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처폰 시절에 끝난 줄…" 다시 돌아온 '폰꾸'[최수진의 패션채널]
스마트폰 이전에 피처폰이 있었습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화면이 핸드폰의 90% 이상을 차지하게 된 일체형 스마트폰과 달리 화면, 키보드, 배터리 등이 각각 나뉘어 있는 형태입니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사용했죠. 그때는 '폰꾸(핸드폰 꾸미기)'가 일상이었습니다. 핸드폰 곳곳에 꾸밀 곳이 많았으니까요. 키보드를 뜯어서 색종이를 넣거나, 외관 테두리에 스와로브스키를 이용한 큐빅 장식을 두르고, 핸드폰 앞면과 뒷면에 코팅 스티커를 붙이기도 했습니다. 당시에는 이런 행위들을 '튜닝'이라고 불렀습니다. 폰꾸가 완성된 폰을 '튜닝폰'이라고 칭했고요. 폰꾸는 당시 1020세대가 개성을 표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었습니다. 서울에서는 용산이나 신도림 전자상가를 가면 전문으로 핸드폰을 꾸며주는 매장도 많았습니다. 가격은 보통 3만~5만원 정도 했습니다. 손재주는 없는데, 남들과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은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에 '폰꾸'는 돈이 됐습니다. 이런 '핸드폰 튜닝 문화'가 언제 사라졌나면,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기 시작한 2010년대입니다. 키링을 달 곳도, 꾸밀 곳도 없어진 대화면의 스마트폰이 대세로 자리 잡으면서 자연스럽게 폰꾸도 사라지게 된 거죠. 튜닝 문화 중 지금까지도 남아있는 것은 핸드폰 케이스가 전부입니다.피처폰 시절에 끝난 줄 알았던 '폰꾸'가 다시 유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약 20년 만에 다시 살아난 겁니다. 핸드폰이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선택받은 거죠. 다시 한번, 핸드폰이 패션 아이템이 되면서 폰꾸미기 관련 액세서리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카카오스타일이 운영하는 패션 플랫폼 '지그재그'
2023.08.07 10:54:25
-
Sunglasses City
도시 남자가 태양을 피하는 방법.AVIATOR(왼쪽부터) 골드 프레임에 카키 렌즈를 조합한 고전적인 에이비에이터 디자인의 선글라스 오메가 클래식한 디자인에 위트를 더해 완성했다. 브랜드 로고를 장식한 독특한 디자인의 브리지가 시선을 끄는 골드 메탈 프레임 선글라스 프라다 브리지와 템플에 기하학 패턴의 스터드를 장식한 선글라스. 가볍고 탄성이 좋은 티타늄 프레임을 적용했다. 발렌티노 클립온 스타일의 에이비에이터 선글라스. 브리지에 적용한 ‘T 로고’가 패셔너블해 보인다. 토즈WAYFARER(위부터) 얼굴을 둥글게 감싸는 선글라스. 검은색 프레임과 은은한 브라운 렌즈의 조합이 멋스럽다. 몽클레르 by 디캐이 간결한 디자인이지만 볼드한 프레임과 브라운 틴티드 렌즈를 적용해 세련돼 보인다. 토즈 브리지를 따라 길게 배치한 골드바 디테일이 미래적인 동시에 복고적 느낌을 주는 선글라스. 힌지에는 브랜드 이니셜을 장식했다. 루이 비통 선글라스 본연에 충실했달까. 이처럼 차분한 디자인의 선글라스는 유행과 상관없이 오래 쓸 수 있다. 톰 포드 by 디캐이BROWLINE(위부터) 브리지와 템플을 반으로 접을 수 있는 디자인으로, 주머니에 넣어 다니기에도 용이하다. 루이 비통 얼핏 클래식해 보이지만, 볼드하게 처리한 템플 덕분에 진중하면서도 경쾌한 멋을 드러낸다. 레이밴 by 에실로룩소티카 블랙 프레임과 빈티지한 금속 테가 차분한 멋을 발산하는 선글라스. 브리지와 템플 등 금속 부분에는 정교한 패턴을 입혔다. 에스.티. 듀퐁 by 디캐이NARROW RIM(위부터) 블랙 사각 프레임 선글라스 레이밴 by 에실로룩소티카 볼드한 화이트 프레임과 블루 틴티드 렌즈가 시원
2023.06.08 14:1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