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스페셜]생보사, 요양업 규제 빗장 풀까

    스페셜/ 실버 요양 산업의 길을 찾다 노인장기요양보험 국가 재정이 바닥을 드러낸 가운데 생명보험사들이 미래 성장 동력으로 요양 사업을 점찍었지만 규제 때문에 진행이 녹록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글 정유진 기자 10월 국회예산정책처 발표에 따르면 국가가 운영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은 현행 보험료율 인 상 수준이 유지될 경우 2026년에 재정수지가 적자로 전환되고 누적 준비금은 2031년에 소진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재정수입은 2023년 15.1조 원(2023년)에서 2032년 32.4조 원으로 연평균 8.9% 증가하지만, 지출은 2023년 14.6조 원에서 2032년 34.7조 원으로 연평균 10.1%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2025년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는 돌봄 및 요양 서비스 수요의 지속적 확대에 따라 노인장기요양보험 지출의 급증이 예상되는 등 보험 재정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인구 고령화와 더불어 가족 구조의 변화로 시니어 케어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국 내 시니어 케어 시장의 규모도 매년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지만, 노인장기요양보험만으로 이 를 대체하기가 어렵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생명보험사들이 실버 요양 서비스 진출을 검토하고 있지만 토지 및 건물 임차 관련 규제로 사업을 본격 추진하는 데 난 항을 겪고 있다. 노인 돌봄 서비스, 영세 사업자가 대부분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 는 비중은 16.5%인 반면 노인 독거가구 혹은 부부가구 등의 비중은 78.2%로 노인 돌봄에 대 한 니즈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돌봄에 대한 부담이 막대한 치매 고령자는 약 8

    2023.11.27 10:27:01

    [스페셜]생보사, 요양업 규제 빗장 풀까
  • SK바이오팜, 중국 시장 진출

    SK바이오팜은 중국의 글로벌 투자사 ‘6 디멘션 캐피탈(이하 6D)’과 중추신경계(CNS) 제약사 ‘이그니스 테라퓨틱스(이하 이그니스)’를 설립해 중국 시장에 진출한다고 11일 발표했다.SK바이오팜은 이번 법인 설립으로 미국과 유럽, 일본, 중국 등 글로벌 4대 제약 시장에 모두 진출하게 됐다.SK바이오팜은 또한 미국·유럽에서 판매하고 있는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를 포함해 6개의 CNS 파이프라인(신약 후보 물질)의 중국 판권을 이그니스에 기술 수출해 1억5000만 달러 규모의 지분을 획득했다. 계약금 2000만 달러와 개발 단계별 기술료(마일스톤) 1500만 달러, 판매에 따른 로열티 등의 수익도 확보했다.양사는 이그니스 설립을 위해 1억80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도 유치했다. 이는 올해 중국 제약 업계에서 진행된 시리즈A 투자로는 최대 규모다. 펀딩에는 골드만삭스, WTT인베스트먼트, HBM헬스케어인베스트먼트, 무바달라, KB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SK바이오팜은 이번 협력으로 중국 내 신약 개발과 상업화 플랫폼 구축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양사는 이그니스 최고경영자(CEO)로 전 사노피 중국 지사 CNS사업 총괄 책임자인 에일린 롱을 선임했다.조정우 SK바이오팜 사장은 “이번 법인 설립이 중국 시장에서 SK바이오팜의 입지를 넓히고 환자들에게 혁신적 치료 옵션을 제공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중국 진출을 토대로 글로벌 성장 전략을 가속화하고 사회적 가치 실현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레온 첸 6D 대표는 “글로벌 신약 개발 기업 SK바이오팜과 파트너십을 맺는 중대한 성과를 달성했다“며 “이그니스는 연구·개발(R&D)과 상업

    2021.11.11 11:11:05

    SK바이오팜, 중국 시장 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