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를 위한 직무 코칭 - ① 생산관리 편

미션 : 토마토 케첩을 싸고 저렴하게 생산하라!


‘취업 깡패’라 불리던 것도 옛말. 이공계 취준생도 취업이 어렵긴 마찬가지다. 특히 본인이 지원한 직무에 대해 잘 알지 못해 면접에서 버벅 거리기 일쑤. 합격으로 한 발 다가가기 위해서는 직무에 대한 공부가 최우선이다.



Factory
Factory


생산관리 직무는?

‘생산관리’는 공장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과정을 총괄/관리하며,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을 고민하는 직무이다. 제조업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직무.


어떤 역량이 필요한가?

공학도(工學徒)의 자질 외에도 대인관계 능력과 리더십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타 부서와의 협의가 필요하고 생산직과의 소통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어떤 일을 하나?

생산관리의 가장 큰 목표는 ‘좋은 품질의 제품을 보다 저렴하고 빠르게 만들어내는 것’이다. 즉 생산성 향상&원가절감. 케첩 공장을 예를 들어보자. 케첩 통에 일정한 양을 빠르게 넣어야 하는데 보다 빠르게 담아주는 설비를 들여온다면 고객에게 더욱 빠른 시일 내에 제품을 전달할 수 있고(생산성 향상), 일정하게 담아주는 설비를 들여온다면 낭비되는 케첩을 아낄 수(원가 절감) 있다.


1. 생산성 향상

생산 속도를 늘리는 것을 말한다. 불필요한 공정을 없애기도 하고, 신규로 설비나 인력을 추가해 완제품이 신속하게 나오도록 한다. 케첩을 통에 빨리 담거나, 빠르게 포장하는 것 모두 생산성 향상에 속한다. 생산성이 향상되면, 고객은 주문 후 제품을 보다 빨리 받을 수 있다. 케첩이 폭발적으로 팔려서 감당이 안 되는 경우라면, 케첩 공장을 늘리거나 더 빨리 생산하는 방법 밖에 없다.


2. 원가 관리

케첩 한 통을 만드는 데 토마토와 설탕 등은 얼마(금액)나 포함되었는지, 전기세는 얼마나 들었는지 등 모든 항목별 원가를 따져 보아야 한다. 매달 원가를 작성해 비교해 보면, 어느 달에 갑자기 원가에 변화가 생기는 항목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설탕 원가가 높아진다면 혹시 설탕 저장 창고에 구멍이 생겨 유실된 것은 아닌지 확인해 보아야 한다. 만약 설탕 가격이 오른 것이라면, 시럽이나 물엿 등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를 찾아보아야 한다. 불필요하게 낭비된 원가를 확인하고 이유를 찾아 개선하는 것, 더 값 싼 재료로 더 나은 품질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원가 관리의 목적이다.


* 원가란?

한 달 동안 쓴 토마토 비용을 생산된 통 수로 나누면, 한 통에 토마토 비용이 얼마나 들어갔는지 알 수 있다. 토마토 1kg가 만 원일 때 지난 한 달간 토마토 구매량이 200kg(2백만원)이고 케첩을 400통 생산했다면, 케첩 한 통에는 토마토가 0.5kg(5천원) 쓰인 것이다. 설탕, 인건비, 전기세도 모두 한 달 동안 생산된 케첩 통 수로 나누면 알 수 있다.


3. 설비 관리

생산에 필요한 설비가 노후 되었는지, 부품은 언제 교체해야 하는지 파악하고 수시로 점검해야 한다. 생산이 멈춰 버리는 사태뿐 아니라, 안전 사고가 날 위험도 있기 때문이다.


4. 자재 관리

제품을 생산할 때 고정적으로 들어가는 원자재, 부자재가 넘치거나 부족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케첩이 잘 안 팔리는 시기에 토마토를 많이 사 놓으면 썩게 마련이다. 또한 토마토가 모자라지 않게 해야 한다.


5. 환경 관리

정부 환경 규제, 사내 기준 등에 벗어나지 않도록 공정을 친환경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배출되는 대기 오염 물질과, 수질 오염 물질이 주요 관리 대상이 된다.


6. 안전 관리

현장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잠재 위험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도록 신경 써야 한다. 안전 부서에 안전 설비를 설치하거나 예산을 요구하기도 하고 순찰을 요청할 수도 있다.


글 커리어탑팀 김동년 부대표


이공계를 위한 직무 코칭 - ① 생산관리는 도대체 무슨 직무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