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세는 SUV…저무는 세단의 시대

    지난해 국내 신차 시장에서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판매 비중이 60.5%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이 넓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SUV의 인기가 높아진 덕분이다. 반면 ‘자동차의 표준’이라는 인식이 강했던 세단은 빠르게 시장을 잃고 있다.산업통상자원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국내 신차 판매 시장에서 SUV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52.3%에서 2021년 56.2%, 지난해 60.5%로 꾸준히 늘고 있다. 같은 기간 SUV 생산량은 2012년 116만405대에서 지난해 223만7199대로 배 이상 늘어났다. 동급 세단에 비해 넓은 공간과 높은 활용성, 레저를 즐기는 생활 양식 등의 변화가 SUV 인기 요인이다.이는 전기차에서도 비슷한 흐름으로 나타난다. 특히 전기차는 배터리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 적재 공간 확보에 유리한 SUV가 유용하게 쓰인다. 국내 인기 전기차의 형태가 SUV 혹은 세단과 SUV의 장점을 섞은 크로스오버인 것도 이 때문이다.반면 세단의 입지는 좁아지고 있다. 지난해 국내 완성차 업체의 세단 생산량은 105만2620대로, 10년 전인 2012년 286만7842대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작년 국내 시장에선 SUV 모델이 처음으로 세단 모델을 누르고 연간 판매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 최근 5년간 단일 모델 연간 판매 1위는 줄곧 현대차 그랜저가 차지했는데, 작년에는 기아 쏘렌토가 6만8902대 판매돼 그랜저(6만7030대)를 1872대 차이로 따돌렸다.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국내 등록 승용차 2111만4951대 가운데 SUV 비율은 27%까지 확대됐다. 도로 위를 다니는 승용차 4대 중 1대는 SUV란 의미다.이홍표 기자 hawlling@hankyung.com

    2023.05.10 10:02:28

    대세는 SUV…저무는 세단의 시대
  • 1년 타도 더 비싼 쏘렌토, 웃돈 붙는 캐스퍼

    [비즈니스 포커스]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이 계속되면서 신차를 받는 데 필요한 대기 기간이 갈수록 길어지고 있다. 인기 차종은 최대 1년 6개월이나 기다려야 한다. 계속된 신차 부족 사태에 중고차 시장이 활황세다. 신발이나 명품 백의 ‘오픈런’처럼 되팔기(리셀) 시장에서 신차 값에 웃돈을 얹어 중고차를 파는 모습도 보인다.온라인 중고차 거래 플랫폼 ‘엔카닷컴’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출시된 현대차의 캐스퍼는 신차보다 200만~300만원 비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다른 차종과 비교해 2개월이라는 짧은 대기 기간에도 높은 인기에 웃돈이 붙어 판매되고 있는 것이다.캐스퍼 1.0 가솔린 터보 인스퍼레이션의 신차 가격은 1960만원이다. 반면 엔카닷컴에 등록된 주행 거리 100km 미만급의 신차 가격은 2200만~2300만원이다. 구입 가격 대비 10% 정도 마진을 볼 수 있다. 일부 리셀족들이 캐스퍼를 활용한 ‘캐테크’에 나선다는 말까지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캐스퍼는 매장이나 딜러를 통해 구매할 수 있는 차량이 아니다”며 “온라인으로 비교적 쉽게 주문이 가능한 만큼 단기 차익을 노리고 차를 구매한 후 되파는 이들이 늘고 있다. 캐스퍼의 인기가 식지 않고 있는 만큼 이 현상은 당분간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캐스퍼의 판매량은 한국 경차 중 1위다. 한국 완성차 업체의 올해 1분기 경차 판매량은 3만189대다. 이 가운데 캐스퍼는 36.4%인 1만977대가 팔렸다. 다른 인기 중고차도 신차 출고 지연에 높은 잔존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현대차 싼타페와 기아의 더 뉴 니로는 3년을 탄 후 되팔아도 신차 가격의 90%를 받을 수 있다.올해 4월 기준 2019년형 현대차 싼타페 TM(

    2022.05.26 06:00:12

    1년 타도 더 비싼 쏘렌토, 웃돈 붙는 캐스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