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전성에 경고등 켜진 카드사, 연체율 3년 내 ‘최고’
카드론과 결제성 리볼빙 이용 금액의 증가와 함께 연체율까지 동반 상승해 카드업계의 건전성 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22일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말 기준 카드사들의 카드론 잔액은 34조1210억원으로, 작년 말(33조6450억원)보다 4760억원 늘었다.연령별로는 50대의 카드론 잔액이 10조9950억원으로 40대(10조9210억원)를 넘어 가장 잔액이 많았다.2019년 말 기준 29조원대였던 카드론 잔액은 2020년 말 32조원, 2021 년·2022년 33조원대, 올해 1분기 34조원대로 50∼60대를 위주로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다.결제성 리볼빙 이월잔액도 증가세다.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7개 카드사(신한·삼성·KB·롯데·우리·하나·현대)의 올해 4월 리볼빙 잔액은 7조1729억원으로 1년 전인 작년 4월(6조2740억원)보다 1조원 가까이 늘어났다.리볼빙은 일시불로 물건을 산 뒤 카드 대금의 일부만 먼저 결제하고 나머지는 나중에 갚는 서비스다. 결제대금 중 일부를 연체 없이 상환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자가 사실상 법정 최고금리(연 20%)에 가까워 소비자에게 부담이 된다.이에 따라 카드사들의 연체율도 높아지고 있다. 올해 1분기 카드대금, 할부금, 리볼빙, 카드론, 신용대출 등의 1개월 이상 연체율을 뜻하는 카드사의 연체율은 대부분 1%를 넘겼다.사별로는 신한카드(1.37%), 삼성카드(1.10%), KB국민카드(1.19%), 롯데카드(1.49%), 우리카드(1.35%), 하나카드(1.14%) 등이다.신한카드의 경우 2019년 3분기(1.40%) 이후 연체율이 가장 높은 수준이다. KB국민카드는 2020년 1분기(1.24%) 이후, 삼성카드는 2020년 2분기(1.2%) 이후 연체율이 가장 높다.여기에 고객
2023.05.22 12:22:21
-
문동권 신한카드 사장, 회원 3500만 명·자산 45조 목표[2023 파워 금융인 30]
[스페셜 리포트 : 2023 파워 금융인 30]문동권 사장은 신한카드 역사상 내부 출신 첫 최고경영자(CEO)다. 2007년 신한금융이 LG카드를 인수한 이후 첫 카드사 내부 사장 승진이자 LG카드 출신으로 대표 자리에까지 오른 첫 주자다. 1996년 LG그룹에서 커리어를 시작한 문 사장은 26년간 줄곧 카드업계에 몸담았다. 1968년생으로 카드업계에서는 가장 젊은 CEO이자 신한카드 성장의 역사를 함께한 산증인으로 평가받는다.재무·기획 전문가로 신한카드 최고재무관리자(CFO)인 경영기획그룹장을 역임하며 지난해 업계 최고의 순이익을 달성한 성과를 인정받아 올해 1월 대표이사에 취임했다. 신한카드는 지난해 고금리 기조 속에서 매출 4조7612억원을 내며 업계 1위를 지켰고 순이익은 6414억원을 기록했다.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한 신사업 수익 부문 비율이 35.3%로 균형적인 실적을 견인했고 이를 통해 신한카드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8.9%로 동종 업계 평균 7%대보다 확연히 높은 수준을 달성했다. 이용 금액은 업계 최초로 1년간 214조원을 창출했다.CFO로 사업 전반을 총괄해 온 문 사장은 지난해 신한카드 창립 15주년을 맞아 재무 지향점을 ‘MMAX 2025’로 설정했다. 2025년까지 통합 멤버십 회원 3500만 명, 통합 월간 순 이용자 수(MAU) 2000만 명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전통 금융의 회원 수와 디지털 금융의 트래픽을 고루 갖추는 한편 이를 통해 자산 45조원, 디지털 영업이익 기여도 50%를 달성하겠다는 구상이다. 기존 수립된 ‘MAX 2023’은 2023년까지 통합 멤버십 3000만 명과 자산 4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였지만 문 사장의 진두지휘 아래 작년에 조기 달성했다.올해는 내부 소통과 환경·사
2023.04.23 06:00:11
-
카드 한도가 하루 만에 3000에서 200으로 줄어든 이유
[비즈니스 포커스]눈앞에 다가온 경기 침체로 카드사들의 2023년은 그 어느 때보다 우려와 염려 속에 시작됐다. ‘역대급 긴축’이 현실화되면서 벌써부터 녹록하지 않은 사업 환경이 펼쳐지고 있다. 위기에 대비해야 하는 카드사들은 조달 비용을 아끼고 위험 요소를 없애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일부 소비자들의 이용 한도를 축소하고 대출 상품의 공급 규모를 줄였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자금줄에도 비상등이 켜지게 됐다. 위기에 대비하기 시작한 카드사들2023년 새해 벽두부터 주요 카드사들이 대대적인 이용 한도 축소에 나섰다. 갑자기 이용 한도 축소를 통보받게 된 고객들의 볼멘소리가 높아졌다. 일부 회원은 카드 이용 한도가 30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하향 조정된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말하기도 했다. 1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카드 등 주요 카드사들이 2022년 12월 개인 회원을 대상으로 이용 한도를 점검한 뒤 일부 회원들에게 한도 하향 조정을 통보했다.카드사들은 연간 1회 이상 정기적으로 회원에게 부여한 이용 한도 적정성을 점검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지난 연말에는 대부분의 카드사들이 다소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하향 조정 대상을 심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카드사들도 이용 한도 축소 사실을 통보한 것을 인정하고 있다. 이는 한도 관리 강화를 위해서다. 업황의 어려움에 따라 연체 규모가 불어난다면 향후 커다란 리스크로 되돌아올 수 있다. 카드사들의 어려움은 2022년부터 예고됐다. 시장에서는 지난해 10월 레고랜드발 자금 시장 경색으로 카드사들의 유동성 확보에 대한 고민이 시작됐다는 얘기
2023.01.09 06:00:01
-
카드사, 앱카드 상호연동 서비스로 카드 구분없이 사용
롯데·비씨·신한·하나·KB국민·NH농협 등 카드업계가 고객 편의성 및 결제앱(플랫폼) 경쟁력 제고를 위해 카드사 간 앱카드 상호연동 사업을 추진한다.기존 복수 카드 보유 고객은 해당 카드사 결제앱(플랫폼)을 모두 설치해 사용해야 했지만 앱카드 상호연동 서비스를 통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앱카드 상호연동 서비스’는 고객이 주로 사용하는 카드사 결제앱(플랫폼)에 카드사(발급사) 구분없이 보유 중인 카드를 등록·사용하고, 해당 결제앱(플랫폼)에서 사용내역 확인도 가능하다. 이용방법은 플레이스토어(Android) 또는 앱스토어(iOS)에서 기존 카드사 결제앱(플랫폼) 업데이트를 통해 서비스 이용할 수 있다.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올해 신한·하나·KB국민카드 등 3개사를 시작으로 2023년에는 롯데·BC·NH농협카드도 순차적으로 서비스 시작 할 예정"이라며 "현재 오프라인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한 이용범위를 2023년 하반기 중에는 온라인도 포함 할 수 있도록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2022.12.21 13:48:31
-
MZ고객 유입하기 위해 NFT 시장 진출하는 국내 카드사들
국내 신용카드사들이 기업의 디지털화를 위해 NFT 시장에 뛰어들고 있어요. 10·20세대 젊은 층에 인기가 많은 NFT 사업에 진출해 그들을 고객으로 유입시키려는 전략이죠. 당장 매출을 극대화하기보다는 젊은 층을 끌어들여 앱을 활성화화는 것이 목표예요. 신한카드는 이미 개인 소장품 혹은 사진 들을 NFT로 등록하고 조회할 수 있는 ‘마이 NFT’ 서비스를 출시했어요. 카카오톡을 통해 NFT를 쉽게 제작할 수 있어 젊은 층의 참여율이 높은 편이에요. KB국민카드는 최근 블록체인 기업인 블로코XYZ와 손을 잡고 통합 멤버십 앱에 NFT 서비스를 추가할 예정이에요. NFT를 ‘리브메이트’ 포인트나 마이데이터 서비스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어요. 또, 비씨카드는 NFT 사업 진출에 앞서 임직원 대상 ‘NFT 거래 플랫폼’ 시범 테스트를 진행한 바 있어요. 해외 카드사들도 NFT 사업에 진출하고 있어요. 비자(VISA)는 NFT 구매 결제 프로세싱 지원 및 저장 인프라 구축하기 위해 크립토펑크 NFT를 15만 달러에 구입하기도 했죠. 전 세계 NFT 거래량이 갈수록 증가하면서 NFT를 탑재한 금융서비스가 다양해질 것으로 보여요.김민주 기자 minjoo@hankyung.com
2022.01.27 15:1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