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장기자랑 준비에 200만원? 누구를 위한 장기자랑인가


연말이면 취업 커뮤니티에 단골로 등장하는 광고가 있다. ‘회식 분위기 띄우기’, ‘신입사원 장기자랑 마스터’ 등의 제목으로 눈길을 끄는 각종 댄스학원, 치어리더 아카데미 등의 홍보 광고다. 트로트 한 소절에 막춤 한 바탕이면 박수를 받았던 그 옛날 장기자랑은 추억이 됐다. 신입사원들은 장기자랑을 배우러 학원에 간다.


장기자랑 준비하는데 60만원에서 200만원

강남에 위치한 한 댄스학원. 이곳은 다수의 대기업과 연간 계약을 맺어 사원들의 장기자랑 연습을 돕는 곳이다. 장기자랑을 위한 곡 선정부터 콘셉트 정하기, 안무 연습 등을 담당한다. 가장 바쁘다는 12월과 1월에는 1~2주 전에 예약을 하지 않으면 수업을 듣기가 어려울 정도로 인기가 높다.


학원 관계자는 “예전에는 장기자랑을 하면 어쭙잖게 노래하고 춤 한번 추고 말았지만 요즘은 다르다”라며 “이왕 하는 거 제대로 보여주려는 생각에 바쁜 시간을 쪼개 연습을 하는 신입사원이 많다”고 말했다. “학원에서 열심히 준비해 회사 장기자랑에서 1등을 한 수강생이 많다”는 말도 덧붙였다.


수강료는 1시간에 10만 원 선으로 책정돼있는데, 1곡을 마스터하기 위해서는 최소 6시간 이상 수업을 들어야한다. 학원 관계자는 “20시간 씩 수강하는 직장인도 많다”고 덧붙였다. 장기자랑 한 번을 위해 최소 60만원에서 200만원까지의 금액이 요구되는 셈이다.


누구를 위한 장기자랑인가, 직원들 스트레스↑

워크샵, 신입사원 연수 등에서 선보이는 직원들의 장기자랑 무대. 웬만한 오디션 프로그램 못지 않은 완성도를 자랑하고 있지만 과연 모두가 웃고 즐길 수 있는 자리가 되는지는 의문이다.


전자상거래 업체 인터파크의 직원들은 ‘장기자랑’ 얘기라면 몸서리를 친다. 이 기업은 매년 창립기념일에 직원들의 장기자랑을 진행하는데, 회사에서 요구하는 수준이 매우 높은 편. 춤, 노래, 악기 연주 등의 무대는 입이 떡 벌어질 정도다. 인터파크는 직원들이 장기자랑을 위해 댄스학원 등을 수강하는 금액을 지원하고 있다.




회사 장기자랑 준비에 200만원? 누구를 위한 장기자랑인가

△ 기업 정보 서비스업체에 올라온 인터파크 기업 리뷰. 사원들의 장기자랑 부담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직원들은 원치 않는 장기자랑 준비를 1~2개월간 해야 하는 것이 곤혹이다. 게다가 장기자랑을 한다고 업무량을 조절하거나 시간을 빼주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퇴근 후 시간, 주말을 반납하며 울며 겨자먹기로 장기자랑 연습에 몰두해야한다.


기업 정보 서비스업체 잡플래닛에 올라온 인터파크 기업 리뷰를 살펴보면 다수의 직원들이 장기자랑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직원들은 “업무보다 중요한 장기자랑”, “오디션 수준을 요구”, “누구를 위한 재롱잔치(장기자랑)인지 모르겠다” 등의 글을 게시했다.


인터파크 홍보 관계자는 이러한 반응에 대해 “개개인별로 장기자랑에 대해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는 부분”이라며 “장기자랑 준비를 하며 평소 교류가 없던 직원들을 알게 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직원들도 많다”고 말했다.

박해나 기자 phn090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