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롭규칙 알아두면 편해요

레이를 하다 보면 가끔 드롭(drop)해야 할 상황에 맞닥뜨린다. 드롭은 골프에서 중요한 행위 중 하나다. 따라서 드롭으로 인해 희비가 엇갈리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드롭은 플레이어 본인이 해야 한다. 캐디에게 맡기면 안 된다. 드롭은 ‘똑바로 서서 볼을 들고 어깨 높이에서 팔을 완전히 펴서’ 해야 한다. 벌타가 따르는 상황이든, 벌타가 수반되지 않는 상황이든 드롭하기 위해 집어든 볼은 닦을 수 있다. 따라서 드롭하기 전에 볼을 깨끗이 닦는 것이 클럽헤드와 볼의 ‘클린 히트’를 위해 현명한 행동이다. 이 밖에 드롭할 때 알아두면 좋은 몇 가지 방법을 알아본다. 드롭한 볼이 지면에 박힐 때 규칙에 의거해 페어웨이에 드롭한 볼이 드롭할 때의 충격으로 지면에 박히는 수가 있다. 이 경우에도 낙하 충격에 의한 ‘피치 마크’에 들어가는 경우처럼 구제받을 수 있다. 재 드롭할 수 있는 것. 다만 페어웨이나 페어웨이 잔디 이하로 깎은 지역에 한한다.워터해저드에 빠져 후방에 드롭할 때 볼이 그린 앞 워터해저드(노랑 말뚝)에 빠져 1벌타를 받고 후방에 드롭하는 옵션을 취했다고 하자. 이 경우 많은 아마추어 골퍼들은 조금이라도 그린 쪽에 가까이 다가서려고 해저드 경계선 부근에 드롭한다. 그런데 해저드 경계선 부근은 왼발 내리막의 다운힐 라이인 경우가 많다. 볼을 잘 맞히지 않으면 볼이 뜨지 않아 또다시 해저드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이런 경우 5∼10m가 대수인가. 5∼10m 멀어지더라도 해저드 후방으로 쭉 나가 평평하고 라이가 좋은 곳에 드롭한 뒤 샷을 하는 것이 현명하다. 언플레이어블 볼 상황에서 볼과 홀을 잇는 후방선상에 드롭할 때도 마찬가지다. 경사지에서 드롭할 때 경사지에서 드롭하다 보면 볼이 낙하 후 멈추지 않고 굴러가게 마련이다. 볼이 최초로 낙하한 곳에서부터 두 클럽 길이 이상 굴러가면 재 드롭해야 한다. 재 드롭했는 데도 또다시 두 클럽 길이 이상 굴러가면 그때는 볼이 떨어진 지점에 볼을 놓고(플레이스) 치면 된다. 경사지는 대개 러프인 경우가 많다. 드롭한 볼이 굴러갈 것이 분명한 상황이라면 재 드롭-플레이스를 염두에 두고 ‘한 클럽 길이’나 ‘두 클럽 길이’ 내에서 볼을 떨어뜨리는 지점을 잘 선택하는 것이 다음 샷을 쉽게 할 수 있는 길이다. 그 지점은 라이나 스탠스가 괜찮고, 러프의 깊이가 비교적 얕은 곳이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길이 잴 때는 반드시 드라이버를 드롭 구역을 잴 때 ‘한 클럽 길이 내’와 ‘두 클럽 길이 내’가 있다. 이때 어떤 클럽으로 재느냐는 골퍼 마음이다. 그런데 14개의 클럽 중에서는 드라이버가 가장 길다. 가능하면 드라이버를 꺼내 드롭 구역을 재는 것이 규칙에서 허용하는 최대 범위를 이용하는 길이다. 드롭 규칙 정확히 알면 유리하다 드롭한 볼이 최초의 낙하 지점에서부터 ‘두 클럽 길이 내’의 지점에 멈추면 그대로 인플레이 볼이 된다. 많은 골퍼들이 드롭한 볼이 한 클럽 길이만 벗어나도 재 드롭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렇지 않다. 최초 낙하 지점에서 굴러간 거리가 두 클럽 길이 내라면 재 드롭할 필요 없이 그대로 플레이하면 되는 것이다.이 조항을 가만히 생각해 보면 드롭할 때 골퍼들이 유리하게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예컨대 볼이 ‘래터럴 워터해저드’(빨강 말뚝)에 빠져 1벌타 후 해저드 경계선에서 드롭한다고 하자. 이 경우 드롭은 경계선에서부터 두 클럽 길이 이내이고, 드롭한 볼이 굴러갈 수 있는 범위 역시 두 클럽 길이 이내다. 따라서 해저드 경계선으로부터 최대 네 클럽 길이까지 뻗어나가서 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볼이 카트 도로(움직일 수 없는 인공장애물)에 멈췄을 때는 ‘니어리스트 포인트’로부터 한 클럽 길이 내에 드롭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드롭한 볼이 낙하 지점으로부터 두 클럽 길이 내에 멈추면 인플레이 볼이 되므로 니어리스트 포인트로부터 최대 세 클럽 길이 이내까지 플레이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