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미래 투자 삼매경 빠진 GS그룹…배터리도 ‘눈독’

    GS그룹이 미래 성장 동력으로 낙점한 바이오, 신재생에너지, 모빌리티, 이커머스, 배터리 등에 공격 투자하며 사업 생태계 무한 확장에 나섰다.허태수 GS그룹 회장은 2022년 화두로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 생태계 확장을 제시한 바 있다. 지난해 GS그룹은 허 회장의 신사업 발굴 지시에 따라 국내외 관련 스타트업과 벤처캐피털(VC) 등 약 60건에 투자했다.GS그룹은 바이오 분야에서는 보툴리눔 톡신 기업 휴젤을 인수했고 이커머스와 관련해서는 카카오모빌리티, 메쉬코리아 등에 투자하고 쿠캣, 요기요, 펫프렌즈를 인수했다.특히 올해는 GS그룹의 벤처·스타트업 투자에 더욱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주)GS가 1월 7일 지주회사 산하에 국내 1호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GS벤처스’를 설립했기 때문이다.GS벤처스의 설립에 따라 지주회사 체제를 가진 기업 집단의 CVC 설립이 이어지면서 국내 벤처 생태계의 활성화와 대기업의 신성장 협업이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휴젤·쿠캣·요기요 인수…스타트업 투자 큰손으로국내법상 그동안 지주회사의 산하에 금융업을 목적으로 하는 회사를 둘 수 없었으나 2021년 12월 30일 공정거래법 개정안이 발효되면서 벤처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금융사 설립이 가능해졌다.앞서 GS그룹이 한국이 아닌 미국 현지에 해외 투자법인인 GS비욘드, GS퓨처스를 세우고 해외 혁신 스타트업 투자에 매진해온 이유다. 이번 GS벤처스 설립으로 GS그룹은 국내와 해외에 각각 CVC 자회사를 두고 국내외 스타트업에 투자할 수 있게 됐다.GS벤처스는 지주회사 (주)GS가 자본금 100억원을 전액 출자해 지분 100%를 소유한 자회사로, 초대 대표로 허준녕 (주)GS CVC

    2022.02.03 06:00:20

    미래 투자 삼매경 빠진 GS그룹…배터리도 ‘눈독’
  • 신규 편입 계열사로 본 대기업의 ‘포스트 코로나’ 전략

    [비즈니스 포커스]예상하지 못했던 전 세계적인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유행)으로 재계의 시계도 빨라졌다. 기업들은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기 위해 잰걸음을 걷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대기업들은 신규 계열사를 편입해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것에 분주하다. 동시에 안 되는 분야는 과감하게 정리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 8월 3일 공개한 ‘2021년 5~7월 대규모 기업 집단 소속 회사 변동 현황’에 따르면 71개 대규모 기업 집단 소속 회사는 7월 말 기준으로 2653개다. 지난 4월 말 기준치보다 41개 증가했다. 회사 설립, 지분 취득 등으로 106개 회사가 계열사에 편입됐고 흡수·합병, 지분 매각 등으로 65개 회사가 그룹에서 제외됐다. 13개 계열사 늘린 카카오, 신사업에 가장 적극적 신규 편입 계열사가 가장 많은 집단은 카카오와 장금상선으로 각각 13개의 신규 계열사를 편입했다. 카카오는 안테나·예원북스·스튜디오하바나·엔플라이스튜디오·파이디지털헬스케어 등을 계열사로 추가했다. 편입한 계열사만 해도 엔터테인먼트 기업부터 헬스케어까지 다양하다. 특히 카카오의 확장세는 최근 기업들 중에서 단연 눈에 띈다. 7월 기준 카카오의 계열사는 118개로, SK그룹에 이어 둘째로 많은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다.카카오의 신사업 진출 역사는 늘 인수·합병(M&A)과 함께했다. 올해 4월 패션 플랫폼 ‘지그재그’를 운영하는 크로키닷컴을 인수해 패션 분야에서도 영향력을 넓히게 됐다. 또 안테나를 비롯한 연예 기획사 지분 인수로 콘텐츠 분야에서도 지식재산권(IP)을 대거 확보하고 있다. 최근엔 카카오뱅크 등 계열사의 상

    2021.08.17 06:01:39

    신규 편입 계열사로 본 대기업의 ‘포스트 코로나’ 전략
  • “우버·블루보틀 키운 건 구글 CVC”…4대 그룹이 스타트업에 꽂힌 이유

    [스페셜 리포트] 2020년 말 공정거래법 개정으로 일반 지주회사의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보유가 가능해지면서 CVC를 통한 ‘제2 벤처 붐’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CVC는 비금융권의 일반 기업이 재무적 이익 추구뿐만 아니라 전략적인 목적을 가지고 독립적인 벤처기업에 투자하기 위해 자회사 형태로 운영하는 금융회사를 뜻한다. 구글의 지주회사 알파벳이 100% 소유한 구글벤처스가 대표적이다.구글벤처스·인텔캐피털 등 글로벌 CVC는 기술 기반의 스타트업에 전략적으로 투자한 후 인수·합병(M&A)을 통해 자사 사업에 적용하거나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 창출을 통해 수익을 얻는다.한국에서는 그동안 금융과 산업 간 상호 소유나 지배를 금지하는 ‘금산분리’ 원칙 때문에 일반 지주회사는 CVC를 보유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기업들은 일반 지주회사 체제 밖에 있는 계열사나 해외 법인을 통해 우회적으로 CVC를 설립해 왔다.한국의 일반 지주회사들이 총 55조원이 넘는 현금과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회사의 유보 자금이 벤처업계로 흘러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미국, CVC 투자 가장 활발 우버·에어비앤비도 CVC 성공 사례해외에서는 일반 지주회사의 CVC 보유를 허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설립 방식과 펀드 조성에 규제가 없어 각 기업이 자사 상황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CVC와 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자율성을 기반으로 CVC가 혁신 스타트업을 키우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구글·인텔· 바이두·텐센트·레전드홀딩스 등 글로벌 기업들은 CVC를 통해 전 세계 투자 시장을 이끌고 있다.글로벌 시장 조사 업체 CB인사이

    2021.08.10 06:01:02

    “우버·블루보틀 키운 건 구글 CVC”…4대 그룹이 스타트업에 꽂힌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