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류를 위협하는 ‘우주 쓰레기’ 어찌하나[테크트렌드]
올해 중국 로켓의 잔해가 지구에 추락하는 사건이 두 차례 발생했다. 다행히 7월에는 필리핀 남서부 해역, 11월 초에는 남미 인근 태평양 등 해상에 추락해 큰 피해는 없었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유사 사고의 재발 가능성과 함께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과학자 도널드 케슬러가 1978년 발표했던 케슬러 신드롬의 현실화까지 우려한다. 케슬러 신드롬은 지구 인근의 우주 궤도에 있는 물체들의 밀도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물체 간 충돌이 잦아지고 이때 발생한 파편들이 인공위성과 탐사선의 활동을 방해하는 장애물로 작용해 인간이 우주를 사용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이론이다. 유럽우주국(ESA)에 따르면 현재 지구 주위에는 약 3만 개의 대형 물체와 크기 1cm 이상의 소형 물체 약 100만 개가 떠 있는 상태다. 그중 정상 가동 중인 소수의 인공위성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임무를 마친 인공위성이나 로켓의 상단 부스터, 인공위성이나 로켓 간의 충돌로 생긴 잔해와 파편들, 우주 비행사들이 흘린 공구 등 각종 폐기물이다. 모두 인간이 우주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탄생했다.각종 사고, 재난을 유발하는 잠재적 위험 요소이렇게 지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부유물들을 우주 쓰레기(space debris)라고 한다. 우주 쓰레기는 예상하지 못하게 급증하기도 한다. 2009년 2월 고장 난 러시아의 통신 위성이 미국의 통신 위성과 충돌했을 때는 10cm 이상 물체 1400여 개, 1mm 이상 물체 400만여 개 등 대량의 파편들이 단번에 발생했다.통신·위성항법장치(GPS)·인터넷에서부터 해양·기상·우주 관측 등 다양한 기능을 인공위성에 의존하는 인류에게 우주의 사용은 중요한 문제다. 우주 쓰레기는 안전하고
2022.11.24 06:00:10
-
에너지 안보와 우주 경쟁의 ‘게임 체인저’ 된 초소형 원자로[테크트렌드]
[테크 트렌드]2022년 2월 발발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에너지 안보는 모든 국가들에 초미의 관심사가 됐다. 그 여파로 러시아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원전), 일본 후쿠시마 원전 등의 대형 사고 이후 외면 받았던 원자력 발전에 눈을 돌리는 국가들이 많아졌다.특히 많은 관심을 받은 것은 출력 300MW 이하의 소형 원자로(SMR : Small Modular Reactor)다. SMR은 기존 대형 원자로(1000 MW 이상)나 중형 원자로(300~1000 MW)의 고질병인 안전 문제와 핵폐기물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고 관리하기도 쉽다고 여겨진다.또 중대형 원자로보다 건설비가 적게 들고 공기 냉각을 할 수 있어 내륙에 설치할 수 있는 등 범용성 측면에서도 우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 안보 차원의 추가 수요까지 예상되는 SMR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한국을 포함해 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 등 많은 기술 강국들이 SMR 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다.10MW 이하 출력 내는 초소형 원자로SMR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최근에는 초소형 원자로도 재조명받고 있다. 초소형 원자로(MMR : Micro Modular Reactor)는 통상 10MW 이하의 출력을 내는 원자로를 말한다. MMR은 SMR보다 더 많은 이점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는다.일단 더 작고 더 가벼워 트럭·기차·배 등 일상적인 운송 수단으로도 운반할 수 있다. 그래서 MMR은 범용성 측면에서 SMR보다 더욱 낫다고 평가된다. SMR조차 설치하기 힘든 산간 지역이나 남극 등의 극한지나 자주 옮겨 다녀야 하는 전쟁터 등에 설치해 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일부 MMR은 연료 교체 기간이 기존 원자로보다 2~5배 긴 5~10년에 달해 유지·보수 비용도 훨씬 줄어들 것으로
2022.08.31 06:02:01
-
[100대CEO-김승연 한화그룹 회장]“혁신의 속도 높여 신사업을 핵심 사업으로”
지난해 경영에 복귀한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올해 신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신년사에서는 “일상의 회복을 넘어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는 대전환의 발걸음을 재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특히 그룹의 미래 성장 동력을 단기간 내에 핵심 사업으로 성장시킬 것을 요구했다. “빠른 의사 결정과 강력한 실행으로 시장을 선점하고 기술을 주도하라.” 그가 올해 임직원들에게 내린 주문이다. 김 회장은 이를 위해 5년간 37조원에 달하는 역대급 투자 보따리를 풀기로 했다. 한국 투자 규모만 20조원이다. 한화그룹은 특히 태양광과 풍력 등 에너지 분야에 4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태양광 연구·개발(R&D)을 강화하고, 최신 생산 시설을 구축해 한국 공장을 고효율의 태양광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글로벌 핵심 기지’로 성장시키겠다는 전략이다. 한화큐셀은 차세대 고효율 태양광 셀인 ‘페로브스카이트-결정질 실리콘 태양광 셀(탠덤 셀)’의 양산을 추진하고 있다.기존의 실리콘 태양광 셀의 이론 한계 효율이 29%인 데 반해 탠덤 셀의 이론 한계 효율은 44%까지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탠덤 셀의 선도적 상업화를 통해 해외 태양광 업체들과의 기술 격차 확대와 고부가 가치 시장 공략을 꾀할 계획이다.방산·우주 항공 분야에는 2조6000억원을 투자해 K-9 자주포 해외 시장 개척 등 K-방산 글로벌화를 더욱 가속화하기로 했다. 한화그룹은 민간이 우주 개발을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 시대’에 맞춰 선제적인 투자로 우주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주)한화·쎄트렉아이가 참여한
2022.07.04 06:00:05
-
김동관표 ‘한화 우주 사업’ 본궤도 올린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장남 김동관 (주)한화 전략부문장이 사내이사로 선임돼 미래 사업을 진두지휘한다.(주)한화는 7일 이사회를 열고 김 부문장에 대한 사내이사 선임 관련 주주총회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김 부문장은 2020년부터 맡아온 전략부문을 이끌며 우주항공 분야 등 미래 사업 전략 수립과 이행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김 사장의 등기 임원 선임은 3월 29일 주주총회 의결을 거쳐 이뤄진다.(주)한화 관계자는 “불확실성이 커진 포스트 코로나 상황에서 어느 때보다 책임경영이 필요하다는 점을 우선적으로 고려했다”고 말했다.김 부문장은 2021년부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사내이사를 맡아 한화그룹 우주사업 종합상황실 ‘스페이스허브’를 지휘하고 있다. 우주사업 분야에서도 △스페이스허브-카이스트(KAIST) 우주연구센터 설립 △한화시스템의 우주인터넷 기업 원웹(OneWeb) 투자와 이사회 참여권 확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누리호 75톤급 엔진 제작 성공 등의 성과를 냈다.스페이스허브 출범 당시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쎄트렉아이와 함께 합류한 (주)한화도 2021년 항공우주연구원과 인공위성의 심장으로 불리는 ‘저장성 이원추진제 추력기(인공위성의 궤도 수정, 자세 제어 등을 담당하는 핵심 부품)’ 개발 협약을 맺는 등 우주사업 진출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방위산업과 민간 우주기술 접목은 세계적 추세다. 정부도 지난해 ‘우주 방위사업 전담팀’을 신설했다.조진수 한양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우주로 가는데 군용·민간 기술을 구분하는 건 옛날 사고방식”이라면서 “군용 기술을 민간에 적극 이전하고 때로
2022.03.07 17:59:00
-
우주여행, 현실이 되다
2156년 토성 궤도 근처의 한 우주정거장. 여태껏 봐온 광활한 우주에서 외로이 홀로 떠도는 주정거장과는 전혀 딴판이다. 이곳에는 황폐해질 대로 황폐해진 지구를 떠난 인류가 정착해 살고 있다. 햇볕은 지구처럼 따사롭고, 땅에는 푸른 잔디가 무성하다. 공기는 우주복을 입지 않아도 편하게 숨 쉴 수 있으며, 곡물은 성인 남성 키만큼 자라 있다.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인터스텔라> 결말 부분에 나오는 장면이다. 미래 여행을 머릿속으로 그려본다면 누구나 이처럼 쉽게 우주여행을 떠올릴 것이다. 영화 소재로 주로 사용한 우주여행이 성큼 현실로 다가왔다. 미지의 세계로 향하는 사람들지난 6월 12일(현지 시각) 미국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와 함께 우주 여행을 떠나는 티켓 값이 무려 2,800만 달러약 312억원에 낙찰됐다. 이는 경매 시초가인 490만 달러약 54억5,860만원를 훌쩍 넘어선 금액으로 전세계 최고 부자인 베이조스와 함께 떠나는 우주 관광이라는 점에서 전 세계적인 관심을 끌었다. 159개국에서 약 7,600명이 경쟁에 뛰어들며 경매에 참여했다.아마존 최고경영자CEO 자리에서 물러난 베이조스는 지난 7월 20일 우주 여행을 떠났다. 이 날은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한 지 52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베이조스는 2000년에 본인이 설립한 우주탐사 기업 블루 오리진Blue Origin의 '뉴셰퍼드' 우주선을 타고 우주로 떠났다. 뉴셰퍼드호는 조종사가 필요 없는 캡슐 형태의 오토파일럿 우주선으로 총 6개 좌석이 있으며, 이번 우주 여행에는 총 4명이 탑승했다. 베이조스와 그의 동생 마크 베이조스를 비롯한 탑승객 전원은 지상에서 약 100킬로미터
2021.10.27 11:36:06
-
우주에 눈독 들이는 억만장자들
[스페셜 리포트] 우주 개발 대항해 시대대항해 시대의 부호들은 ‘황금 광산’을 찾기 위해 신대륙에 눈을 돌렸다. 지금 이 시대의 억만장자들이 눈독을 들이는 곳은 다름아닌 ‘우주’다. 인류의 발길이 닿지 못한 미지의 세계, 바로 그곳에 ‘황금’이 묻혀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우주를 발판으로 ‘조만장자’가 되기를 꿈꾸는 대표적인 기업가들은 엘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립자 그리고 리처드 브랜슨 버진그룹 회장이다. 이들 3인의 ‘우주 정복 전략’을 비교해 봤다.민간 기업 첫 ‘우주 여행’, 리처드 브랜슨 억만장자들의 우주 전쟁, 그 첫째 격전지는 다름 아닌 ‘우주 관광’ 사업이다. 우주에 무한한 가능성이 묻혀 있다면 우주에 직접 발을 디뎌야만 비로소 첫걸음을 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주에 도달하기 위한 발사체가 필수적이고 ‘우주여행’은 이와 같은 발사체 기술을 보여줄 수 있는 최적의 민간 우주 사업인 셈이다.민간 기업이 주도한 전 세계 첫 우주여행의 주인공은 영국의 억만장자 리처드 브랜슨 회장이다. 우편 주문 판매회사인 버진레코드로 시작해 지금은 항공사, 이통사 등 전 세계 30여 개 국가에서 200여 개의 계열사를 거느린 버진그룹의 회장이다. 브랜슨 회장이 직접 탑승해 관심을 모았던 이번 우주여행에서 버진갤럭틱의 우주선은 블루오리진이나 스페이스X처럼 로켓을 이용하는 방식은 아니다. 우주 왕복선(VSS유니티)을 대형 항공기(VMS이브)에 싣고 이륙한 다음 공중에서 엔진을 점화해 고도 90km까지 상승한 뒤 4분간 무중력을 체험하고 지구로 귀환했다. 미국항공우
2021.10.25 06: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