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금리와 안정성이 가장 큰 매력, 위안화 상승은 ‘덤’

<YONHAP PHOTO-0786> In this Jan. 25, 2011, photo released by China's Xinhua news agency, a teller count RMB banknotes at a bank in Linyi, east China.  China's central bank raised interest rates for the second time in just over a month in a bid to dampen high inflation and guide blistering economic growth to a sustainable level. (AP Photo/Xinhua, Zhang Chunlei) NO SALES/2011-02-09 06:57:07/
<저작권자 ⓒ 1980-2011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In this Jan. 25, 2011, photo released by China's Xinhua news agency, a teller count RMB banknotes at a bank in Linyi, east China. China's central bank raised interest rates for the second time in just over a month in a bid to dampen high inflation and guide blistering economic growth to a sustainable level. (AP Photo/Xinhua, Zhang Chunlei) NO SALES/2011-02-09 06:57:07/ <저작권자 ⓒ 1980-2011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은 지난 7월 3일 방한 때 한중 정상회담 후 한국에 중국 자본시장을 개방하는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을 발표했다. ▷위안화 허브로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과 청산 결제은행 지정 ▷위안화 적격 해외 기관투자가 자격제도(RQFII) 허용 ▷적격 해외 기관투자가 자격제도(QFII) 확대 ▷위안화 표시 채권 발행 장려 등이다. 그중에서 금융 투자자로서 가장 관심이 가는 대상은 RQFII와 중국 채권시장이다.


주 타깃은 국채와 정책금융채
그동안 국내 투자자들에게는 ‘50% 이상 주식 투자’의 조건이 있는 QFII가 허용돼 주로 중국 주식시장을 위주로 접근했다. 반면 채권시장 투자를 위해서는 RQFII 라이선스가 있는 홍콩의 금융회사에 50bp(1bp=0.01% 포인트) 전후의 수수료를 지불했어야 했다. 그러나 이번 한중 정상 간 합의로 이제 한국도 중국 채권시장에 좀 더 수월하게 접근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일계로 국내의 저금리로 중국 은행들의 위안화 예금에 시중 자금이 1년 만에 12조 원이나 몰린 것처럼 해외 투자와 상품 개발은 이제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중국 채권 발행시장은 발행 주체를 기준으로 국채, 지방정부채, 중앙은행어음, 금융채(정책·상업), 회사채(국유·민간·어음), 국제위안화채권(팬더본드·딤섬본드)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발행 및 거래 비중은 금융채>국채>회사채 및 기업어음순이며 잔존 만기는 3년 전후 구간이 가장 많다. 이 중 발행 비중을 기준으로 볼 때 가장 많이 발행되는 채권은 정책금융채다. 대표적인 것이 중국개발은행(CDB) 채권이며 한국과 비교해 보면 산업은행 채권과 신용도나 기능적인 면에서 매우 유사하다. 정책금융채는 전체 발행 물량의 35%를 차지하고 있고 금리도 4.5%나 돼 비슷한 신용도를 갖고 있는 한국의 산업은행 채권이 2.7% 정도의 금리인 것을 감안하면 좋은 투자 대상이다. 정책금융채에는 3대 정책 은행인 중국개발은행·수출입은행·농업발전은행의 채권이 있다. 거래는 은행 간에서만 거래돼 거래소 투자를 하는 기존의 QFII 투자자는 매매할 수 없었다.

그다음은 전체 발행 물량의 28% 정도를 차지하는 국채다. 중국 중앙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3개월물에서 50년 만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국채가 발행된다. 국채의 유통은 거래소와 은행 간 시장 모두에서 거래되며 상업은행이 거래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셋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민간 기업의 회사채다. 회사채가 전체 발행 물량의 8%, 기업어음이 전체 발행 물량의 9%를 차지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중국 채권시장은 발행 잔액 기준으로 미국·일본·프랑스에 이어 세계 4위의 규모이며 한국의 3배 수준이다. 중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채권시장 규모는 50% 수준으로, 한국이 100%를 웃돌고 미국·일본 등 주요국이 200% 전후 수준임을 감안하면 경제 규모 대비 채권시장 규모는 작은 편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중국 채권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채권을 매매할 수 있는 중국 채권 유통시장은 장외시장과 장내시장으로 구성되며 장외시장은 은행 간 채권시장, 상업은행 창구 시장으로 장내시장은 상하이·선전 증권거래소 시장으로 나눠진다. 그중에서 은행 간 채권시장이 유통시장의 대부분인 87% 정도를 차지하며 거래소 시장은 상하이가 대부분이다.

은행 간 채권시장은 상업은행 위주의 기관투자가를 위한 시장으로, 현재 비중이 큰 국채와 정책금융채의 발행과 유통의 주요 시장이며 기업의 자금 조달과 인민은행의 공개시장 조작이 이뤄지는 시장이다. 6000여 개의 기관이 참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채권이 거래된다. 거래는 상대매매로 진행되며 중앙국채등기결산공사(CGSDTC)가 예탁·결산을 담당한다.


연 6% 수익 기대 가능해
거래소 채권시장은 보험사·펀드 등 비은행 기관투자가와 개인들이 참여한다. 거래되는 채권의 종류는 회사채·전환사채(CB)·자산유동화증권(ABS) 등이고 국채도 일부 거래된다. 최근에는 정책금융채인 중국개발은행채도 거래를 시작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중국 채권 유통시장은 2000년 2조 위안에서 2013년 260조 위안으로 10여 년 동안 130배 가까이 성장하는 고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중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2008년 호황기 때 4.6%까지 상승했다가 금융 위기로 2.7%까지 하락했다. 이후 3%대에서 등락하다가 2014년 중국의 그림자 금융 등 유동성 우려로 5.0%까지 급등 후 하락, 현재 4% 초반대 수준이다. 한국 국고채 10년물보다 110bp나 높다.
[조용준의 중국 재테크] 문 열린 중국 채권시장…‘대박’을 잡아라
한국은 금융 위기 이후 금리가 하락한 반면 중국은 상승해 3년물 기준으로 보면 마이너스였던 양국의 금리 차가 2012년부터 플러스가 돼 현재는 중국이 140bp 높다. 채권 종류별로 차이는 있지만 중국의 채권은 신용 등급이 비슷한 한국 유사 채권 대비 전반적으로 100bp 이상 높은 수준으로 금리 메리트가 있다. 크레디트물은 신용 평가 제도가 달라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평균적으로 200bp 이상의 금리 차가 있어 상당한 투자 기회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중국 채권으로 예시로 중국개발은행(CDB) 채권의 투자 기회에 대해 살펴보자. 금리가 4.5% 수준인 중국개발은행 채권을 매입 후 환율을 헤지하려면 먼저 ①위안화에서 달러로 ②달러에서 원화로 2번의 환전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①은 CNH-USD 통화 스와프를 지급하므로 2.2%의 비용이 발생한다. ②는 KRW-USD 통화 스와프를 수취하므로 1.6%의 수익이 발생한다. 따라서 ‘4.5%-2.2%+1.6%=3.9%’의 총수익을 거둘 수 있다. 이는 같은 신용 등급(AA-)의 국내 KDB산업은행 채권 금리인 2.7%보다 1.2% 포인트의 초과 수익을 거둘 수 있다.

또 하나의 기회는 위안화 강세다. 중·장기적으로 위안화 국제화 추진 등에 따라 위안화 강세가 예상돼 환 헤지를 하지 않으면 4.5%+환차익이 발생하는데 올해를 제외한 최근 3년간 위안화가 연간 2~3%씩 절상된 것을 감안하면 6% 이상의 수익도 바라볼 수 있다. 또 원·달러를 헤지하고 위안화는 헤지하지 않으면 오히려 1.6%의 추가 수익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환율과 금리 차이를 감안하면 중국 채권시장은 많은 투자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용준 하나대투증권 리서치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