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대 멘토들의 귀띔
새해가 되면 너도나도 한 해 계획을 짜고 목표를 만든다. “올해는 토익 900점을 넘기고야 말 거야!” “도전! 마이너스 10kg” “기다려라, 내 장학금!”
그러나 딱 3일만 지나면 머릿속은 백지장이 되기 십상. 언제 그런 결심을 했느냐며 열심히 놀고먹는 자신을 발견한다.
이 좌절의 굴레를 어떻게 벗어날까. 작심삼일과 진정 이별하고 싶다면 멘토들의 조언에 귀를 기울여보자. 존경받는 그들도 좌절과 시련의 순간을 지나 수없이 도전한 끝에 지금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다. 저서와 트위터 인터뷰를 통해 청년들이 새길 만한 금과옥조를 간추렸다.
박경철
나쁜 습관 버리기부터 시작하자

먼저 자신의 장점과 단점 10가지를 적어본다. 만일 장점은 3개 정도밖에 없는데 단점은 10가지라면? 의외로 해답은 간단하다. 10가지의 단점 중 가장 버리기 쉬운 것부터 시작하면 된다. 일정 기간 동안 단점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한 후, 다시 자신의 장단점을 적어본다. 아마도 놀라운 결과를 얻을 것이다. 줄어든 단점의 숫자만큼 장점이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hondoc 박경철
‘다사다난’ 이 말이 2011년만큼 어울리는 해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새해 소망에 사랑하는 이들의 행복과 건강… 이 이상의 바람이 있을까요. 저도 이웃과 그 가족들의 사랑과 평화, 그리고 건강을 기원합니다.
한비야
책이라는 밥상에 숟가락을 올려라

‘100권 읽기’라는 목표를 설정한 후 그것을 향해 꾸준히 달리는 끈기가 지금의 그녀를 만들었을 것이다. 누구나 할 수 있다. 새해 다짐으로 책읽기를 계획했다면 ‘책이라는 잘 차려진 밥상’을 한 끼도 거르지 않고 맛있게 먹으면 된다.
안철수
스스로 채찍질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가 깨달은 것은 자신이 남과 다르지 않다는 ‘평범함’이다. 그러나 그가 남과 다르게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평범함에 안주하지 않고 그것을 극복하려고 노력했기 때문이다. 자신이 남과 다를 바 없다는 평범한 생각이 지금의 그를 특별하게 만든 열쇠다.
안철수가 전하는 삶의 원칙 7가지
(‘CEO 안철수,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중)
하나 매 순간에 최선을 다하고,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기 위해 노력한다.
둘 높은 목표를 세우고 스스로를 채찍질한다.
셋 결과도 중요하지만 과정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넷 스스로를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않으며, 외부 평가에 연연하지 않는다.
다섯 항상 자신이 모자란다고 생각하고, 조그만 성공에 만족하지 않으며, 방심을 경계한다.
여섯 기본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일곱 천 마디 말보다는 한 가지 행동이 더 값지다고 생각한다.
김난도
‘내일’이 이끄는 삶,‘내 일’이 이끄는 삶

@kimrando 김난도
새해엔 항상 상대편 입장에서 생각하시길 빕니다. 사업이든, 인간관계든, 조직생활이든, 모든 성공의 비결이라고 생각합니다.
공병호
성공은 머리가 아니라 엉덩이의 힘이다

끈기는 하루하루를 참고 견뎌나가는 연습이다. 일상의 삶 속에서 자신이 도전하는 대상을 정해 그 목록을 충실하게 채워가는 것, 그리고 그것을 꾸준하게 지속하는 것이 성공의 비결이라고 말한다.
@GongByoungHo 공병호
더 많이 성장하기. 상황이 녹록지 않더라도 희망을 갖고 씩씩하게 전진하기.
글 강연우 대학생 기자(부산대 국문 2)┃사진 한국경제신문DB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