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정부에서 신설된 청와대 정책기획수석실의 멤버가 대부분옛 경제 기획원 출신의 경제관료들로 메워져 앞으로 경제수석실과의 업무중복이 불가피할 것이란 지적이 일고 있다. 또 경제수석실의 경우 재벌정책 전문가들이 많아 향후 대기업 개혁의 강도에 관심이 모아진다.우선 청와대내 선임 수석인 정책기획수석실의 인맥은 기획원 관료출신들이 완전 장악했다. 강봉균 정책기획수석부터가 기획원에서잔뼈가 굵은 경제관료인데다 4명의 비서관중 비경제분야를 관장하는 김득회 정책2비서관(국민회의 출신)을 제외하곤 3명의 비서관이 모두 기획원 출신이다. 정책총괄업무를 맡을 최종찬 기획조정비서관은 기획원 기획국장과 조달청 차장을 지냈고 거시경제분야의이윤재 정책1비서관은 재경원 예산심의관과 경제정책국장을 거쳤다. 미시경제와 사회복지분야를 담당할 오종남 정책3비서관은 기획원 동향분석과장 대외총괄과장 출신이다. 마치 과거 재정경제원의 경제정책국을 그대로 옮겨다 놓은 인상이다.이런 이유 때문에 앞으로 정책기획수석실이 경제정책 결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며 경제수석실의 업무를 「침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김태동 경제수석이 학자 출신으로 경제정책에 관한 한 「아마추어」라면 강봉균 수석은 노동부 차관, 총리실 행정조정실장, 정보통신부 장관을 역임한 「프로」급이어서 그런 분석이 더욱 힘을 얻는다.이와관련 청와대는 정책기획수석실이 국가 장기정책을 주도하는 반면 경제수석실은 일선 경제부처의 현장업무를 챙겨 역할이 겹치는일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정책기획수석실이 머리라면 경제수 석실은 손 발 정도의 기능을 할 것이란 얘기다. 그러나 정책기획수석실 인맥의 면면이 경제 전문가들로 편중돼 있어 경제수석실과 어느정도의 업무중복과 충돌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여기에 경제특보가 임명될 경우 중요한 경제정책 결정을놓고 청와대내에서 마저 다양한 견해들이 쏟아져 혼선이 빚어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지적이다. 일선 경제부처에선 청와대 안에 시어머니만 늘게 됐다는 볼멘 목소리도 튀어 나온다.◆ 경제특보 임명시 정책 혼선 우려도김태동 수석을 중심으로 한 경제수석실을 보면 재벌정책 전문가들이 집결한 게 특징. 김수석이 경실련 정책연구위원장 출신으로 재벌개혁에 관심이 많았던 데다 경제수석실 실무총책인 이근경 재정금융비서관은 재정금융 보다는 대기업 정책이 주특기인게 사실이다.이 비서관은 기획원 종합기획과장, 공정거래위원회 거래국장을 거치면서 재벌개혁과 경영투명성을 강조해왔던 사람. 건설교통비서관으로 영입된 신봉호 전서울시립대 교수 역시 산업조직론을 전공하고 김수석과 함께 재벌문제를 연구해온 학자다. 그는 김대통령의자문교수단 추천으로 청와대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업계에선 상법이나 공정거래법 등 합법적인 방법을 통한 재벌개혁작업이 더욱 본격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한편 산업정보통신과학비서관으론 의외의 인물인 이인석 전대한무역진흥공사(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장이 전격 발탁돼 눈길을끌었다. 이비서관은 앞으로 재벌정책에서부터 정보통신 과학기술에이르기까지 부처간 산업정책을 조정하고 기안하게 된다.김대통령과는 4년여전 베를린 무역관장 시절부터 인연을 맺은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 영국에 유학중이던 김대통령이 베를린을 방문할때마다 직접 안내를 맡아 가까워졌다는 후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