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vs 현대차
인적성 ‘빅매치’
13일 삼성 직무적성(SSAT) 고사장인 서울 대치동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에서 응시자들이 밖으로 나서고 있다. 2014.4.13 신경훈 기자 nicerpeter@....
13일 삼성 직무적성(SSAT) 고사장인 서울 대치동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에서 응시자들이 밖으로 나서고 있다. 2014.4.13 신경훈 기자 nicerpeter@....
공간지각영역 신설… 역사 평가 비중 확대
지난 4월 12일과 13일, 현대자동차(HMAT)와 삼성(SSAT)의 인적성 시험이 각각 실시됐다. 삼성에는 8만 명이 몰렸고, 현대차는 1300여 명에게 응시 기회를 줬다. 하루 먼저 치러진 현대차의 시험은 295분간 서울 잠실고와 부산전자공고에서 진행됐다. SSAT는 국내외 85개 고사장에서 140분 동안 치러졌다.

특히 두 회사 모두 ‘공간지각영역’이라는 같은 과목을 신설해 이목을 끌었다. 사라진 문제도 있었다. SSAT에서는 언어논리영역 중 한자와 사자성어 문항이 없어졌고, 수리논리영역의 대·소 비교 문제가 자취를 감췄다. HMAT에서는 도식이해영역이 사라졌다.

지난해 하반기 신설된 현대차의 역사에세이영역은 시험시간이 30분에서 45분으로 늘었다. 대신 논리판단과 자료해석, 인성검사영역이 각각 5분씩 줄었다.

삼성은 이번 SSAT에서 최종합격자의 2~3배수를 뽑는다는 방침이다. 현대차는 인적성 시험에서 3~4배수를 뽑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삼성과 현대차의 시험에 대해 많은 수험생이 ‘시간은 부족하고 문제는 어려웠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특히 삼성은 단편 지식보다는 사고력을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는 분석이다. 대표적인 예로 상식영역에서 ‘박태환의 전신 수영복과 동물 특성의 관계’를 물었다. SSAT의 역사영역의 경우 우려만큼 까다롭지는 않았다는 게 수험생들의 전언이다. 설명을 주고 해당하는 인물이나 시대를 고르도록 하는 등 수능과 비슷했다는 것이다. 반면 HMAT는 문화유산이나 인물의 특성을 이공계의 지식과 연결하는 것이 까다로웠다는 의견이 많았다.

SSAT의 시각적 사고영역은 형평성 문제로 도마 위에 오르기도 했다. 규정으로 금지한 ‘펜 사용’을 일부 고사장에서 허용했기 때문이다. 수험생들은 “도형 문제는 시험지에 표시하면서 풀면 시간을 훨씬 단축할 수 있다”며 “문제 자체를 취소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반응을 보였다.



인문학도도
엔지니어로 일할 수 있다?


‘실리콘밸리의 한국인’ 특강 호평
“어떤 전공이든 배운 것을 코딩이나 디자인으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면 인문학도에게도 실리콘밸리는 열릴 것입니다.” 지난 3월 27일 서강대 정하상관에서 ‘실리콘밸리의 한국인’이라는 주제로 취업특강이 열렸다.

이날 특강에는 실제 실리콘밸리에서 일하는 8명의 한국인이 연사로 나섰고 400여 명의 학생이 참석해 열기를 더했다.

특히 연세대에서 영문학과 문헌정보학을 전공한 뒤 미국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트위터’에 자연언어처리 엔지니어로 입사한 유호현 씨는 “엔지니어로 경쟁하기보다 ‘언어’라는 특화된 기술을 살려 입사할 수 있었다”며 “그 기술을 컴퓨터로 표현할 수 있으면 금상첨화”라고 조언했다.



대기업 상반기 공채 잇따라 ‘취소’
[잡앤스토리 뉴스 클리핑] 따끈따끈 Job News Summary
취업 준비생들 “허탈해”
상반기 공채를 취소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지난 3월 말 신입 채용을 시작하려던 대림산업은 돌연 계획을 수정하고 상반기 공채를 하지 않기로 했다. 회사 측은 “인력수급에 변화가 생겨 경력직 위주로 채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서류 경쟁률이 15대 1에 육박했던 KT도 기업 안팎으로 위기를 겪으며 올해는 하반기 한 차례만 공채를 실시한다. STX는 그룹공채 대신 계열사별 소규모 채용으로 대체하고 있다.

은행권도 마찬가지다. 기업·하나은행에 이어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역시 상반기 공채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다. 두 은행의 인사부 관계자는 “아직 일정 등을 확정하지 못했다”는 답만 내놓고 있다.

취업준비생들은 ‘허탈하다’는 반응이다. 연세대 화학공학과 4학년 김 모(27) 씨는 “입사하고 싶은 기업의 채용 계획은 지원자에게 매우 중요한 정보인데 기업이나 정부가 무관심한 것 같다”며 “채용 계획을 사전에 공표하는 제도적 장치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글 이도희 기자│사진 한국경제 DB


당신의 스토리는 스펙보다 강하다
www.jobn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