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스타트업 탐방기


청년위원회, 중소기업청, 청년희망재단이 주최한 2017 스타트업 청년채용 페스티벌이 23일 연세대학교 백양누리에서 개최됐다. 101개 유망 스타트업이 참여한 가운데 구직 희망자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허문찬기자  sweat@  20170523
청년위원회, 중소기업청, 청년희망재단이 주최한 2017 스타트업 청년채용 페스티벌이 23일 연세대학교 백양누리에서 개최됐다. 101개 유망 스타트업이 참여한 가운데 구직 희망자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허문찬기자 sweat@ 20170523


최근 한 대학에서 열린 스타트업과 청년 구직자간 매칭 행사. 사진=한국경제DB


[캠퍼스 잡앤조이=이도희 기자] ‘대학생 스타트업 탐방’이라는 꼭지명 아래, 그동안 매주 대학생 CEO들을 만났다.


대학생 CEO를 만나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요즘 웬만한 대학은 전부 학생 CEO를 보유하고 있다. ‘창조경제’를 표방한 박근혜 전 정부 출범 직후 미래창조과학부, 중소기업청 등 정부부처의 창업육성이 본격화하면서 대학생 지원사업도 대폭 늘었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대학 창업 담당자들도 “우리도 무슨 사업이 있는지 전부 파악하기 힘들 정도”라고 말한다. 정부기관 외에도 농업, 디자인 등 산업별로도 무수히 많은 청년창업 지원사업이 존재한다.


이들 사업은 대개 보상으로 백만 원대에서 많게는 수천만 원의 지원금을 내건다. 그동안 만나본 대학생 CEO 역시 대부분 이들 사업에서의 당선경험이 있었고 그야말로 공고가 ‘뜨면 지원’해 수억 원까지 마련한 경우도 있었다.


학생에게는 적지 않은 금액. 하지만 사용 기간은 길지 않았다. 1년을 넘기는 경우가 드물었다. 지원금의 용처를 물으니 대부분 ‘개발비’와 ‘인건비’라고 답했다.


그 후 살림은 좀 나아졌을까. 매출 현황을 이어 물으면 대부분은 ‘아직’이라고 말끝을 흐렸다. 그러면서 본격 수익 창출을 위한 또다른 자금은 ‘다시 제안서를 써서 마련하면 된다’고 답했다.


뭔가 한참 잘못됐다. 답은 학생들 스스로 잘 알고 있었다. 정말 필요한 게 충족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것. 사업을 해 보니 돈이 필요한 곳이 정말 많은데 이를 위해서는 한 두 번의 자금 지원으로는 어렵다는 이야기다. 즉, 사업을 키워 자체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어야 하고 정말 필요한 것은 이 단계까지 진입하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나 멘토링이라고 입을 모았다.


대학의 학점지원에 대한 목소리도 있었다. 학과수업과 사업을 병행하기에는 학점관리에 대한 부담이 크기 때문에 창업 이력을 학점으로 전환하는 등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투자자의 지원도 절실하다. 하지만 만나본 학생 CEO중 벤처캐피탈(VC)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은 사례는 극히 드물었다. 초기 창업가를 지원하는 엔젤투자자 역시 대학생 투자에는 인심이 박한 경우가 많았다.


국내 스타트업 전문기관들의 반응 역시 이와 비슷했다. ‘대학생’이라는 타이틀에 대해서는 고개를 갸웃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십 년의 경력자들도 넘쳐나는 창업 시장에서 아이디어만으로는 살아남기 어렵다는 반응이었다.


이는 100% 대학생의 잘못만은 아닐지도 모른다. ‘혁신하라’는 시대의 요구에 부응했음에도 실현가능성이나 구체성을 이유로 문턱을 높이기만 하는 어른들이 아직 많은가 보다.


학생 CEO들에게 ‘대학생 창업의 고충이 무엇인지’ 물을 때 모두 ‘그냥 대학생이라서’라고 입을 모아 답했다. 무작정 ‘대학생이라서 안 될 거다’ ‘대학생들은 뭘 모른다’며 문전박대 당하기 일쑤였다는 것이다.


정권 교체와 함께 정부시책에도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그중 단연 중요한 이슈가 창업이고, 대학생 창업이다.


대선을 앞둔 지난 4월, 한 대선후보 TV토론회에서 모처럼 창업에 대한 문제제기가 나왔다. 당시 더불어민주당 후보였던 문재인 대통령은 창업 활성화 방안에 대한 물음에 “기존 정부 지원사업이 일회성에 그치고 있으며 마케팅 등을 대행해 투자 및 홍보 활성화까지 도와야한다”고 답했다. 최근 발행한 국민주권선대위의 일자리위원회 보고서에도 ‘청년창업 교육 지원 및 재도전 교육 활성화’에 대한 논의가 포함돼 있다.


앞으로 정부가 활용할 창업지원 예산은 살기 좋은 세상, 특히 청년들이 행복한 세상을 꿈꾸는 국민들의 염원으로 마련된 자금일 것이다. 큰 변화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적어도 지금보다는 나은 세상이 돼야 하지 않을까.


tuxi0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