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스케치_청년일자리 청책(聽策) 워크숍


“토익 보고 자격증 따려고 이렇게 많은 돈을 쓰는데도 막상 취직은 운(運)에 기대야 하죠.”

“서울에서 대학을 다녀도 취직이 안 된다는데 지방대생들이 받는 압박은 어떻겠어요.”

지난해 12월 6일 열린 서울시의 청년일자리 청책 워크숍. 20대 청년들의 발언에 메모하는 박원순 시장의 손이 바쁘게 움직였다. 청책 워크숍은 시민의 목소리를 듣고(聽) 정책(策)에 반영한다는 취지로 서울시에서 마련한 행사. 서울 영등포구 하자센터 하하허허홀에서 열린 이날 행사는 그동안 수동적인 입장에 머물렀던 20대 구직자, 청년창업가들이 일자리 문제에 대해 솔직한 의견을 표출한 의미 있는 자리였다. 20대가 바라는 일자리 정책은 무엇일까? 그에 대한 박원순 시장의 대답은? 워크숍 현장을 뜨겁게 달군 ‘말, 말, 말’을 소개한다.
20대, 박원순 시장에게 고(告)하다
“취업은 로또다. 원하는 사람은 많은데 뽑히는 사람은 없으니까”

취직은 로또라고 생각한다. 일자리는 없고 뽑히고 싶은 사람만 많은데 몇 가지 주관적 기준이나 운(運)으로 일자리를 구하게 되기 때문이다. 취직을 하려면 스펙을 쌓아야 하는데 이때 돈이 제일 중요하다. 토익학원을 가거나 자격증을 따거나 모두 돈이 필요하다. 그렇게 많은 돈을 쓰고 나서도 막상 취직은 운에 기대고 있다니 아이러니하다. 적어도 내가 왜 뽑혔는지, 이 사람은 왜 떨어졌는지 납득할 만한 이유와 공정한 기준이 있었으면 좋겠다. (1년 차 취업준비생 아리)


“고시 준비 4년 해보니 붙을 자신도 포기할 용기도 사라지더라”

지난해까지 4년을 고시촌에서 보냈다. 안정된 직장이 최고라며 공무원을 권하던 부모님 때문이다. 대부분 1년은 열심히 하지만 2년 차가 되면 불안해한다. 3년이 되면 절반은 패닉 상태, 그 이상이 되면 거의 자포자기다. 붙을 자신도 없고 그만둘 용기도 없다. 합격자 수가 정해져 있기에 고시생들은 잠재적 실업자다. 서울시에서 공무원 채용박람회를 진행한다고 들었다. 시험 정보만 제공하기보다 수험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거나 사고력을 확장할 수 있는 강의가 기획됐으면 한다. (청년창업가 이학종·4년간 공무원 시험 준비)



“청년실업자는 전부 추리닝에 컵라면? 드라마 속 얘기일 뿐”

추리닝에 떡 진 머리, 컵라면이 쌓인 방구석에서 키보드를 두들기고 있는 모습. 실업자 하면 떠올리는 이미지다. 단언하건대 한국에 이런 청년실업자는 없다. 대부분은 새벽같이 도서관에 가고 한 달에 30만~50만 원씩 들어가는 학원비를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도 열심히 한다. 미디어가 만든 이미지가 아니라 실제 이들의 삶을 제대로 봐야 한다. 제일 큰 문제는 청년들이 하는 일이 대부분 파트타임, 파견 노동, 비정규직 노동이라는 점이다. 노동의 질을 높이는 게 실질적인 청년실업 대책이 아닌가 싶다. (청년유니온 정책기획팀장 조성주)
20대, 박원순 시장에게 고(告)하다
“창업은 취직 안 되는 애들이 하는 거라고?”

창업을 직접 해보니 매년 겪는 어려움이 똑같다. 망하는 이들의 95%가 이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해 실패한다. 높은 질의 창업 교육과 고차원적인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어려운 것은 창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다. “창업은 취직 안 되는 애들이 하는 거 아냐?” 하는 시선이 많다. 왜 그럴까 생각해봤더니 영웅이 없다. 안철수 교수가 있지 않느냐고? 너무 먼 얘기다. 창업에 성공한 작은 영웅들의 이야기를 발굴해 우리의 모델로 삼았으면 한다. 이런 인식을 심어줘야 창업도 더 활발해질 것이다. (청년창업가 한동헌·마이크임팩트 대표)



“예술 교육 속에 사회가 없다. 저마다 ‘섬’ 속에 산다”

대학에서 환경디자인을 전공했다. 주변에 예술을 하는 친구들이 많은데 다 각자의 ‘섬’에 살고 있다. 자기 작업을 하는 것은 익숙한데 사회와의 연관성을 찾는 데는 익숙하지 않다. 사회에 나와 보니 ‘10년 가까이 예술 교육을 받았는데 왜 한 번도 나에게 이 문제를 얘기해준 사람이 없었을까’ 화가 났다. 사회적인 디자이너를 키울 수 있는 예술 교육의 기회가 없기 때문에 일자리를 선택하는 스펙트럼도 굉장히 작아진다. 일을 하더라도 내가 사회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고민 없이 일하게 된다. 예술가로서 자신의 역할을 고민할 수 있는 교육 기회, 창의적인 에너지가 잘 모여 발휘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좋겠다. (사회적기업 노리단 대표 조혜민)
20대, 박원순 시장에게 고(告)하다
글 김보람 기자 bramvo@hankyung.com│사진제공 하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