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공공기관 신규채용, 49.0%의 실적...목표보다 6.9% 적어
[캠퍼스 잡앤조이=이영규 인턴기자] 정부는 청년실업 개선을 위해 공공기관 상반기 신규채용을 추진했지만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평균보다 신규채용이 줄어 질 좋은 일자리를 선제로 공급하겠다던 목표달성에 실패했다. 7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공공기관 신규채용 현황은 총 9,739명이었다. 이는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가 밝힌 채용확대 목표치(1만1100명, 55.9%)에 비해 1,361명 모자라는 수치다. 결과적으로 상반기 채용 실적 목표보다 6.9% 적은 49.0%에 그친 것이다.


일자리 선제공급을 하겠다는 목표와는 달리 오히려 예년보다 공급을 감축하는 상황이다. 분기별로 보면 신규채용은 2분기(4~6월)에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재부는 올해 1분기(1~3월)에 5,140명, 2분기에 5,960명을 채용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공공기관들은 1분기에는 94명이 부족한 5,046명을 채용했다. 하지만 2분기에는 목표인 5,960명보다 무려 1,267명 모자란 4,693명을 새로 채용하는 것에 그쳤다.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국정과제로 발표한 ‘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추후 이행하기 위해 상반기에 여력을 아낀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박근혜 前 대통령 탄핵에 이은 조기 대선으로 생긴 정치적 불확실성 탓에 공공기관이 신규채용을 꺼렸다는 의견이다.

특히 1분기에는 목표에 근접했다가 2분기에 부진이 두드러졌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지난 3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청구 인용 시점과 맞물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이 하반기에 대규모로 신규 채용을 해야만 연간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됐다. 정부가 최근 공공부문에서 약 2500명의 추가채용 방침을 새로 정하면서 목표치는 더욱 높아졌다. 사상 최대였던 작년 2만1016명보다 더 많이 채용해야 하는 셈이다.

정부는 공공기관이 일자리를 만들면 경영실적 평가에 가점을 주는 등의 제도 개선으로 연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기재부는 지난달 31일 제8차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통해 올해 평가부터 '좋은 일자리 창출 및 질 개선 노력'을 한 공공기관에 대해 가산점을 주기로 했다.

아울러 ‘탄력 정원제’를 도입해 기재부와 협의하지 않고도 일자리 나누기 활성화를 목적으로 총인건비 범위 안에서 정원의 증원을 결정하기로 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공공기관을 둘러싼 여건이 일자리 확충 드라이브를 걸기에 용이한 상황이 돼 목표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판단한다"며 "민간 부문 일자리 확충에 이어지는 마중물의 역할을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spdlqjc3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