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사태가 한치 앞을 내다보기 힘들다. 금융시스템의 붕괴에다 정국불안까지 겹치면서 대외채무 지불불능사태로 비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금융기관과 기업들은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한 대비책을 준비하고 있고 정부도 뉴욕외채협상 등으로 한숨 돌린 외환위기가 재발되지 않을까 예의주시하고 있다.전문가들은 인도네시아의 지불불능사태가 △금융기관 부실화 △수출감소 △현지투자위축 △외자유치차질 등으로 한국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먼저 금융기관의 부실화를 들 수 있다. 국내 금융기관이 지난해 3월말현재 인도네시아 민간기업에 빌려줬거나 금융상품에 투자한 액수는 모두 53억 달러. 최악의 사태가 발생하면 이자는 물론 원금도회수하기 힘들다. 국내금융기관은 부실채권을 전부 「회수의문」으로 분류, 1백%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해야 한다. 부실채권의 급증은금융기관의 부실뿐만 아니라 기업체에 대한 대출억제와 기존여신회수 등으로 이어져 가뜩이나 자금난에 시달리는 기업의 숨통을 죄는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국내기업의 인도네시아 수출에도 적신호가 켜진다. 인도네시아는 90년대 들어 한국의 주요 수출시장으로 성장했다. 지난해 11월말까지 인도네시아에 대한 수출액은 33억달러로 전체 수출의 2.7%를 차지했다. 재계에서는 인도네시아에 대한 직접투자와 건설수주에 따른 유발수출 등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또한 현지에 직접 진출한 업체들도 큰 손실을 입을 전망이다. 현재인도네시아 내수시장을 겨냥한 가전업체 등은 사업계획을 대폭 수정하고 있다. 건설업체도 공사대금을 제때 받지 못해 철수하는 경우가 많다. 약 3천5백만 달러 규모의 호텔과 쇼핑몰을 건설중이던SK건설은 이미 지난 1월말 공사팀을 철수했다.직접적 영향 말고도 외국인투자자들이 한국을 인도네시아와 같은등급의 투자지역으로 분류하는 것이 더욱 치명적이라고 전문가들은지적한다. 인도네시아에서 혼이난 외국인투자자들이 한국에서 급격히 철수하거나 투자금액을 줄이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우려한다.이같은 재계의 우려에 비해 정부측은 다소 낙관적이다. 김용환 비상경제대책위 대표는 지난달 중순 『인도네시아 사태 등과 관련해경제위기론이 제기되고 있으나 다소 과장됐다』는 견해를 피력했다.그러나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최악의 사태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심재웅 LG경제연구원 연구원은 『최근 산업은행이국제채권은행단의 일원으로 참여했듯이 적극적으로 채권를 회수할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