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신사들은 대우사태이후 공사채형 수익증권의 신뢰성이 떨어지자 이를 대체하는 새 상품을 잇따라 발매하고 있다. 공사채형펀드의 위험성이 부각되자 수익성보다는 안전성에 초점을 맞춘 국공채펀드로 신규 고객을 유치하겠다는 전략이다.국공채펀드는 국고채, 지방채, 통안증권, 한전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보증한 채권, 정부투자기관이 발행한 채권 등 국공채에 집중투자하는 펀드를 말한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파산하지 않는 한 원리금을 떼일 염려가 없다. 사실상 부도 리스크가 제로인 셈이다. SK투신운용은 국공채에 펀드자산의 40%를 투자하는 「중기국공채펀드」를 SK증권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이 펀드는 국공채에 40%를 투자하고, 신용등급 A-이상인 우량회사채에 40%, 나머지 20%는 유동성자산으로 운용한다. 가입후 6개월이 지나면 환매매수수료 없이 원리금을 찾을 수 있다.채권형 뮤추얼펀드도 안전성을 중시하는 투자자들이 고려할만한 채권형상품이다. 특히 펀드간 부실채권의 편출입이 원천적으로 봉쇄돼 있어 투명한 펀드운용을 보장받을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채권형 뮤추얼펀드는 기존 뮤추얼펀드와 달리 주식에는 투자하지 않고 채권에만 투자한다. 주식형 뮤추얼펀드처럼 연 50~60%의 고수익은 기대하기 힘들지만 안전성이 뛰어나다는 게 최고 장점이다. 투자기간이 1년 또는 2년으로 못박혀 있어 중도에 돈을 찾을 수 없다는 점은 단점이다.채권형 펀드를 고를 때 신탁재산의 안전성 여부를 따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선 채권시가 평가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먼저 살펴봐야 한다. 그동안 대부분의 채권형펀드는 기준가격을 계산할때 채권을 취득한 가격(장부가)을 사용해 왔다. 따라서 가입할때의 제시 금리를 만기때 그대로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채권을 매일매일의 시세대로 평가해 기준가격에 즉시 반영하는 시가평가제를 적용할 경우 금리변동에 따라 수익률이 크게 달라진다.신규 설정되는 펀드는 모두 채권싯가평가제가 적용된다. 기존에 설정된 펀드는 예전방식 그대로 장부가격으로 기준가격을 산출한다. 그러나 2000년7월부터는 기존펀드 신규펀드 구분없이 모두 시가평가제를 적용받는다. 따라서 기존 추가형 펀드에 가입했더라도 만기가 2000년 7월이후라면 만기 때 시가평가제가 적용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대우채권이 편입된 공사채형펀드 가입자들은 주식형펀드로 전환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오는 11월11일과 내년 2월8일까지 기다렸다가 대우채권의 80%와 95%를 찾든지 아니면 당장 주식형펀드로 전환해 손실을 만회할 기회를 잡든지 양자간에 결정해야 한다. 물론 주식형으로 전환한다고 해서 무조건 손실이 보전되는 것은 아니다. 주가가 떨어지면 오히려 더 손해를 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