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배의 취업 멘토링

교포도 유학생도 아니다. 한국에서 남들처럼 학창 시절을 보내고 군복무도 마쳤다. 경영도 IT도 아닌 사학을 전공한 인문학도다. 그런 그가 어떻게 서른다섯에 구글 본사의 상무가 되었을까? 미국 실리콘밸리 구글 본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김현유 상무가 한국을 찾았다. 5일 동안 23개의 미팅을 진행해야 하는 바쁜 출장이었지만, 그는 캠퍼스 잡앤조이 대학생 기자들과 만남을 위해 흔쾌히 금요일 저녁 시간을 내줬다.
구글 본사 상무 김현유 “꿈을 이루기 위한 설계도를 그려봐”
약력
1976년생
2001년 연세대 사학과 졸업
2008년 버클리대 대학원 경영학 석사
2002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해외영업팀
2007년 구글 신규사업제휴팀 매니저
2010년 구글 사업제휴팀 팀장
2011년 구글 사업제휴팀 상무

김현유 상무는 대학 때부터 미래의 모습을 상상해왔다. 해외에서 멋지게 일하는 자신의 모습이었다. 처음에는 막연히 ‘글로벌한 일을 하고 싶다’ ‘큰물에서 놀고 싶다’고 생각했지만 점점 그 꿈을 실현시킬 구체적인 밑그림을 그리는 일에 집중했다. 일찍 완성한 밑그림 덕에 김 상무는 삼성전자 해외영업팀에 입사해 경험을 쌓고, MBA 과정을 수료한 뒤 꿈에 그리던 구글에 입사했다. 그는 인터뷰를 위해 만난 학생들에게도 “꿈을 이루기 위한 그림을 그릴 것”을 거듭 강조했다. 그것이 30대의 젊은 나이에 꿈의 직장 구글에서 상무로 일하게 된 가장 큰 노하우이기 때문이다.

한국 출장은 자주 오시나요?

두 달에 한 번씩은 한국에 오는 것 같아요. 제가 사업제휴팀에서 일하다 보니 출장이 많은 편이거든요. 여러 회사와 파트너십을 맺는 부서죠. 그 외 미국에서 화제가 된 ‘크롬캐스트’와 ‘구글캐스트’도 저희 팀에서 개발한 것입니다.



인문학도였던 상무님이 IT업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대학 2학년 때 회사 경험을 해보고 싶었어요. 지금은 인턴 제도가 정착됐지만, 그때만 해도 인턴십 제도가 없었거든요. 개인적으로 인턴을 해보고 싶다고 회사에 연락해 기회를 얻었죠. 하지만 인턴으로 들어가도 할 일이 없어 잡일을 도맡아했죠. 여러 부서의 일을 했는데, 특히 IT팀이 잡일이 많아 자주 가게 됐고 자연스레 업무에도 관심을 갖게 됐어요. 사학을 전공하기는 했지만 ‘글로벌한 일을 해보고 싶다’는 마음이 있었거든요. 결국 인턴 활동을 하며 생긴 IT에 대한 관심과 글로벌한 일을 하겠다는 제 꿈이 만나 삼성전자 해외영업팀 입사로 이어진 거죠.

(김현유 상무의 인생은 대학 2학년, 아무 연고도 없던 회사에 보낸 메일 한 통으로 시작됐다. 모르는 상대에게 나에 대해 어필하는 이러한 행동을 ‘콜드콜’이라 부른다. 김 상무가 덧붙여 이야기한 콜드콜의 노하우는 다음 페이지에 이어진다.)



남들이 부러워하는 대기업을 퇴사하고 새로운 도전을 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대학생 때 인턴 생활을 하면서 제 꿈에 대해 생각해봤어요. 글로벌한 비즈니스를 하겠다는 것이 저의 꿈이었거든요. 그 꿈을 위해 나름의 설계도를 그려봤는데 MBA를 가야겠더라고요. 알아보니 MBA를 가려면 직장 경험이 4~5년 정도 있어야 하고, GMAT(경영대학원 입학시험) 성적과 에세이 제출이 필요했죠. 선배들에게 물어보니 GMAT는 회사 다니면서 준비하기 어렵고 유효기간이 5년 정도 된다고 하기에 대학 재학 중 먼저 공부해서 점수를 만들어놨어요. 그리고 삼성전자 해외영업팀에서 근무하며 직장 경험을 쌓은 뒤 MBA를 가기 위해 퇴사를 했죠. 퇴사할 때 주변에서 다들 만류했어요. 하지만 스스로 그리고 있던 큰 그림이 있었기 때문에 망설이지 않았어요.



꿈에 대해 계획을 세우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그것을 실현해가는 사람은 적죠. 꿈을 실현할 수 있었던 노하우는 무엇인가요?

저는 계획을 세운 뒤 구체적인 일정을 짜서 단계별로 목표를 성취해나갔어요. 예를 들어 3개월 정도가 걸리는 일을 한다면 주 단위의 목표를 다시 설계하고 일정을 세우는 거죠. 막연히 ‘3개월 후에는 이걸 해야지’ 하면 흐지부지되기 십상이에요. ‘이번 주까지 어떤 과제를 마쳐야지’ 생각해도 조금씩 미루다 보면 마지막 날까지 가게 되잖아요. 만약 일주일 내로 끝내야 한다면 학교 시간표를 보면서 공강 시간을 체크하고 일일 단위로 그 일을 실행할 계획을 짜는 거죠.



구글은 많은 학생이 선망하는 기업이죠. 구글만의 특별한 장점을 꼽는다면?

구글은 실무자에게 많은 권한을 줘요. 윗사람의 지시를 받고 일하는 게 아니라 본인이 주체가 되니 모두 주인의식을 가지고 일할 수 있죠. 자신의 잠재력을 100%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이 되는 것 같아요.



실리콘밸리에는 최고의 IT기업이 모여 있죠. 국내와 다른 기업 문화가 있나요?

일단 시간과 장소에 대한 개념이 달라요. 한국 기업은 조직이 일하는 것이기 때문에 몇 시에 출근해서 몇 시에 퇴근하는지 등을 중요하게 생각해요. 상하관계가 확실하고, 책임과 권한도 조직에 있어요. 하지만 실리콘밸리의 회사들은 조직이 아닌 개인에게 집중해요. 개인이 움직이기 때문에 남에게 관심이 없죠. 굳이 자리에 없어도 자신의 일만 알아서 한다면 간섭하지 않아요. 그리고 스케줄을 중요하게 생각해요. 한국에서는 회사원들에게 퇴근 시간을 물어보면 ‘가봐야 알지’라고 말하잖아요. 그런 것이 없이 하루의 일정을 철저하게 관리하죠. 대신 그만큼 개인에 대한 냉정한 평가가 더해지고요. 잘한 것도 못한 것도 모두 내 탓이죠.



젊은 나이에 상무직을 맡고 계세요. 그 자리까지 오를 수 있었던 본인만의 비결이 있다면?

미래 모습에 대한 상상을 많이 하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상상하는 자리로 가기 위해서 커리어를 주기적으로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고요. 또 나의 성과에 대해 겸손하게 알릴 수 있어야 해요. 실리콘밸리에서는 개인이 평가되기 때문에 침묵은 미덕이 아니에요. 내가 성과를 냈으면 알려야 하죠. 잘난 척하는 것이 아니라 겸손하게요.



해외영업팀이나 구글 본사에서 일하려면 영어 실력이 뛰어나야 할 것 같아요.

영어를 잘해야 해요. 하지만 ‘잘한다’의 기준에 대해 생각해봤으면 좋겠어요. 영어는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죠. 하고 싶은 말을 하고, 듣고 싶은 것을 들으면 돼요. 그런데 한국 사람들은 발음이나 문법의 중요성을 강조해요. 발음이 안 좋거나 문법이 잘못되면 창피해하고 주눅이 들죠. 그러면 하고 싶은 말도 자신 있게 할 수 없어요. 영어에서 정말 중요한 것은 자신감이에요. 실리콘밸리에 가면 인도계 사람들이 많은데 문법이나 발음이 엉망인 사람도 많아요. 하지만 굉장히 자신감이 있고 할 말을 다하기 때문에 아무도 영어에 대해 지적하지 않아요. 한국 사람들이 영어를 잘하면서도 자신감이 부족해 오히려 승진에서 밀리는 경우도 봤어요. 일단 자신감을 가지세요.



상무님이 생각하는 성공이란 무엇인가요?

성공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를 거예요. 제가 생각하는 성공은 상상 속의 내 모습을 만날 때죠. 상상하던 미래의 모습을 향해 달리다가 어느 순간 내가 그 자리에 와 있는 것을 발견했을 때를 성공이라고 말하고 싶어요. 그리고 성공을 위해서 무조건 위로만 올라가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정글짐처럼 위로도 갔다가 옆으로도 가고, 아래로 가기도 해야죠. 제가 삼성을 그만둘 때 ‘구글 같은 회사에 가고 싶다’고 말했었어요. 구글은 실리콘밸리의 상징 같은 회사였거든요. 그때만 해도 제가 정말 구글에서 일하게 될 줄은 몰랐죠. 상상만 하던 구글러가 되었을 때 정말 행복했어요. 항상 다음을 꿈꾸는 그 과정이 즐겁고 행복한 것 같아요.



대학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스스로 한계를 두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요즘 ‘힐링’이라는 것이 키워드가 됐잖아요. 하지만 청춘은 힐링이 아니라 자신감과 꿈을 키워야 할 때라고 생각해요. 삼포세대라고 하고, 위로하려는 문화가 있는데 그것은 오히려 자신감을 떨어뜨릴 뿐이거든요. 한국 대학생들을 만나면 그런 부분이 굉장히 안타깝더라고요. 자신감을 갖고 꿈을 실현하기 위해 계속해서 도전했으면 좋겠어요.



글 박해나 기자│사진 서범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