떻게 잘 활용할 수 있을까요? 교수님만의 활용법이 있나요
“활용법이라는 것이 특별하게 나와 있지는 않아요. 그렇기에 어떤 일에 써야 할지 본인이 명확하게 정해놓아야 해요. 본인이 많이 써보고 ‘ChatGPT’가 어떤 부분을 잘 해주고 어떤 부분은 잘 못 하는지 많은 경험이 필요하죠. 정확한 가이드 라인이 있다고 말하긴 어려워요. 또한 질문이 모호하면 안 돼요. ‘한국 대통령이 누구야?’ 이런 질문이 대표적인 모호한 질문이에요. ‘현재’라는 말을 붙이거나, 어떤 기간 동안 대통령이 누구냐고 명확하게 질문해야 해요. 결국 사람하고 대화하는 것과 같은 얘기죠. 잘 쓰는 것은 결국 사람마다 원하는 업무와 분야가 다르기에 본인이 필요한 분야와 업무에 대해 써보면서 적합하고 맞는 부분을 스스로 판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언제 주로 사용하나요
“어떤 특정 개념에 대해 물어볼 때 사용해요. 그 개념을 복습하기도 하고요. 아니면 수업 준비를 할 때도 ChatGPT는 어떻게 설명하는지 확인할 때도 있고요. 그 외에는 글을 써야 할 때 한 번씩 수정해보라고 해 검정을 하기도 해요.”

인공지능이 더욱 발전하면 직업이 사라질 수도 있다고 생각하나요
“직업이 없어지는 게 아니라 직업의 형태는 변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기자의 경우도 처음부터 끝까지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인공지능이 써놓은 것을 수정하는 형태가 효율이 좋으면 변할 수 있죠. 그런 식으로 변화해서 효율성이 높아진다고 생각하면 좋을 거 같아요. 실제로 이미 야구 기사 같은 경우는 문자중계데이터로 인공지능이 기사를 쓰는 것은 실제 존재하죠.”

인공지능이 어디까지 갈까요
“단순한 일은 많이 해줄 거라고 생각해요. 그렇지만 계속 말했듯이 인공지능이 완벽하게 처음부터 끝까지는 할 수 없어요. 콘텐츠는 우리가 만들고 정해야 하며 최종적인 검토 또한 사람이 해야 하기 때문이에요. 너무 특별하게 생각하지 말고 자동화의 정도가 높아지며 효율이 높아진다고 생각하면 돼요. 포토샵도 AI 기술이 들어가면서 훨씬 쉽고 정교하게 보정이 가능한 것처럼 기술이 발전해서 편해지는 거예요. 인공지능이 발전하면서 기술이 쌓여 더 많은 부분을 자동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거죠.”

jinho23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