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닝 쇼크부터 임금 체불까지…심상치 않은 가전업계
[비즈니스 포커스] ‘세계 가전 전시회(CES) 2023’이 1월 8일 막을 내렸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 이후 3년 만에 완전 대면 형식으로 개최된 올해 CES는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의 참여로 활기가 남쳤다.CES 2023의 주요 트렌드는 친환경 솔루션과 모빌리티·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기술과 제품들이었다. 다만 매년 CES에서 관람객들의 시선을 끌었던 ‘혁신적인 신제품’은 눈에 띄지 않았다. 삼성전자와 LG전자를 비롯한 주요 기업들은 기존 제품을 업그레이드하고 모든 제품들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성’에 집중했다. 화려한 신제품보다 소프트웨어에 공을 들인 것이다. 마치 다가올 불황을 예견한 듯 혁신적인 신기술보다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부문을 강조한 것에 눈에 띄었다. ‘가전 사업’ 부진 확실시된 삼성·LG최근 수년간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재택 근무 등으로 TV와 가전제품 시장은 성수기를 보냈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유럽과 미주 지역의 인플레이션과 전기요금 상승 등으로 수요가 급감하기 시작했다. 블랙 프라이데이 시즌에도 기대했던 만큼의 매출 확대 효과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물류비와 원자재 가격의 상승도 판매에 영향을 미쳤다. 부동산 시장의 침체도 가전 수요 감소에 큰 몫을 했다. 대출 금리가 상승하면서 이사 수요가 줄어들었고 이에 따라 한꺼번에 다량의 가전제품을 구매하는 수요가 확 줄었다. 부동산 경기가 가라앉은 것은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다. 이에 따라 가전 수출 역시 동반 침체를 겪고 있다. TV 역시 마찬가지다. 시장 조사 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TV 출하량은
2023.01.17 06:00:10
-
삼성·LG, 프리미엄 가전으로 유럽 시장 공략
삼성전자와 LG전자가 프리미엄 가전 라인업으로 유럽 시장 공략에 나선다. 해당 제품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유로쿠치나 2022에서 대거 공개된다. 유로쿠치나는 밀라노 국제 가구 박람회의 부속 행사로 2년마다 열리며 주방 가전 및 가구와 관련된 최신 제품을 선보인다.삼성전자는 유로쿠치나에서 800㎡(약 240평) 규모의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 이곳에서 ‘비스포크 홈’을 선보인다. 주방 가전으로 세탁기·건조기·청소기 등 모든 가전제품을 여러 사용자의 생활 스타일에 맞게 전시한다.스마트 홈 플랫폼인 ‘스마트싱스 홈 라이프’로 연결되는 가전제품도 체험할 수 있다. 올해 유럽에 본격 출시되는 ‘비스포크 키친 패키지’도 집중 소개한다. 인공지능(AI) 기술과 스팀 기능을 적용한 ‘비스포크 빌트인 오븐’도 최초 공개한다.LG전자는 프리미엄 빌트인 주방 가전 브랜드인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를 주력 제품으로 내세운다.LG전자는 2018년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를 앞세워 유럽 프리미엄 빌트인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LG전자는 유로쿠치나에 400㎡(약 120평) 규모의 부스를 마련했다. 기존 블랙 글래스 디자인에 메탈릭 실버 글래스 디자인을 추가한 오븐 패키지와 인덕션에 더해 아일랜드 식탁이나 조리대 아래 빌트인으로 설치하는 24형 서랍형 와인셀러와 냉장고 등을 선보인다.유호승 기자 yhs@hankyung.com
2022.06.17 06:0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