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재료가 많은 지역일수록 뜬소문이 나도는 법. 지난해 10월 헌법재판소의 신행정수도특별법 위헌결정 이후 폭락 장세를 보였던 충청권이 올 초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새롭게 가닥을 잡으면서 다시금 정체불명의 ‘풍문’이 나돌고 있다. ‘어느 어느 지역에 대기업 공장이 들어온다, 어느 학교가 이전한다’ 등 근거가 불명확한 소문이 부동산 투자자의 기대심리를 부채질하고 있는 것.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출처가 정확하지 않은 소문에 기대거나 무리한 투자는 금물”이라고 강조한다.충청권 투자는 제한요소가 많다. 특히 토지투자의 경우 공주, 연기 등 행정중심복합도시 관련 지역이 대부분 토지거래특례지구로 묶여 거래는 물론 개발에서도 직접적인 제약을 받는다.특히 지금 사서 단기간 운용한 후 되팔아 시세차익을 남기겠다는 생각은 아예 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안명숙 우리은행 PB사업단 부동산팀장은 “많은 지역이 규제에 묶여 있어 거래 활성화나 호가 상승 가능성이 낮은 만큼 단기 토지 투자는 원천봉쇄나 마찬가지”라며 “이미 가격이 높게 형성돼 있어 자칫 무리한 투자를 할 경우 장기간 자금이 묶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당연히 수요자들이 관심을 돌릴 수 있는 범위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이나 투기지역으로 묶이지 않은 지역으로 집중된다. 현재 일반투자가 가능한 지역은 신행정수도특별법 위헌결정 이후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된 충북 보은, 옥천, 진천, 음성군과 충남 금산군 등지가 대표적이다. 또 당진, 서산, 예산 등도 제한권에서 비켜나 있어 투자자가 몰리는 상황이다.이들 지역에 대한 투자 역시 장기 포트폴리오 구성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고종완 RE멤버스 대표는 “최소 5년 이상 앞을 내다보는 안목으로 실수요자 입장에서 접근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하고 “융자를 받거나 법규를 어긴 이면 계약 등을 동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정광영 한국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도 “투자에 앞서 현장을 실사하는 것은 물론 지자체에 관련 서류를 확인하고 자금계획을 안전하게 세워 투자에 나서야 한다”면서 “풍문에 기대감을 갖거나 단기수익을 추구하는 것은 충청권 투자에선 절대 금물”이라고 말했다.임달호 현도컨설팅 대표는 “하락기에 대비하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임대표는 “아파트나 토지가격이 언제까지나 오를 수는 없다”고 전제하고 “행정중심복합도시 인근지역의 경우 토지보상이 끝나고 나면 가격이 하락할 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매도시점 계획까지도 세워야 한다”고 밝혔다.아파트 투자도 마찬가지다. 2003년부터 충청권에는 건설업체의 소나기식 분양이 이어져 과잉공급이 우려되는 상황. 각종 개발재료들로 인해 장기적으로 인구유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단기적으로는 미분양이나 공실주택 증가의 우려도 크다. 고종완 대표는 “개발효과가 아무리 폭발적이라 하더라도 가시화되는 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며 신중한 투자를 권했다.이와 함께 정치적 변수도 염두에 둬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 10월 위헌결정 이후 충청권 부동산시장이 폭락장세를 경험했듯, 정권교체 등 변수에 따라 투자성패가 나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만큼 충청권 투자는 변수도, 위험도, 성공 가능성도 높은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