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기자단 1박2일 여행

대학생 절반 이상이 6·25전쟁이 일어난 시기를 모른다고? 얼마 전 보도된 국민안보의식 설문 결과에 많은 이들이 놀랐지. 6·25전쟁 발발 연도를 정확히 알고 있는 응답자가 청소년 42.4%, 대학생 46%에 그쳤거든. 해가 갈수록 소홀해지는 우리 역사에 대한 관심을 되찾기 위해 캠퍼스잡앤조이 대학생 기자단이 나섰어. 거제도 포로수용소 유적공원과 부산 유엔기념공원으로 근대 역사 유적 탐방을 떠난 거지. 재미뿐 아니라 의미까지 얻고 돌아온 여행, 그 속으로 같이 들어가볼래?

갈수록 소홀해지는 우리 근대 역사에 대한 관심을 되찾기 위해 캠퍼스 잡앤조이 대학생 기자단이 나섰다!
[현장 스케치] 거제도 포로수용소·부산 유엔기념공원 "근대 역사의 현장을 가다"
1. ♬ 앞으로 앞으로 용진 또 용진 우리는 영원한 민족의 방패 ♬ 북한군이 남침에 이용한 실제 탱크 모형을 8배 확대했다는 ‘탱크 전시관’으로 올라가는 길엔 ‘육군가’가 흘러나오고 있었지. 6·25전쟁에 참전했던 용사들도 이 노래를 불렀을까?
[현장 스케치] 거제도 포로수용소·부산 유엔기념공원 "근대 역사의 현장을 가다"
2. 대학생 기자단이 해맑게 포즈를 취한 이곳, 61년 전엔 전쟁 포로들이 헌병들의 감시를 받으며 드나들던 주요 관문이었다고.
[현장 스케치] 거제도 포로수용소·부산 유엔기념공원 "근대 역사의 현장을 가다"
3. 전 세계 언론들이 지켜보고 있었기 때문에 포로들에게 지급되는 의복이나 음식은 오히려 국군보다도 좋았대. 하지만 구슬퍼 보이는 포로들의 표정. 500명이 들어가는 수용소 한 동에 6000명이 함께 생활했다니… 그 이유를 알 것 같아.
[현장 스케치] 거제도 포로수용소·부산 유엔기념공원 "근대 역사의 현장을 가다"
4. “6·25전쟁 당시 19만6000명이 내려왔다가 수만 명이 도망가고 남은 인민군 포로가 15만 명. 이 많은 사람들을 데려와서 만든 곳이 거제 포로수용소입니다.” 끝없이 이어지던 자원봉사자 선생님의 설명. 우리 역사를 몰라도 너무 몰랐구나 느낀 시간이었어.
[현장 스케치] 거제도 포로수용소·부산 유엔기념공원 "근대 역사의 현장을 가다"
5. 포로들의 생활, 돗드 준장 납치사건 등 포로수용소의 역사를 실감나게 재현해놓은 디오라마관. 입구에선 딱딱하게 굳은 표정의 헌병들이 우릴 맞이했지.
[현장 스케치] 거제도 포로수용소·부산 유엔기념공원 "근대 역사의 현장을 가다"
6. 6·25 역사관 앞에 둘러앉은 대학생 기자단. 2만 평 부지에 걸쳐 있던 포로수용소는 지금은 터전만 남았지만 포로들의 생생한 기록과 유물을 전하는 전시 공간으로 재탄생했어.
[현장 스케치] 거제도 포로수용소·부산 유엔기념공원 "근대 역사의 현장을 가다"
7. 거제의 별미 ‘멍게비빔밥’을 놓치면 섭섭하지! 따끈한 밥 위에 멍게와 참기름, 김가루를 얹어 쓱쓱 비벼 시원한 생선맑은탕과 함께 멍게눈 감추듯(?) 흡입!
[현장 스케치] 거제도 포로수용소·부산 유엔기념공원 "근대 역사의 현장을 가다"
8. 생일을 맞이한 장유정 기자를 위해 부산 지역 대학생 기자단이 깜짝 파티를 준비했어. 3기 대학생 기자단 우정이여, 영원하라!
[현장 스케치] 거제도 포로수용소·부산 유엔기념공원 "근대 역사의 현장을 가다"
9. 캠퍼스 잡앤조이 훈남 5인방의 독수리 포즈(?). 엇, 저기 뒤에 간밤의 숙취를 이기지 못한 1인도 보이네.
[현장 스케치] 거제도 포로수용소·부산 유엔기념공원 "근대 역사의 현장을 가다"
10. 첫날밤 세미나실에서 열린 ‘안보 퀴즈대회’. 여기저기서 자신 있다며 손이 쑥쑥!
[현장 스케치] 거제도 포로수용소·부산 유엔기념공원 "근대 역사의 현장을 가다"
[현장 스케치] 거제도 포로수용소·부산 유엔기념공원 "근대 역사의 현장을 가다"
11. 근대 유적 답사를 빙자한 식도락 여행? 부산 광안리가 내려다보이는 곳에서 맛본 싱싱한 회. 모두가 감탄 또 감탄.
[현장 스케치] 거제도 포로수용소·부산 유엔기념공원 "근대 역사의 현장을 가다"
12. 부산 유엔기념공원에서 캠퍼스 잡앤조이 대학생 기자단의 이름으로 참배를 드렸어.
[현장 스케치] 거제도 포로수용소·부산 유엔기념공원 "근대 역사의 현장을 가다"
13. 대한민국 묘역에 있는 무명용사의 묘. 이곳에 있는 묘역의 날짜는 대부분 9월 첫째·둘째 주로 적혀 있는데 그만큼 이 시기에 전투가 치열했다는 걸 알 수 있지. 1950년 9월 3일, 이름도 없이 스러져간 애달픈 청춘은 누구였을까?
[현장 스케치] 거제도 포로수용소·부산 유엔기념공원 "근대 역사의 현장을 가다"
14. 6.25전쟁에 참전한 21개국 중 11개국의 2300여 명의 묘가 안장돼 있어. 유엔군의 희생에 보답하기 위해 이곳 토지는 지난 1955년부터 유엔에 영구 기증된 상태야.
[현장 스케치] 거제도 포로수용소·부산 유엔기념공원 "근대 역사의 현장을 가다"
15. 경건한 음악이 흐르는 가운데 묵념. 6.25전쟁 때문에 하루에도 몇 번씩 삶과 죽음의 기로에 섰을 그들. 한국의 평화를 위해 목숨을 바친 젊은이들의 넋을 위로하는 시간을 가졌어.



글 김보람 기자 bramvo@hankyung.com│사진 윤영석 대학생 기자(동아대 사회복지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