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대 은행지고, 인터넷은행 뜬다···'1인당 생산성' 우리은행, 케이뱅크 절반 수준
굳건할 것 같았던 시중은행들이 인터넷은행에 생산성이 역전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1인당 이익이 가장 높은 곳은 케이뱅크, 가장 낮은 곳은 우리은행이었다. 입 · 퇴사자 역시 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시중은행은 줄고, 인터넷은행은 늘어나는 추세다. 2일 은행연합회에 공시된 각 은행의 경영공시 보고서에 따르면 5대 은행 가운데 올해 6월 기준으로 직원 1인당 이익(충당금 적립 전)이 가장 많은 곳은 하나은행(2억1,900만원)이었다....
2023.10.02 10:41:00
-
미국인 61% “노조 활동 경제에 도움된다”···2009년 이래 역대 최고치
미국인 절반 이상이 노조 활동이 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1일(현지시간) 여론조사업체 갤럽이 올 8월 진행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인 응답자의 61%가 '노조 활동이 경제에 대체로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갤럽에서 실시한 동일조사와 비교 시 2009년 이래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결과다. 이 조사에서는 응답자가 노조원인 경우에는 77%, 노조원이 아닌 경우에도 47%가 긍정적인 의견을 표시했다. 최근 전미자동차노조(U...
2023.10.02 08:22:56
-
"이젠 지하철 화장실 여유있게 다녀올 수 있어요"···'무료 재탑승' 10분→15분으로 확대
지하철에서 급한 볼일을 위해 개찰구 밖으로 나가도 '15분 내' 재승차하면 추가 요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 1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는 7일부터 '지하철 하차 후 재승차 제도'를 확대해 정식 도입한다. 지하철 재승차는 지하철역에서 하차 태그 후 기준시간 내 같은 역에서 다시 타면 환승을 적용해 추가 요금을 부과하지 않는 제도다. 기존에는 지하철을 타고 가다가 잘못 내려 반대 방향 플랫폼으로 넘어가거나, 화장실이 급...
2023.10.02 07:45:30
-
25년간 12명 사형 대기하다 사망···남은 59명 사행 집행될까
사형 선고가 확정됐지만 형이 집행되지 않아 대기하다 사망한 사형수가 25년간 12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1일 법무부에 따르면, 199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사형집행이 아닌 병사·자살 등 기타 사유로 사망한 사형 확정자는 총 12명이다. 2021년·2019년 1명, 2015년 2명, 2011년 1명, 2009년 4명, 2007년 2명, 2006년 1명의 사형수가 교도소와 구치소에서 지병 등으로 사망했다. 같은 기간 감...
2023.10.02 07:32:35
-
오늘부터 우윳값 오른다···빵·아이스크림 값↑, '밀크플레이션' 촉발 우려
우유 원유 가격 인상 여파로 1일부터 흰 우유 제품을 비롯한 유제품 가격이 오른다. 업계에 따르면 서울우유협동조합은 1일부터 흰 우유 제품인 ‘나100%우유(1L)’의 출고가를 대형할인점 기준으로 3% 올린다. 대형마트에서 나100%우유 가격은 2,900원대에 판매된다. 매일유업도 우유 제품 가격을 4∼6% 인상한다. 가공유 제품은 5∼6% 오르고 발효유와 치즈 제품 가격은 6∼9% 상향 조정된다....
2023.10.01 08:46:45
-
전기 택시 10대 중 4대···아이오닉5 1위, EV6·니로 순
올해 등록된 택시 10대 중 4대는 전기차인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1∼8월 신규 등록 택시 2만5873대 가운데 9743대(37.7%)가 전기차인 것으로 나타났다. LPG택시가 60.1%(1만5554대)로 가장 많았고, 하이브리드 택시(398대·1.5%)와 휘발유 택시(96대·0.4%)도 일부 있었다. 신규 등록 전기 택시 비율을 연도별로 보면 ▲2018년 1.8%(68...
2023.10.01 08:01:15
-
가수, 배우보다 2배 더 번다···가수 상위 1% 평균연봉 46억원
소득 상위 1%의 가수들이 1인당 평균 46억원 정도를 번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는 22억6,000만원, 모델은 4억5,00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2021년도 기준이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강준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30일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2017∼2021년 업종별 연예인 수입 금액 현황'에 따르면 2021년 소득을 신고한 가수 7,720명의 연 소득은 모두 5,156억4,500만원이었다. 국...
2023.09.30 10:30:49
-
日 후쿠시마 산 수산물 수입 금지인데···젓갈 등 659톤 국내 유입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 사고 이후에도 후쿠시마현을 비롯한 아오모리, 지바 등 인근 8개 현의 수산물이 국내 수입된 것으로 드러났다. 2013년부터 후쿠시마 등 인근 지역의 수산물은 수입이 금지된 상태다.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전혜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올해 8월까지 수산물 국내 수입금지 조치가 내려진 후쿠시마를 포함한 인근 8개 현(아오모리, 이와테, 미야기, 후쿠시...
2023.09.30 08:37:25
-
'신용불량 청년' 6개월 새 1만7천명 증가···20대 금융채무자 평균 빚 2,370만원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후 갚지 못한 30대 이하 ‘신용불량자’가 6개월 만에 17,000명 늘어났다. 2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신용정보원에 받은 자료에 의하면 올해 6월 말 기준 30대 이하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약 23만1,2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과 비교했을 때 6개월 새 약 17,000명 늘어났다. 전체 금융채무 불이행자 중 30대 이하 비중도 29.27%에서 29.7...
2023.09.29 13:34:57
-
'하이볼 잘 팔리더니'···위스키 수입 40% 급증
혼술·홈술 등이 유행하면서 올해 위스키 수입량이 40% 이상 증가했다. 이 추세가 하반기로 이어질 경우 역대 최대 수입량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29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8월 스카치·버번·라이 등 위스키류 수입량은 22,779t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40.0% 늘었다. 상반기 수입량이 하반기까지 이어질 경우 올 연간 수입량은 2002년 기록한 최대치인 27,379t을 넘어설 것으로...
2023.09.29 13:09:55
-
'요소수 대란' 또 벌어질까···정부 “내년 2월까진 문제없다”
‘제 2의 요소수 대란’이 예고되는 가운데 화물차 등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021년 중국 정부가 석탄이 부족해져 석탄 및 석탄으로 만들어지는 요소 등의 생산과 수출을 통제했다. 이에 세계적으로 요소 부족 현상이 발생했고 특히 요소 수입량의 97%를 중국에 의존하던 국내에서 일시적으로 요소 및 요소수의 품귀 현상이 발생했다. ‘요소수 대란’ 발생 2년 여만에 서울을 비롯한 일부 지역의 주유소...
2023.09.29 08:13:23
-
'또 오염수를 바다에'···日, 2차 오염수 내달 5일 7,800t 방류
추석 연휴가 지난 뒤 일본에서 2차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방류가 진행된다. 28일 교도통신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2차 해양 방류를 내달 5일 개시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도쿄전력은 1차 방류를 마친 뒤 방류 설비와 운용 상황 등을 점검한 결과 큰 문제가 나오지 않아 계획대로 2차 방류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방류 준비 작업은 내달 3일 시작된다. 바닷...
2023.09.29 07:31:55
-
추석 연휴 교통사고 다수 발생 시간대 '오후 3~6시'
추석 명절 연휴 기간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시간대는 오후 3∼6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병욱 의원(더불어민주당)이 28일 한국도로공사에서 제출받은 '추석 연휴 고속도로 교통사고 현황'에 따르면 2020∼2022년 3년간 추석 명절 연휴에 총 57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발생 빈도가 높은 시간은 오후였다. 사고 건수가 가장 많은 시간대는 오후 3시부터 6시 사이로, 총 14건...
2023.09.28 14:10:53
-
6년 간 일하고 임금 못 받은 근로자 165만명·체불액 8조 7천억원
올 8월까지 신고된 임금체불액이 1조 1,411억원이며, 18만여 명의 근로자가 일하고도 임금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상현 의원(국민의힘)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올해 8월까지 신고된 임금체불액만 1조 1,411억6백만원으로, 6만5,626개소의 사업장에서 18만여 명의 근로자가 임금을 받지 못했다. 최근 5년 8개월 간 임금체불 피해금액은 8조 7,906억 8,100만원에 달하고, 63만7601개소의 사업장에서...
2023.09.28 09:25:07
-
'연휴 때 아프면 어쩌지' 추석 문 여는 병원·약국 9천 곳, 확인 방법은?
서울시는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문 여는 병·의원·약국' 9천여 곳을 지정해 운영한다. 연휴 동안 문 여는 병·의원은 응급의료기관 외 병·의원 3,163곳이며 문 여는 약국은 해당 병·의원의 인근에 있는 5,996곳이다. 서울 시내 66개 응급의료기관과 종합병원 응급실은 평소와 같이 24시간 운영한다. 응급의료기관은 서울대병원 등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
2023.09.28 08: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