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경제권(미국 주도), 유럽경제권(독일, 프랑스 주도), 동아시아경제권(일본, 중국 주도) 등

뉴밀레니엄시대를 맞은 지도 벌써 4년을 맞았다. ‘두려움 반, 희망 반’으로 맞았던 뉴밀레니엄이 지금까지 나타난 모습을 본다면, 두려움을 앞서게 할 정도로 세계경기의 동반침체와 테러, 전쟁 등으로 얼룩져 있다.앞으로는 어떻게 될까. 중장기적 관점에서 보면 최근과 같은 새로운 세기 초에 흔히 겪는 혼돈의 시대를 지나 세계경제나 한국경제 모두 지금과 비교되지 않을 정도의 대변화(mega-trend)가 밀려올 것으로 확실시된다.무엇보다 국제교역환경에 있어서 커다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미 지난해부터 21세기의 국제규범을 제공할 뉴라운드 개별협상이 본격화됐다. 뉴라운드는 과거와 달리 종래에 각국의 고유문제로 간주됐던 정책과 기준, 관행, 심지어 국민들의 의식수준까지 통일시켜 ‘공정한 경쟁기반’(level playing field)을 만들어 나가는 협상이다.현재 계획대로 뉴라운드협상이 순조롭게 추진돼 오는 2005년부터는 새로운 국제규범이 통용될 경우 세계인들은 지구촌 사회(global society)를 실감하게 될 것이다. 뉴라운드시대에서는 미국, 한국과 같은 국가명칭만 다를 뿐이지 경제적 측면에서는 세계 각국이 하나로 통합되기 때문이다.물론 인접국 혹은 경제적 이해관계를 같이하는 국가간의 통합움직임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뉴밀레니엄시대에 접어들어 이미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했고 이르면 올해 안에 러시아도 가입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그동안 논의차원에 그쳤던 소위 3대 광역경제권 체제가 급속히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다시 말하면 미국을 중심으로 한 북미경제권과 독일ㆍ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유럽경제권, 그리고 일본과 중국(경우에 따라서는 러시아 포함)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경제권간의 견제와 균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21세기의 세계경제’라는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국제통화질서도 달러화와 유로화, 아시아 단일통화를 축으로 한 3극 통화체제가 정착될 것이 확실시된다. 세계경제질서가 3대 광역경제권으로 재편되고 통합단계가 높아질수록 단일통화의 필요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3극 체제가 정착될 경우 환율제도로 이들 세 통화간의 환율움직임에 상하제한폭이 설정되는 목표환율대(target zone)가 도입될 가능성이 높다.이런 기반 위에 모든 기업들은 세계경영에 열을 올리게 될 것이다. 생산거점을 가장 싼 지역으로 옮아가야 국제분업상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고 기업생존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자연 국경개념이 약화되면서 ‘세계=국가=기업’이라는 등식이 빠르게 정착돼 경제활동 주체로서 기업이 더욱 중시될 것으로 예상된다.세계산업구조도 이미 정보, 통신, 인터넷과 같은 첨단기술업종이 세계국부창출의 주력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세계 각국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적 요소가 노동, 자본에서 지식과 정보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이에 따라 ‘도메인’ 경쟁력이 21세기에 새로운 국가경쟁력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앞으로 이런 추세는 빠른 속도로 진전될 것으로 확실시된다.이런 구조하에서는 기존의 제조업이 주도하는 시대에 있어서 나타나는 수확체감의 법칙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새천년에는 경제가 성장하더라도 수확체증의 법칙이 적용돼 인플레 부담이 거의 없는 ‘고성장-저물가’라는 신경제(new economy)가 보편화되거나 전통적인 제조업과의 균형을 강조하는 융합경제(fusion economy)가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이라크전쟁이 끝남에 따라 세계경제도 점차 회복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지역별로는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남북문제가 심화돼 세계경제 현안으로 대두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앞으로 세계경제나 세계경영을 추진하는 국가나 기업들에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대목이다.세계인의 생활에서도 현재 가상공간인 인터넷이 현실공간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전자상거래, 전자화폐가 확산되면서 개인의 자유와 창의가 시대정신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동시에 사회 전반의 투명성과 책임성이 크게 제고될 것으로 보여 그동안 위기요인으로 작용했던 도덕적 해이(moral hazard) 현상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반면 개인의 비밀보호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해짐에 따라 정보유출과 이에 따른 개인의 사생활 보호 문제가 사회적인 현안으로 대두될 가능성이 높다.이런 중장기적 환경하에 노무현 정부 출범 첫해를 맞아 새로운 성장전략을 모색하고 있는 한국경제와 국내 기업들의 여건을 좌우할 세계경제는 어떻게 될 것인가. 한마디로 ‘밀레니엄 국가전략과 기업경영 계획’을 다시 짜야 한다.첫째, 세계 보편적인 질서에 적극 부응해야 한다. 앞으로 정부는 뉴라운드와 같은 다자채널에 적극 부응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교역상대국과의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해 나가는 이원적 전략(two-track strategy)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들도 이에 맞게 세계경영의 틀을 다시 짜야 한다.둘째, 경제정책과 기업경영도 더 이상 국내 시장에 국한된 전략은 효용이 없어짐에 따라 다른 국가 혹은 외국기업과의 조화 문제에 신경 써야 한다.이를 테면 각종 관행과 기준을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되게 손질한다든가, 갈수록 브랜드 이미지가 중시됨에 따라 기업명이나 기업을 상징하는 로고와 상품명도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바꿀 필요가 있다.셋째, 수확체증시대에 맞게 지식업종을 전략적인 품목으로 육성해야 한다. 산업정책과 기업경영도 지식산업시대에 있어서는 될 수 있는 대로 종업원 자율에 맡겨 창의력을 최대한 북돋워 주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모든 규제는 국가나 기업, 개인의 발전을 후퇴시키는 ‘경제범’이라는 자세에서 바라봐야 한다.넷째, 국가와 기업들의 생존역량도 범위나 규모보다 위기관리능력에 찾을 수 있도록 각종 인프라를 미리 확보해 놓아야 한다. 기업 차원에서 환율, 금리와 같은 예측력을 높이고 가격변수 움직임에 따른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능력도 갖춰야 한다. 국제재무 전략도 함께 갖춰 놓으면 금상첨화다.다섯째, 소액주주와 외국인, 소비자를 비롯한 이해관계자들의 위상이 한층 강화되는 추세에 맞춰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도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 모든 경영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기업 스스로는 내부사정을 이해관계자들에게 적극 알리는 투자자관리(IR)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물론 정부 차원에서는 감독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마지막으로 남북한 통일에 대비한 국가전략과 경영계획을 함께 마련해 놓아야 한다. 정치, 사회적 통합뿐만 아니라 남북한 합작으로 21세기에 먹거리가 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산업과 전략상품을 개발해 놓아야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와 국내 기업들의 위상을 계속 유지,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