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루비오 美 상원의원 “중국 기업에 IRA 보조금 못 줘”

    [이 주의 한마디]미국 상원 정보위원회 부위원장인 마르코 루비오 의원(플로리다·공화당)이 미국 포드자동차와 전기차 배터리 제휴를 맺고 우회적으로 북미 합작 공장 설립에 나선 중국 CATL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보조금 혜택을 받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3월 9일(현지 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루비오 의원은 “IRA 세액 공제 자격을 제한해 중국 기업들이 혜택을 받는 것을 방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포드·CATL의 계약은) 중국 공산당에 대한 배터리 의존도를 심화시킬 뿐”이라며 “합작 공장이 IRA 세액 공제의 대상이 되도록 설계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해당 법안은 우려 국가 기업과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기술을 도입하는 경우에도 IRA 보조금을 받을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는 포드가 CATL과 합작해 미시간 주에 배터리 공장을 세우기로 한 계획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포드는 2월 13일 CATL과 합작으로 35억 달러(약 4조5000억원)를 투자해 미시간 주 마셜에 연간 40만GWh 규모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장을 짓기로 했다고 발표했다.양 사는 IRA의 관련 규제를 피하기 위해 포드가 건물 등 공장 지분을 100% 소유하고 포드 소속 노동자들이 배터리를 생산하는 대신 CATL이 관련 기술을 제공한다.IRA 규정상 전기차 보조금을 받으려면 북미에서 생산, 조립된 배터리 핵심 부품의 일정 비율 이상 포함된 배터리를 탑재해야 한다. 일반적인 합작법인과 달리 포드가 투자액 35억 달러를 전액 부담해 지분 100%를 갖고 CATL에서 기술 라이선스를 받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이유다.루비오 의원은 재무부 산하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에 포드·CATL의 기술

    2023.03.19 06:08:01

    루비오 美 상원의원 “중국 기업에 IRA 보조금 못 줘”
  • ‘꽉 틀어막는다더니’…기술 수출로 IRA 우회로 뚫은 중국

    [비즈니스 포커스]미국 자동차 업체 포드가 중국 배터리 업체인 CATL과 미국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짓기로 하면서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 등 K-배터리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전기차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에 따른 반사 이익을 기대했던 한국 배터리업계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업계에 따르면 포드는 CATL과 함께 35억 달러(약 4조5280억원)를 들여 미국 미시간 주 마셜에 연간 40만GWh 규모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합작 공장 건립을 추진 중이다. 중국과 유럽 등에 13개 공장을 가동 중인 CATL의 미국 내 첫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이다. 미국 정부의 강력한 견제에도 CATL이 우회적으로 북미 시장 진출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IRA 규정상 전기차 보조금을 받으려면 북미에서 생산 조립된 배터리 핵심 부품의 일정 비율 이상 포함된 배터리를 탑재해야 한다. 일반적인 합작법인과 달리 포드가 투자액 35억 달러를 전액 부담해 지분 100%를 갖고 CATL에서 기술 라이선스를 받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이유다.IRA는 1차적으로는 미국의 전기차 산업을 부양하는 동시에 2차적으로는 핵심 광물 자원과 전구체 등에서의 중국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탄생했다. 업계에선 소재·부품·장비 사용에 대한 규정만 있고 기술에 대한 규정이 없는 IRA의 허점을 중국이 정확히 파고들었다고 보고 있다.  기술 규정 없는 허점 파고든 중국IRA 시행에 따라 세계 1위 배터리 업체인 중국 CATL을 비롯한 중국산 배터리와 중국산 광물·부품이 미국 내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돼 선제적인 투자로 북미 배터리 생산 기반을 빠르게 확장 중인 한국 배터리 업체엔 중·장기

    2023.02.28 06:09:02

    ‘꽉 틀어막는다더니’…기술 수출로 IRA 우회로 뚫은 중국
  • 데이비드 비즐리 WFP 사무총장 “우크라이나 전쟁은 재앙에 재앙을 더했다”

    [이 주의 한마디] ‘유럽의 빵 바구니’로 불릴 만큼 곡창 지대인 우크라이나에서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전 세계 식량 위기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세계 식량 공급망이 마비되면서 여러 대륙에서 부작용이 파급되고 있다고 3월 20일(현지 시간)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이미 팬데믹(세계적 유행)의 여파로 해운 물류 마비, 에너지 가격 상승, 가뭄과 홍수, 산불 등으로 인해 곡물 가격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식량 위기가 악화하고 있다.보도에 따르면 전쟁 발발 이후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산 밀·옥수수·보리 등 곡물이 수출되지 못하고 러시아와 벨라루스의 비료 수출도 막히면서 세계 시장에서 식량과 비료 가격이 치솟고 있다.실제 밀 가격은 21%, 보리는 33%, 일부 비료는 40%가 전쟁 전보다 올랐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에 따르면 양국의 전 세계 곡물 시장점유율은 밀 27%, 보리 23%에 달한다. 해바라기유는 53%, 옥수수는 14%로 비율이 높다.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은 전쟁이 세계 식량 시장에 미치는 여파만으로 760만 명에서 1310만 명이 추가로 기아에 내몰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데이비드 비즐리 WFP 사무총장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재앙에 재앙을 더하며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며 “2차 세계대전 이후 이와 유사한 전례는 없었다”고 말했다.[한눈에 보는 글로벌 주간 핫뉴스]  베이징일보 현대차, 중국 합작 법인에 1조원대 증자현대자동차가 중국 합작법인 베이징현대에 1조원대의 자금을 수혈한다. 3월 20일자 베이징일보는 현대차와 중국 베이징자동차가 양 사의 합작법인 베이징현대의 자본금을 9억4218만 달러

    2022.03.27 06:00:06

    데이비드 비즐리 WFP 사무총장 “우크라이나 전쟁은 재앙에 재앙을 더했다”
  • 미국 시장 선점, 세계 1위 탈환 나선 LG에너지솔루션

    [스페셜 리포트] 한·중 배터리 자존심, LG에너지솔루션 vs CATL‘닝더의 시대’가 저물고 LG에너지솔루션의 시대가 올까.LG에너지솔루션이 중국 CATL(닝더스다이)에 빼앗긴 주도권을 탈환할 기회가 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원료 확보부터 보조금 지원까지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폭풍 성장한 중국 전기차 배터리 업체 CATL에 2021년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1위를 내준 상태다.하지만 최근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정책에 힘입어 급성장 중인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최대 수혜주로 LG에너지솔루션이 부각되고 있다. 반면 CATL의 위상은 점점 흔들리고 있다. 중국 완성차 업체들의 ‘탈CATL’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기 때문이다.중국이 자국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지급하던 보조금도 2023년부터 폐지하기로 해 CATL의 입지는 더욱 좁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중 배터리의 대표 주자이자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패권을 놓고 치열한 다툼을 벌이고 있는 LG에너지솔루션과 CATL의 경쟁력을 SWOT 분석을 통해 살펴봤다.배터리 최강자 자리를 놓고 한국과 중국을 대표하는 LG에너지솔루션과 CATL(닝더스다이)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K배터리 맏형인 LG에너지솔루션은 세계 1위 배터리 기업 중국 CATL을 뛰어넘고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패권 전쟁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총력전에 나선다.LG에너지솔루션은 상장을 통해 마련한 10조2000억원의 투자금으로 북미 지역 5조6000억원 등 전 세계 생산 기지에 2024년까지 약 9조원을 투자해 국내외 생산 능력을 확대할 계획이다.미국·중국·유럽 등 생산 기지 증설로 생산 능력을 현재의 2배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에도 공

    2022.02.08 06:00:13

    미국 시장 선점, 세계 1위 탈환 나선 LG에너지솔루션
  • 메이드 인 차이나의 역습…‘내수용 꼬리표’ 떼는 CATL

    [스페셜 리포트] 한·중 배터리 자존심, LG에너지솔루션 vs CATL 2011년 설립된 중국 CATL은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해 10년 만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에 올랐다. 2021년에는 정보기술(IT) 업체 등을 제치고 중국 제조 업체 최초로 선전증시 시가 총액 1위에 올랐다. 1월 26일 종가 기준 CATL의 시가 총액은 1조3700억 위안(약 259조원)에 달한다.창업자인 쩡위친 회장은 휴대전화 배터리 업체인 ATL을 시작으로 2011년 전기차 자동차용 배터리 생산을 위해 CATL을 설립했다.삼성과 애플에 배터리를 납품하는 높은 기술력을 갖춘 ATL의 배터리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노하우를 축적했다. CATL의 성공은 중국 정부의 보조금 지원 등 전폭적인 정책 지원 덕분이다.  ‘온실’ 벗어난 해외에서도 통할까중국 정부는 2015년 중국의 신성장 기업 육성 전략을 담은 ‘중국 제조 2025’ 계획을 발표한 뒤 2016년 1월부터 보조금 규제를 시행했다. 정부가 여러 기준에 따라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차량을 심사한 뒤 보조금 지급 대상 차량을 공개하는 방식이다.중국 정부는 2017년 리튬 배터리 가이드라인의 화이트 리스트를 정해 51개의 중국 기업의 배터리만 전기차에 부착할 수 있도록 규제해 왔다. 이 제도는 2019년 폐지돼 현재는 자율 경쟁 체제로 바뀌었지만 CATL은 이 과정에서 비약적으로 생산을 늘리며 외형 확대와 점유율 격차를 벌릴 수 있었다.CATL은 리튬 이온 배터리(78.4%), 폐배터리 재활용(6.8%), 에너지 저장 시스템(3.9%)을 주력으로 하며 2020년 기준 중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 내 점유율 49%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CATL은 중국 시장을 노리는 테슬라의 배터리 공급 파트너사로 선정되며 성장 궤도에 올라섰

    2022.02.08 06:00:06

    메이드 인 차이나의 역습…‘내수용 꼬리표’ 떼는 CATL
  • LG엔솔, 배터리 특허만 2만2800건…CATL의 10배

    [스페셜 리포트] 한·중 배터리 자존심, LG에너지솔루션 vs CATL LG에너지솔루션은 세계 최다 특허와 30여 년의 노하우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중국 CATL이 2200여 건의 배터리 관련 특허를 보유한 반면 LG에너지솔루션은 이보다 10배 이상 많은 2만2800여 건의 특허를 확보하는 등 기술력에서 초격차를 유지하고 있다.전 세계에 3300여 명의 연구·개발(R&D) 인력을 보유한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10여 년간 2조원 이상을 R&D에 투자했다. 매년 매출액의 5~6%를 R&D에 투입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1년 니켈 함량이 85~90% 수준인 NMCA 양극재가 탑재된 배터리를 업계 최초로 선보였다. NCMA 양극재는 기존 삼원계 NCM(니켈, 코발트, 망간) 양극재에 알루미늄을 더해 배터리 출력과 안전성을 높인 차세대 소재다.  1. 독보적인 차세대 전극 기술LG에너지솔루션은 2007년 세계 최초로 삼성분계 NCM 523(니켈 5, 코발트 2, 망간 3) 양극재 적용 배터리를 양산한 데 이어 2016년에도 세계 최초로 NCM 622 양극재 적용 배터리를 양산했다.LG에너지솔루션은 차세대 양극재로 각광받고 있는 하이니켈 분야에서도 용량·수명·저항 등 모든 성능이 앞서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배터리를 올해 양산할 예정이다.NCMA 배터리의 니켈 함량은 90%에 달하고 코발트는 5% 이하이며 급속 충전까지 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2019년 기존의 음극재에 실리콘을 첨가해 20분에 80% 이상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세계 최초로 양산해 유럽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에 납품했다.  2. 2mm 초슬림 배터리 구현 ‘라미 앤드 스택’ 공법LG에너지솔루션은 양극

    2022.02.08 06:00:04

    LG엔솔, 배터리 특허만 2만2800건…CATL의 10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