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를 위한 직무 코칭 - ② 생산관리 면접기출

' 교대 근무 힘들텐데 견딜 수 있나'


‘취업 깡패’라 불리던 것도 옛말. 이공계 취준생도 취업이 어렵긴 마찬가지다. 특히 본인이 지원한 직무에 대해 잘 알지 못해 면접에서 버벅 거리기 일쑤. 합격으로 한 발 다가가기 위해서는 직무에 대한 공부가 최우선이다.


이공계를 위한 직무 코칭 -  ② 생산관리 면접기출 ' 교대 근무 힘들텐데 견딜 수 있나'


▶ 생산관리 면접 기출 예시


1. 생산 계획을 수립할 때 필요한 요소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공정을 관할하는 부서가 따로 없는 기업의 경우, 자주 나오는 질문이다. 주어진 시간 내 고객에게 공급할 수 있는 양(설비 가동 능력)을 먼저 검토해야 한다. 이때는 원료를 구매하는 시간, 품질을 검사하는 시간, 물건이 고객에게 도착하는 시간까지 고려해야 한다. 원가 고려도 필수다. 산업용 전기의 값이 싼 한밤중에 공장을 가동해야 할 지도 파악해야 한다. 품질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한다. 원재료가 변질되기 전에 빨리 생산해야 할 수도 있다. 이런 변수를 토대로, 일일/주간/월간 생산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2. 원가 관리는 어떻게 하는 것인지 알고 있나?

원가는 크게 고정비와 가공비/변동비로 구분해서 관리하는데, 고정비는 크게 바꿀 수 없는 원가 항목을 말한다. 인건비, 감가상각비 등이 될 수 있다. 가공비/변동비는 얼마든지 절감이 가능한 항목이다. 재료나 자재, 전기, 수도 등이 될 수 있다. 원가 관리를 위해서는 이런 가공비/변동비 항목 중 절감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야 한다. 케첩 공장의 설탕 통에 구멍이 나서 설탕이 조금씩 유실됐다면 설탕의 원가는 올라간다. 또는 가격이 2배 비싸더라도 당도가 4배 높은 설탕을 쓴다면 설탕 원가는 반으로 낮아질 것이다.


3. 생산관리 담당자로서 갖춰야 할 조건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타 부서 및 생산직과의 업무를 위해 소통 능력과 리더십이 필요하다. 또한 끊임없는 데이터 해석을 위한 분석력, 현장을 세심하게 관찰할 줄 아는 열정도 필수. 합격을 위해서는 반드시 본인이 리더십이나 소통 능력을 발휘 했던 일화 및 사례를 통해 강점을 강조해야 한다.


4. 교대 근무가 힘들텐데 견뎌낼 수 있는가?

강인한 체력, 정신력을 강조하거나 교대 근무의 장점을 말하면 좋다. 교대 근무는 밤낮이 바뀔 수 있는 불규칙성은 있지만, 평일 낮에 휴무가 되는 경우 가족과 놀이 동산을 갈 수도 있거나 병원을 가는 등의 장점도 있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말해도 좋다.


글 커리어탑팀 김동년 부대표


이공계를 위한 직무 코칭 -  ② 생산관리 면접기출 ' 교대 근무 힘들텐데 견딜 수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