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차원 국가 전략안 마련, 치매 서포터 800만 양성

고령사회는 아프다. 무병장수가 힘들기 때문이다. 대부분은 병 한두 개를 짊어진 채 장수 열차에 올라탄다. 질병은 노후 설계의 최대 복병이다. 노인 인구의 전유물로 이해되는 치매는 특히 두렵다.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의 일상생활마저 황폐화시킨다. 시설 간병은 비용 압박이, 재택 간병은 가족 손길이 필수다. 가족 파탄은 시간문제다. 긴 치매는 효자조차 무릎 꿇린다.

고령화는 치매 사회로 치환된다. 65세 이후 치매 환자가 급증한다는 게 의학계의 정설이다. 일본을 봐도 그렇다. 건강식에 익숙한 일본 노인에게조차 치매 위협이 일상적이다. 4명 중 1명(초고령사회)이 노인 인구답게 치매 인구가 상당수에 달한다. 2012년 현재 462만 명으로 치매 유병률은 15%로 집계된다(한국 9.2%, 61만 명).


노인 5명 중 1명이 치매 환자
문제는 증가세다. 65세 이후에는 대략 6년마다 2배씩 치매 환자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70세를 넘기면 치매 환자가 급속하게 증가한다는 의미다. 10년(2025년) 후면 치매 인구가 최대 730만 명까지 치솟는다(후생성). 노인 인구 5명 중 1명꼴이다. 체감 공포는 높다. 일본 노인은 노후 건강과 관련해 치매를 가장 두려워한다.
고령사회의 그늘…치매 퇴치 총력전
정부는 치매와의 전쟁에 나섰다. 최근에는 치매 시책을 종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국가 전략안을 여당에 제출했다. 여당이 동의하면 정식 방안으로 결정된다. 모두 7대 범주로 구성되는데 적시적기의 의료·간병 제공, 환자·가족 의견의 반영 중시 등이 대표적이다. 지역 보호 체제 정비, 사기 등 피해 방지, 간병 부담 경감 로봇 개발 지원, 직업·간병의 양립 지원 환경 정비 등도 있다. 목표는 치매 발생 후의 일상생활 유지를 위해 근로 지속, 봉사 활동 등이 가능하도록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다. 현역 인구의 발병 때는 지자체 상담 창구에 지원 단체와 본인을 연결하는 전문가를 배치해 커버할 계획이다.

특히 예방 치료 차원에서 올해 안에 조기 진단법을 확정하고 근본적인 치료약을 2020년까지 내놓겠다는 야심찬 계획도 덧붙였다. 이는 기존 대책의 반성에서 비롯된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부터 ‘치매 시책 추진 5개년 계획(오렌지 플랜)’을 시작했지만 호응은 낮았다. 사후적인 의료·간병 중심 때문에 간병이 불필요한 초기 단계 환자 지원과 생활 지원 서비스 부족이 끊임없이 지적돼 왔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전담 부서인 후생성 이외에 내각부·소비자청 등 관계 기관의 횡단적인 업무 구성이 추가된다. 대상 기간은 2025년까지다.

국가 전략안의 구체 사업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치매 초기 집중 지원 팀 설치 추진’이다. 의료·간병 전문가가 팀을 이뤄 치매 환자를 방문·지원하는 사업으로 2018년부터 모든 지자체가 실시할 계획이다. ‘간호 직원의 치매 대응력 향상 연수’는 새로 삽입됐다. 치매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돌보기 위해서다. 환자를 지원하기 위해 최저 요건의 지식·기능을 습득하게끔 연수하는 ‘신입 간병직의 이러닝 도입’도 추가됐다. 또 치매 대응력을 갖춘 의사를 2017년까지 모두 6만 명으로 확대한다. 동시에 치매에 관한 정확한 지식·이해를 갖고 지역사회에서 환자·가족을 보조하는 ‘치매 서포터’를 2017년까지 800만 명 양성할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치매 원인을 찾는 대규모 역학 조사가 국가 차원에서 진행된다.


전영수 한양대 국제학대학원 특임교수(전 게이오대 방문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