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더 좁아진 임원 승진 문…‘젊은 피·여성·재무통’은 뚫었다

    [비즈니스 포커스] 기업들의 실적이 곤두박질하고 어두운 경기 전망 속에서 임원 인사에 칼바람이 불어닥치며 임원 승진 규모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한국의 100대 기업 임원 수는 7100명대에서 2023년 6800~6900명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전체 임원 승진자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젊은 리더와 여성 인재 발탁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30~40대 임원과 여성 임원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5가지 특징을 중심으로 2022년 달라진 임원 인사 트렌드를 살펴봤다.  ① 부회장 승진자 감소올해 대기업 사장단 인사의 특징은 부회장 승진자 감소다. 주요 그룹의 부회장단은 총수를 보좌하는 가신(家臣) 역할을 해 왔지만 세대교체와 맞물리면서 올해 주요 그룹에서 부회장 승진자는 손에 꼽을 정도였다.기업들은 ‘전쟁 중에는 장수를 바꾸지 않는다’는 인사 기조로 전반적으로 변화보다 안정에 무게를 뒀다. 삼성·SK·현대차·LG 등 4대 그룹에선 핵심 경영진인 부회장들이 대부분 유임됐다.오너 일가 중에선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장남인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성기학 영원무역·영원아웃도어 회장의 차녀인 성래은 영원그룹 부회장이 타이틀을 달았다.전문 경영인 중에선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이 삼성중공업 부회장으로, 이명우 동원산업 사장이 동원산업 사업지주부문 부회장으로, 명노현 (주)LS 사장·도석구 LS MnM 사장이 각각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② 파격에서 대세로…‘3040 젊은 피’ 돌풍연공서열에서 벗어나 능력과 성과 중심 인사 기조를 이어 가면서 30~40대 젊은 임원을 발탁한 기업들이 늘어났다. 50대 전유물이었던

    2022.12.13 06:09:02

    더 좁아진 임원 승진 문…‘젊은 피·여성·재무통’은 뚫었다
  • SK엔무브·SKIET 수장 바꿨다…“그린사업 이끌 적임자”

    SK이노베이션이 윤활유 사업 자회사인 SK엔무브(옛 SK루브리컨츠) 사장에 박상규 SK네트웍스 총괄사장을 임명하고, 2차전지 소재 자회사인 SK아이이테크놀로지 사장에 김철중 SK이노베이션 포트폴리오부문장을 승진 발령했다.배터리사업 자회사인 SK온에서는 최영찬 경영지원총괄이 사장으로 승진했다.SK이노베이션 계열 사업 자회사들은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조직 개편 및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고 12월 1일 밝혔다. SK이노베이션과 각 사업 자회사들은 그린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직을 개편했다. 그린 사업 성과 창출을 이끌 신임 임원은 31명으로 2022년과 비슷한 수준이다.SK이노베이션은 사업지주회사로서의 기능과 역량 확대를 중심으로 조직 개편에 나섰다. 이에 따라 글로벌 첨단기술 현장에서 유망기술 발굴·확보의 미션을 수행할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담당’을 신설했다. ‘성과관리담당’도 신설해 사업 자회사들의 이익 개선 활동에 대한 지원 기능을 보강했다. 그린 사업 중심으로 창출된 성과가 제대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시장과의 적극적 소통을 담당할 ‘IR 담당’을 새로 만들었다.사업 자회사들도 ‘카본 투 그린’ 성과 창출 본격화를 목표로 각각 별도 조직을 신설했다. SK에너지 R&S CIC(Refinery & Synergy Company In Company)는 ‘뉴 비즈니스 모델 디자인(BM Design)실’을 신설해 그동안 검토한 친환경 연료유 등 넷제로 전략의 사업화에 나선다. SK지오센트릭은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 등 가능성이 입증된 프로젝트의 사업화를 강화하기 위해 ‘그린 비즈 추진그룹’을 ‘솔루션사업본부’와 ‘머티리얼본부’로

    2022.12.02 06:07:02

    SK엔무브·SKIET 수장 바꿨다…“그린사업 이끌 적임자”
  • ‘SK家 3세’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장 승진

    SK네트웍스가 수장을 교체하고 새로운 미래 가치 창출을 위한 속도를 높인다. 이호정 경영지원본부장을 총괄사장에 선임했다. 최신원 전 회장의 장남인 최성환 사업총괄은 사업총괄 사장으로 승진했다.SK네트웍스는 12월 1일 2023년 정기 조직 개편 및 임원 인사를 실시했다.이호정 신임 총괄사장은 SK핀크스 대표 및 SK네트웍스 전략기획실장 등을 거쳐 2017년부터 SK(주)에서 그룹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관리해온 전략·투자 전문가다. 2021년 SK네트웍스로 복귀해 경영지원본부장으로서 본사 및 투자사의 사업 체질 강화를 지원했다.글로벌 투자 및 전기차 인프라 확장 등 회사의 미래 성장을 추진하는 신사업추진본부장의 역할을 수행했다. 이 신임 총괄사장은 2023년 이뤄질 주주총회 및 이사회를 통해서 대표이사로 선임될 예정이다.SK네트웍스는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상황 속에서 조직 운영의 안정성과 연속성을 고려했으며, 변화와 혁신을 통해 SK네트웍스의 새로운 미래성장을 이끌 리더십을 갖춘 인물로 사내 상황에 정통한 전략 및 투자 전문가를 회사의 새 수장으로 선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최성환 신임 사업총괄 사장은 SK그룹의 첫 미국 스타트업 투자를 담당하며 갖춘 해외 사업 전문성을 바탕으로 SK네트웍스의 글로벌 투자 네트워크 구축과 내부 역량 확보를 주도해왔다. 2020년에는 보유 중이던 직영주유소를 자산과 영업으로 나눠 복수의 상대에게 매각하는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기도 했다.최 신임 사업총괄 사장은 SK그룹 3세 중 가장 먼저 회사 경영에 참여했다. 2009년 SKC 전략기획팀에 입사한 이후 기획·인사 관리(HR)·해외 사업 부서에서 다양한 글로벌 투

    2022.12.01 17:09:42

    ‘SK家 3세’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장 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