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어서 오세요 한약방, 아니 게스트하우스에 [MZ 공간 트렌드]

    구불구불한 골목 틈으로 세월의 흔적이 묻어나는 간판이 빼꼼히 고개를 내민다. 춘화당 한약방. 또박또박하게 새겨진 파란 글자와 붉은 벽돌담과 조화가 못내 정겹다. 어설프게 골목대장 노릇을 하던 어린 시절, 우리 동네에도 이런 은색 대문이 있었다. 조심스레 문을 밀고 들어서자 아담한 정원 위로 목포 100년의 역사가 펼쳐진다.춘화당에서 찾은 근대 한옥만의 매력일제강점기인 1929년(등기 연도 1935년) 건립된 춘화당은 목포역과 유달산 사이, 원도심을 지키고 있는 근대 한옥이다. 1950년대 제중병원, 이후 조내과를 거쳐 1980년대 한약방으로 쓰였고 당대의 지식인들이 활동하던 공간이었다. 현재 본채와 별채는 숙박 시설로, 바깥의 건물은 카페로 쓰이고 있다. 과거 소유자는 세브란스의전을 졸업한 후 목포에서 부란취병원 원장을 지낸 의사 최섭 씨다. 광복 후 미군정기 목포시장을 지내고 정명여학교 교장을 역임하는 등 목포의 세력가였다. 조경에도 유달리 조예를 뽐냈던 그의 세심한 손길을 정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수령 100년을 훌쩍 넘는 오래된 나무와 귀한 라일락·철쭉·동백 등 사계절을 대표하는 꽃이 한옥과 어우러져 그 자태를 완성한다. 건물 내부에 있는 상량문(己巳)은 이 건물이 목포 약 100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해 준다. 복도형 툇마루, 처마 밑 유리 장식창 등 근대 한옥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목포시문화유산 제24호로 지정됐다.고요한 공간에 배어든 주인장의 배려‘춘화당 한약방’ 간판을 마주한 카페 ‘문화공간 봄’에서부터 머무름은 시작된다. 체크인·체크아웃이 이뤄지는 카페에는 남도 출신 작가들의 작품이 가득하다. 웰컴 드링크인 차 한

    2023.07.28 14:24:27

    어서 오세요 한약방, 아니 게스트하우스에 [MZ 공간 트렌드]
  • 한국판 테이트모던을 아시나요, 문화비축기지 [MZ 공간 트렌드]

    낡고 오래된 건축물에 ‘리노베이션(renovation)’이라는 작은 숨결을 불어넣는 것만으로도 놀라운 변화가 생기곤 한다. 영국 런던에 있는 테이트모던이 대표적인 예다. 연평균 방문객 수만 600만 명이 넘는 이 미술관은 과거 템스강변에 무력하게 방치된 뱅크사이드 화력 발전소에 불과했다. 굴뚝 등 외형은 그대로 보존하면서 내부는 전시 공간으로 개조해 도시 재생의 성공적 사례로 불린다. “오르세에서 가장 처음 만나게 되는 작품은 오르세 그 자체다.” 프랑스 파리의 3대 보물 중 하나인 오르세박물관 역시 기차역을 개조해 만들었다. 2017년 서울 마포구 매봉산 인근에도 유사한 건물이 들어섰다. 문화비축기지는 폐산업 시설인 마포석유비축기지를 복합 문화 공간으로 재생한 시설이다. 세월이 녹아든 석유 비축 탱크 외관만이 이곳의 과거를 짐작하게 할 뿐 녹음이 우거진 평화로운 부지는 여느 공원과 다를 바 없다. 무엇이 이 공간을 특별하게 만드는 것일까. 비밀의 공간, 5개의 탱크마포석유비축기지를 이루고 있던 석유 저장 탱크는 총 5개. 1973년 석유 파동이 일자 유사시에 대비해 서울시민이 한 달 정도 사용할 수 있는 양의 기름을 보관하기 시작했다. 1급 보안 시설로 분류된 비축기지는 매봉산 자락에 은밀하고 비밀스럽게 숨겨졌다. 아파트 5층 높이, 둘레 15~38m에 달하는 거대한 탱크들이 일반인에게 존재감을 나타낸 것은 2002년 한·일 월드컵을 앞두고서다. 약 30년간 숨바꼭질하며 버텨 온 탱크들로선 썩 유쾌한 결말은 아니었다. 기지 전체가 서울월드컵경기장 500m 이내의 위험 시설로 분류되며 문을 닫았기 때문이다. 다시 10년, 일반인의 접근과 이용이 철저히 통제된 채 기지는 유휴지로

    2023.06.11 10:56:38

    한국판 테이트모던을 아시나요, 문화비축기지 [MZ 공간 트렌드]
  • 안도 타다오의 끝없는 도전…“살아 있는 동안은 모두 청춘”

    세계적인 건축가 안도 타다오가 도쿄, 파리, 밀라노, 상하이, 베이징, 대만에 이어 일곱 번째 국제 순회를 한국에서 한다. 자신이 설계한 뮤지엄 산에서의 최초 전시다.“10대와 20대가 청춘이 아니라, 살아 있는 동안은 모두 청춘이라고 생각합니다.”건축가 안도 타다오가 뮤지엄 산 개관 기념 국내 개인전 을 개최하며 전한 메시지다. 전시 제목인 ‘청춘’은 그의 건축에 대한 ‘끝없는 도전’을 함축한다. 매일매일 더 나은 일상을 설계한다는 신념과 도전 의식을 담았다. 이번 개인전을 기념해 한국을 찾은 그는 기자 간담회와 강연회에서 ‘청춘’과 ‘희망’에 대한 이야기를 거듭 강조했다.콘크리트와 빛에서 발견한 희망안도 타다오는 모든 불필요함을 덜어낸 미니멀한 노출 콘크리트 건축을 선보여 왔다. 독학으로 만들어낸 수많은 건축물로 세계 건축계에 신선한 충격을 던졌다. 빛과 기하학이라는 근원적 주제에 천착한 것도 그가 추구하는 건축물의 특징이다. “콘크리트는 누구든지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재료입니다.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아무나 만들 수 없는 건축을 하고 싶었습니다. 저는 빛을 희망이라고 생각하는데, 그 희망을 지탱해주는 것이 바로 콘크리트죠. 이를 위해 만든 것이 바로 푸른 사과입니다.”그가 언급한 ‘푸른 사과’는 뮤지엄 산 전시장 입구에 설치된 오브제로, 안도 타다오가 강조하는 ‘청춘’을 표현한 조형물이다. 뮤지엄 산은 이 조형물을 영구적으로 전시하기로 했다.“여러분 마음속에 무언가를 간직하고 있다면 그게 어떤 식으로든지 실현될 겁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오래 사셔야겠죠. 제가 만든 푸른 사과가 있습니다. 그 사과를 만지면 오래 살 수

    2023.04.26 17:58:28

    안도 타다오의 끝없는 도전…“살아 있는 동안은 모두 청춘”
  • [FuturePlay's Signal]‘열 번 찍으면’ 현실이 될 미래 기술, 합성생물학

    [FuturePlay's Signal]‘열 번 찍어 넘어가지 않는 나무 없다’는 속담이 있다. 흔히 사용되는 말이지만 대부분은 사실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심지어 연애할 때도 애초에 불가능한 상대를 열 번 공략해 봤자 그로 인해 상대의 피로도만 올라갈 뿐 호감이 생겨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인간이 운용할 수 있는 자원은 제한적이다. 시간·돈·노력 등이 모두 그렇다. 되지 않을 일에 엉뚱하게 힘을 빼기보다는 ‘될 만한 일’에 힘을 쏟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고 이롭다. 다시 말해 ‘안 될 일’을 빨리 판가름하고 일찍 놓는 것 또한 전략적으로 옳은 선택이다. 올해 필즈 상을 수상한 허준이 프린스턴대 교수도 “적당하게 포기할 줄 아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을 정도다.노력해서 될 일과 애초에 불가능한 일을 구분할 줄 아는 것은 통찰의 산물이다. 통찰은 많은 경우 말로 설명할 수 없지만 우리가 좋은 의사 결정을 하게 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통찰력이 좋은 사람은 좋은 의사 결정을 할 가능성이 높다. 배경과 이유를 설명할 수 없는 의사 결정일지라도 깊은 통찰력은 개인을 옳은 길로 인도한다.이제 본론으로 들어가 보자. 사실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는 산업 분야에도 많다. 하지만 ‘열 번 찍어 넘어갈 나무’와 같은 산업 분야들 또한 존재한다. 바로 이를 구별하는 것이 ‘미래에서 오는 시그널’을 잘 읽어 내는 힘일 것이다.‘열 번 찍어 넘어가는 나무’의 대표적인 분야는 안경형 3D 기술이다. 2000년대만 해도 이해할 수 없는 3D TV 경쟁에서부터 시작된 안경형 3D 기술은 2012년 설립된 오큘러스를 거쳐 2017년 이후 가상현실(V

    2022.11.11 17:22:43

    [FuturePlay's Signal]‘열 번 찍으면’ 현실이 될 미래 기술, 합성생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