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중선 딜로이트 컨설팅 상무] 최근 자동차 업계의 화두 중 하나는 전기차를 필두로 한 ‘친환경차’다. 테슬라는 3만5000달러의 파격적인 가격을 내걸고 2년 뒤 출시할 모델3의 예약 주문을 무려 37만3000대나 받는 기염을 토했다.
정부도 현재 km당 140g 수준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20년까지 97g대로 대폭 절감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지난해 말 ‘3차 친환경차 개발 및 보급 계획’을 통해 2020년까지 친환경차 보급 90만 대 달성 정책을 추진 중이다. (사진) 테슬라가 2년 뒤 출시할 전기차 ‘모델3’. /한국경제신문
◆절대적으로 미흡한 친환경차 인프라
하지만 국내 친환경차 시장의 보급 상황은 녹록하지 않다. 1, 2차 친환경차 보급 계획의 달성률은 56%대로, 3차 계획의 첫해인 올해 전국 전기차 보급의 50%를 책임질 제주도의 목표 달성률은 40%에 미치지 못한다.
문제는 내연기관과 확연히 다른 사용 경험을 충족시킬 인프라 여건이 절대적으로 미흡하다는 것이다. 전기차 보급의 최대 관건은 ‘주행거리 불안’의 해소다. 미국의 전기차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이용자의 70%는 집이나 직장에서 장시간 주차 중 충전하는 게 보편적이다.
또한 완충 거리 200km 미만인 현 기술 수준에서는 주요 교통 거점과 도로를 중심으로 비상시 급속 충전 시설이 필수적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처럼 연료 보급이 필요할 때 충전소에 들르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폰 사용과 같은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즉, ‘1차량 1완속 충전’ 환경이 필수적이며 차량 보급 대수에 따라 비례적으로 충전소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커버리지를 갖춘 충전소 망을 선제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급선무다.
이를 위해서는 충전기 구축, 운영에 대한 정부의 지원 및 규제 완화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전기차 구매자가 400만원에 달하는 충전기 설치비를 부담해야 하고 그나마 공동주택 거주자는 입주자 대표 회의의 승인을 얻어야 하는 등 사실상 개인으로서는 불가능한 조건에 맞춰야 한다.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차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다. 국내 자동차 업계 역시 친환경차로 급속히 갈아타고 있는 상황에서 지금 당장 판매 대수 확대를 위한 보조금도 중요하지만 이용자의 사용 경험을 통해 장애가 되고 있는 인프라를 먼저 구축할 필요가 있다.
joongsunko@deloitte.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