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박 행진’ 대형 연예 기획사들

아이돌 스타들이 TV와 스크린, 뮤지컬 무대까지 종횡무진 활약하면서 이들을 키워내는 연예 기획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연예 기획사로는 이수만이 이끄는 SM엔터테인먼트와 양현석이 중심이 된 YG엔터테인먼트, 박진영이 진두지휘하는 JYP엔터테인먼트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들 ‘빅3’ 모두 최고 사령탑이 가수 출신이라는 점이 공통점이다.
[아이돌 스타, 연예 산업 판 바꾸다] SM, 1분기 매출 227억…소녀시대 ‘힘’
SM엔터테인먼트(SM)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스타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체계화하며 ‘연예기획사=SM엔터테인먼트’라는 등식을 만들어 낸 사실상 연예 기획사의 ‘맏형’ 격이라고 볼 수 있다.

SM은 1990년대 중반 H.O.T.라는 아이돌 스타를 시장에 내놓으면서 대중들의 시선을 사로 잡는 데 성공한다. 이들이 이전의 가수들과 다른 점이 있다면 철저한 훈련 시스템 속에서 ‘만들어진’ 아이돌 스타였다는 점이다.

‘맏형’답게 이 회사 소속 아이돌 스타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화려하다는 말로는 부족할 지경이다. 요즘 최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는 소녀시대를 비롯해 슈퍼주니어, 동방신기, 샤이니 등 내로라하는 아이돌 스타들이 SM에서 한솥밥을 먹고 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톱스타로 대우받는 ‘아시아의 별’ 보아 역시 SM 소속이다.

지금은 어엿한 월드 스타가 된 비를 배출해 낸 JYP엔터테인먼트는 독특한 마케팅으로 스타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표 박진영의 음악적 스타일이 그대로 반영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제작자인 박진영이 작곡·안무·프로모션에 모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소속 아이돌 스타들의 음악적 스타일을 모두 디자인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원더걸스의 해외 진출 역시 박진영의 글로벌한 매니지먼트 전략과 맞닿아 있다는 평가다. JYP가 만든 또 다른 히트작은 ‘데이 그룹’ 2PM과 2AM이다.

오후 2시에 적합한 댄스 음악을 선보이는 그룹과 오전 2시에 적합한 감성적인 음악을 하는 그룹으로 나눠져 있지만 한 그룹 같기도 하며 따로 떨어진 그룹 같기도 하다고 해서 ‘데이 그룹’이라고 불린다. 아이돌 그룹도 박진영다운 독특한 방식으로 탄생한 것이다.

YG엔터테인먼트는 YG패밀리라는 이름으로 더 알려져 있다. 힙합 음악의 패밀리 커뮤니티를 강조하면서 가장 성공한 흑인 힙합음악 주류 기획사가 됐다. 세븐이라는 신예가 혜성같이 등장해 YG패밀리를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이후 그 바통을 아이돌 그룹 빅뱅이 이어받았다. 빅뱅은 2006년 데뷔 이후 꾸준히 인기 몰이를 하며 YG 소속 가수 중 최고의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만들어진 스타들…마케팅도 ‘레벨업’

YG는 대표 양현석의 음악적 개입을 최소화하고 멤버들의 개인 능력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JYP와 대조를 보인다. 또 YG는 연습생을 선발할 때 ‘얼굴을 보지 않는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빅뱅의 대성과 2NE1(투애니원)의 민지는 처음 시장에 진입할 때 ‘팀에서 가장 못생긴 애’라고 불렸지만 자신만의 매력을 발산하며 대중들에게 어필했다. 아이돌 스타들을 통해 대형 연예 기획사들이 벌어들이는 수입은 어느 정도나 될까.
[아이돌 스타, 연예 산업 판 바꾸다] SM, 1분기 매출 227억…소녀시대 ‘힘’
SM은 지난 5월 13일 올 1분기 매출액이 227억 원, 영업이익이 104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58%, 영업이익은 471%나 증가한 수치다.

SM은 지난해 93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바 있다. 올해 1분기에만 작년 전체 이익을 훌쩍 뛰어넘는 좋은 성적표를 올린 셈이다.

이에 대해 증권사 애널리스트들도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김창권 대우증권 연구원은 “SM의 1분기 실적은 연간이 아니라 분기”라며 “완벽한 어닝 서프라이즈”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2분기에는 슈퍼주니어와 에프엑스, 3분기엔 소녀시대의 일본 활동과 보아의 10주년 기념 음반 발매가 예정돼 있어 실적 개선 폭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SM의 이 같은 ‘성공’은 소녀시대 덕분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SM의 ‘소녀시대 대박’은 ‘신규 시장 창출’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이야기한다.

기존에는 엔터테인먼트 회사들이 ‘오빠 부대’의 구매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는데 소녀시대의 등장 이후로 ‘삼촌 부대’, ‘아빠 부대’들이 시장에서 힘을 발휘하기 시작한 것.

음반 업계 관계자는 “10대 청소년들과 달리 아빠·삼촌들은 구매력이 풍부하다”며 “새로운 시장을 창출한 만큼 향후 전망 역시 밝다”고 말했다.

‘소녀시대의 힘’은 SM 주가에서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SM의 주가는 소녀시대가 데뷔한 2007년 8월 3000원대에 머무르다 금융 위기가 정점에 달했던 2008년 10월 27일 865원까지 급락했었다.

하지만 ‘소원을 말해봐’, ‘지(Gee)’ 등이 잇따라 히트하면서 SM의 주가도 같이 뛰기 시작했다. 5월 28일 현재 SM의 주가는 1만800원대에 형성돼 있다. 결과적으로 SM 주가는 최저점 대비 10배 이상 급등하는 데 성공했다.

이와 관련해 신영증권은 얼마 전 디지털 음원 시장 확대가 SM의 향후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애플이 아이폰 음원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을 허용하면서 음원을 소비하는 방식이 ‘저장하는 방식’에서 ‘접속하는 방식’으로 급격히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디지털 음원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기업공개에도 긍정적 작용
[아이돌 스타, 연예 산업 판 바꾸다] SM, 1분기 매출 227억…소녀시대 ‘힘’
YG도 지난해 사상 최대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 금융감독원에 제출된 YG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YG는 지난해 총 357억 원의 총매출을 기록했다.

YG는 지난 2007년에는 115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이어 2008년에는 185억 원을 기록하는 등 꾸준한 매출 상승세를 나타내다가 지난해 300억 원을 돌파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2008년에 비해 92% 이상 성장한 것이다. 매출액 상승률만 놓고 보면 오히려 SM을 앞서는 수준이다.

YG는 빅뱅과 걸그룹 2NE1이 폭발적인 인기 몰이를 한 데다 음반·음원·CF 등으로 벌어들인 수입이 매출 증대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YG는 지난해 영업이익 74억 원, 당기순이익 42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이 같은 호성적은 YG의 연내 상장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YG는 지난 2005년 대우증권과 기업공개(IPO) 주관 계약을 맺고 상장을 준비해 왔다. 김창권 대우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실적도 좋고 그동안 준비도 착실히 해 왔기 때문에 연내 상장은 무난하게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JYP도 지난해 102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 100억 원대를 넘어서는 데 성공했다. 2008년 대비 약 7% 하락했지만 JYP의 에이스 격인 원더걸스가 지난해 국내 활동을 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양호한 수준이라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대신 화제의 아이돌 그룹 2PM이 원더걸스의 공백을 채우며 분전했다. JYP는 지난해 47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는데, 이는 회사의 아티스트들의 부진 때문이 아니라 원더걸스의 해외 진출을 위한 투자에 열중하면서 순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예 기획사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투명하게 드러나지만 소속 아이돌 스타가 실제로 벌어들이는 수입이 어느 정도인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톱 클래스 스타의 경우 매년 1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SM이 소속 가수 동방신기와 법정 다툼을 벌이면서 법원에 낸 소송 자료에서 동방신기가 5년간 매출액으로 498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힌 데서 짐작할 수 있다.

일부에서는 이 이상의 수익이 발생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원더걸스의 경우 CF로만 한 해 30억 원 이상의 수입을 올리는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김재창 기자 chang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