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 탈현금화 가속...전자결제 경쟁 치열
핀테크 뉴스 (FINTECH NEWS)편집자 주 매일 달라지는 금융의 신세계를 조명함으로써 혁신 기술과 금융 산업이 만난 이달의 핀테크 관련 국내외 뉴스를 소개한다. 베트남 국가의 '탈(脫)현금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미국 핀테크 기업인 피델리티 내셔널 인포메이션 서비스(FIS)가 베트남 국가를 대상으로 매장 및 온라인에서 소비자들의 결제 행태를 분석한 결과 2021년 기준 POS(point of sales: 금전등록기와 컴퓨터 단말기 기능을 결합한 시스템) 전자결제거래액은 14%에 불과했지만 2022년 29%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이 회사는 베트남이 오는 2026년까지 매년 31%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거래 방식은 계정 간 결제(acount-to-acount)가 21%를 차지했으며, CoD(Cash on Delivery: 배달이 되는 순간 결제하는 방식)와 신용카드가 각각 18%로 뒤를 이었다.이에 현금결제는 줄고 있다. 2019년 기준 베트남 국가의 POS 거래 85%가 현금이었지만 3년 이 지난 2022년에는 47%로 크게 떨어지고 있다. 전자결제 시장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베트남 마케팅 협회인 MMA 와 전문 조사 업체인 디시전 랩(Decision Lab)이 발표한 '커넥티드 컨슈머Connected Consumer)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자결제 핀테크 기업인 모모(MoMo)와 잘로페이(Zalo Pay) 가 각각 68%, 54%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뒤이어 비엣텔페이와 쇼피페이가 각각 32%와 30%로 이름을 올렸다. 한편, 동남아시아에서는 코로나19 대유행 동안 전자상거래 시장이 급팽창하면서 비현금결제가 증가했으며, 특히 전자지갑결제 비중이 빠르게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6년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자지갑결제 규모는 36조7000억 달러로 전 세계
2023.05.25 12:48:30
-
셀트리온그룹, 현금·주식 동시 배당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은 이사회 결의를 거쳐 현금·주식 동시 배당 또는 주식 배당을 각각 결정했다고 17일 발표했다. 배당 기준일은 오는 31일이다.셀트리온은 보통주 1주당 750원의 현금과 0.02주의 주식을 배당한다. 현금 배당 총액은 약 1025억원이다. 주식 배당 발행 총수는 273만2479주다.셀트리온헬스케어는 보통주 1주당 260원의 현금과 0.02주의 배당을 결정했다. 현금 배당 총액과 주식 배당 발행 총수는 각각 399억원, 306만5845주다.셀트리온제약은 현금 배당 대신 3사 중 가장 높은 주식 배당률을 적용했다. 보통주 1주당 0.03주의 주식을 배당한다. 주식 배당 발행 총수는 109만4265주다. 셀트리온제약의 최근 가파른 성장 모멘텀과 현금 흐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이라는 설명이다.셀트리온 관게자는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지난해와 같은 수준의 주식 배당을 유지하면서 회사의 미래 가치를 주주와 공유하는 동시에 현금 배당도 실시해 회사의 이익을 주주에 환원하는 방침을 세웠다”고 말했다.최은석 기자 choies@hankyung.com
2021.12.17 15:41:17
-
“현금 대신 벤모하세요”… 코로나19 이후 급성장하는 테크핀 기업
[최중혁의 신산업 리포트] (20)테크핀“우리는 체크(수표)만 받아요. 신용카드는 수수료가 있습니다.” 20세기 이야기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엄연히 실제 상황이다. 미국에선 수표 사용이 활발하다. 없어질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 미국에서 집을 사고 파거나 렌트(월세) 계약을 할 때처럼 부동산과 관련된 계약은 유독 수표를 사용한다.퓨리서치센터의 2018년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성인 중 11%가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고 소득 3만 달러 이하 가구 중에선 19%가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다. 인터넷이 안 되는 가정이 각종 세금과 공과금을 낼 수 있는 방법은 그리 많지 않고 수표도 선택지 중 하나다.샌프란시스코 중앙은행(Fed)에 따르면 2018년 미국 전체 결제 중 수표가 차지한 비율은 6%다. 2000년 40%가 넘었던 수표 사용 비율이 그간 지속적으로 감소했지만 미국의 사정을 고려하면 당장 수표가 사라질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코로나19가 가속화한 현금 없는 사회연방예금보험공사(FDIC)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미국의 710만 가구는 은행 계좌가 없다. 저소득 미국인이 최소 잔액 요건과 은행 수수료를 감당할 수 없는 것이 은행 계좌 확보에 걸림돌이 되기 때문이다. 이럴 때 은행에서 발행하는 수표를 사용할 수 없고 현금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이런 사례만 보면 미국의 결제 시스템이 뒤떨어졌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 금융 서비스는 한국보다 훨씬 빠르고 소비자 친화적이다. 은행 애플리케이션은 매우 간편하고 빠르다. 간단한 아이디나 지문으로 대부분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한국처럼 각종 보안 프로그램에 인증서를 깔 필요도 없다. AI 감시 시스템을 갖춰 수상한 거래
2021.02.04 08:4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