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담당자 2명 중 1명, '면접 때 자기검열 강화한다'



[캠퍼스 잡앤조이=김정민 인턴기자] 기업 인사담당자 절반 이상이 면접 질문이나 태도 면에서 이전보다 더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 421명을 대상으로 ‘면접 시 자기검열’에 대해 조사한 결과, 2명 중 1명은 과거에 비해 면접 질문이나 태도 면에서 ‘자기검열을 강화하고 있다’고 답했다.


질문과 태도 중 자기검열을 강화하는 부분은 ‘둘 다’(49.5%), ‘태도’(28.0%), ‘질문(22.4%)의 순이었다.


자기검열을 통해 면접에서 하지 않도록 조심하는 질문은 ‘성차별 소지가 있는 질문’(72.1%,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정치 및 종교 성향 질문’(54.5%), ‘애인, 결혼여부 등 개인신상 관련 질문’(51.3%), ‘신체조건 관련 질문’(39.6%), ‘출신학교 등 학력, 학벌 관련 질문’(33.8%)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면접 질문 상 자기검열이 심해져 지원자를 파악하기 어려워졌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60.4%가 ‘차이가 없다’고 답했다. 이어 ‘어려워졌다’(31.2%), ‘오히려 쉬워졌다’(8.4%)등의 의견도 있었다.


태도 면에서 신경 쓰는 부분은 ‘지원자 질문에 대한 성심 어린 답변’(51.2%,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지원자 자소서 숙지 등 사전 준비’(50.6%), ‘말을 끊지 않는 등의 노력’(44.6%), ‘지원자와의 아이컨택 등 집중하는 모습’(44.0%), ‘바른 자세로 착석 등 전반적 태도’(42.8%), ‘면접 시간에 지각하지 않음’(36.1%), ‘입·퇴장 시 인사 등 기본 매너’(34.9%) 등을 들었다.


이렇듯 면접 질문이나 태도 면에서 자기검열을 강화하는 이유로는 ‘좋은 인재를 뽑기 위해서’(66.8%, 복수응답)가 과반을 넘었다. 이어 ‘회사 이미지 관리를 위해’(40.7%), ‘면접 갑질 등 사회적인 이슈가 되어서’(27.6) 등이 있었다.


신입과 경력 중 자기 검열을 강화하는 채용은 ‘둘 다 비슷하다’는 응답이 65.0%였으나, 이외에는 ‘신입’(14.5%)보다는 ‘경력’(20.6%)이 소폭 많았다.


그렇다면 기업들은 면접 시 주의사항에 대한 매뉴얼을 마련하거나 교육을 실시하고 있을까. 전체 기업의 26.1%만이 면접 매너 매뉴얼이 있거나 교육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업 형태별로는 ‘대기업’(61.1%), ‘중견기업’(42.6%), ‘중소기업’(22.2%) 순이었다.


매뉴얼 마련이나 교육을 시행하는 이유로는 ‘좋은 인재를 뽑기 위해서’(68.2%, 복수응답), ‘통일된 기준이 없으면 면접관들이 혼란스러워 해서’(35.5%), ‘전사차원의 이미지 관리를 위해서’(34.5%), ‘면접 갑질 등 부정 이슈 예방을 위해서’(30.9%), ‘지원자로부터 안 좋은 피드백을 받은 적이 있어서’(10.0%) 등의 답변이 있었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면접은 회사를 대변하는 직원과 지원자가 처음으로 얼굴을 맞대는 상견례 자리와도 같기 때문에 지원자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면접 갑질 등의 이슈가 아니더라도 기업의 이미지 관리와 우수인재 채용을 위해서는 면접 질문이나 태도에 있어서 매너를 지킬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kelly779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