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3%, 일본 7.5% 등 …경기회복세 악영향

세계에 재정적자 적신호가 켜졌다.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홍콩, 브라질 등 많은 나라들이 급증하는 재정적자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홍콩 같은 일부 경제권은 국제투기자본으로부터 통화공격을 당할 위기에 처해 있는 실정이다.메릴린치증권은 1월9일 올해 미국 재정적자가 국내총생산(GDP)의 3%인 3,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해의 약 2배로 지난 92년(2,900억달러)을 능가하는 사상 최대규모다. 전문가들은 재정적자가 GDP의 3%를 넘으면 경제에 위험신호가 켜진다고 경고했다.일본과 독일은 더 심각한 형편이다. 올해 일본의 재정적자 예상액은 3,000억달러로 GDP의 7.5%에 달할 전망이다. 지난해는 7.2%로 3년 연속 증가했다. 독일은 지난해 재정적자 한계선(GDP의 3%)을 넘어선 3.8%(약 800억달러)에 이르렀다.최근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독일 재정적자가 올해도 GDP의 3%를 초과할 것”이라며 대책을 촉구했다. 지난해 GDP의 2.7%였던 프랑스 재정적자는 올해 2.9%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이밖에 홍콩과 브라질 등 신흥시장권의 재정적자도 대부분 GDP의 5%를 넘고 있다.홍콩달러 가치붕괴 우려홍콩의 둥젠화 행정장관은 이날 “지난해 1~10월까지의 재정적자액이 708억 홍콩달러(약 90억달러)로 GDP의 5%를 넘어섰다”며 이로 인해 미 달러화에 고정돼 있는 홍콩달러 가치를 붕괴시키려는 투기세력의 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홍콩달러는 지난 97년에도 국제투기세력의 표적이 돼 아시아 외환위기를 부추긴 전력이 있다.미국도 재정적자 확대로 부시 대통령이 1월 초 발표한 경기부양책이 의회에서 원안대로 통과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미국경기 회복세는 탄력을 잃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일본에서는 재정적자를 메우기 위해 5%의 소비세를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장기불황을 타개하기 위해 소비세를 인하해야 할 판에 인상론이 대두되고 있는 것은 일본정부의 추가 경기부양책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얘기다.영국 <파이낸셜타임스 designtimesp=23399>는 “세계경제가 재정적자에 발목이 잡혀있다”며 경기회복세가 약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상하이 성장률 10% 넘어중국의 경제중심지인 상하이가 지난해까지 11년 연속 두 자릿수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 designtimesp=23405>이 상하이시의 발표를 인용, 1월10일 보도했다. 상하이시 통계국에 따르면 지난해 실질 역내총생산(GDP)은 총 5,408억7,600만위안으로 전년도에 비해 10.9%가 늘어 5년 만의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이는 2001년의 증가율 10.2%를 웃도는 것으로 지난해 중국 전체의 GDP 증가율보다 1.9%포인트가 높았다. 상하이시는 이에 대해 최근 외국기업들의 투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하고 지난해의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전년보다 14.5%나 증가한 50억3,000만달러에 달했다고 밝혔다.대만 콴타, 노트북 1위 고수대만의 콴타컴퓨터가 2개월 연속 사상 최대의 매출을 기록하면서 세계 최대 노트북생산업체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했다. 1월9일 대만 <전자시보 designtimesp=23417>에 따르면 콴타는 지난달 165억5,500만 대만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콴타는 연간매출도 1,423억1,400만 대만달러로 경쟁사인 컴팔일렉트로닉스보다 22%나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소식통들은 애플컴퓨터, 휴렛패커드, IBM, NEC 등 대형업체들의 주문을 충족시키기 위해 콴타가 상하이 송지앙 공단에 있는 공장의 생산용량을 현재의 30만대에서 2배인 60만대로 늘릴 예정이라고 전했다GM, 올해 주당 수익 5달러세계 최대의 자동차제조업체인 제너럴모터스(GM)는 올해 주당 5달러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시장조사기관인 ‘톰슨 퍼스트 콜’이 월가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주당 수익추정치 3∼7.05달러와 일치하는 것이다.GM은 지난해에 주당 6.75달러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공식결과는 내주에 발표될 예정이다. 한편 국제적인 신용평가기관인 S&P는 지난해 10월 GM의 연금비용 문제를 들어 장기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