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벨루스 오레움 컬렉션, 수트 1년 50벌만 생산[류서영의 명품이야기]
류서영의 명품이야기 제냐① 좋은 재료가 요리의 맛을 결정하듯 패션도 마찬가지다. 젊어서는 디자인과 디테일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면 나이 들어서는 좋은 소재를 우선시한다. 최근 패션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올드머니룩(대대로 부를 축척해온 부자들의 옷장을 열어보면 있을 법한 옷의 스타일)’ 또한 좋은 소재를 빼고는 이야기할 수 없다. 남성복에 있어 올드머니룩의 대표적인 브랜드를 꼽으라면 제냐가 아닐까 한다. 창립자 에르메네질도 제냐가 18세가 되던 1910년. 이탈리아 북부 트리로베에서 그의 아버지가 경영하던 프랑스식 직조공장을 영국식 기계로 바꾸고, 품질 좋은 원자재를 직수입해 최고급 원단을 만들면서 제냐의 사업은 시작됐다. 1930년 품질을 보증하기 위해 원단 가장자리에 ‘Ermenegildo Zegna’를 새겨 판매하기 시작한 것은 원단에 대한 품질보증뿐만 아니라 그의 자부심이기도 했다. 1933년 제냐는 원료 수급뿐만 아니라 방적(단섬유 등의 짧은 섬유를 조작하여 적당한 굵기의 기다란 실을 만드는 일)과 방직(원단을 직조하는 것), 염색과 마무리 공정까지 모든 것을 독자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다. 당시 원료부터 직조까지 독자적으로 할 수 있는 기업은 그리 많지 않았다. 1910년에 설립된 원단 공장인 라니피시오(양모 공장이라는 의미) 제냐는 브랜드의 심장이자 세계적인 원단회사의 중심에 자리 잡기 시작했다. 울 원료 1g에서 원사 180m 만들어 이곳에서 생산되는 원단은 제냐에 사용되는 것은 물론, 유명 디자이너 브랜드들도 이 원단을 앞다투어 사용했다. 제냐의 원단은 더 가볍고, 더 부드럽고, 더 기능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라니피시오 제냐에서는 1g의 울 원료에서 1
2023.10.31 14:06:26
-
‘꿈의 차량 강판’ 기가스틸 100만 톤 생산 체제 구축한 포스코
포스코가 미래차 강판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최근 ‘기가스틸’ 100만 톤 생산 체제를 구축했다.기가스틸은 인장 강도 1기가파스칼(GPa) 이상의 초고강도 경량 강판이다. 1㎟ 면적당 100㎏ 이상의 하중을 견딜 수 있고 동급의 타 소재 대비 탄소 배출량이 적어 ‘꿈의 자동차용 강판’으로 불린다.포스코는 친환경차 시장 확대와 차체 경량화 트렌드 등 자동차 산업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17년부터 약 5000억원을 들여 광양제철소에 기가급 강재 제조 설비를 증설해왔다.포스코는 강판을 최소 0.5㎜ 두께로 얇게 만들면서도 폭은 1650㎜까지 키울 수 있는 박물 전용 압연기(ZRM)를 도입했다. 고객사의 엄격한 품질 관리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열연 공정 내 가열과 냉각 시 정밀한 온도 관리가 가능한 설비도 갖췄다. 강판이 전면에 걸쳐 울렁임 없이 평평함을 최대한 유지하도록 하는 정정 능력도 증강했다.최근 자동차 산업은 강화되는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차 위주로 산업 구조가 재편되고 있다. 또한 차량 내 배터리 탑재 및 안전·편의 장치 증가에 따라 차체 중량 경량화가 업계의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시장 조사 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글로벌 기가급 강재 생산량은 지난해 670만 톤에서 2025년 1240만 톤으로 연평균 13%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포스코의 기가스틸은 기존 알루미늄 소재 대비 3배 이상 높은 강도에 성형성과 경제성까지 겸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내외 주요 자동차 기업의 신차 바디 부위나 차체 중량을 지지하는 현가장치 등에 적용돼 중량 감소에 따른 연비 향상과 주행 거리 증가, 배출 가스 감축 효과 등을 입증했다.포스코는 차량 내 기가스틸 적용 범
2021.09.23 06:00:16
-
메리 바라 GM CEO “2035년 휘발유車 생산 완전 중단”…전기차 업체 변신 선언
[이 주의 한마디]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전기차 업체로의 변신을 선언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1월 28일(현지 시간) GM이 2035년까지 휘발유와 디젤 엔진 자동차의 생산·판매를 전 세계적으로 중단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메리 바라 GM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을 통해 “더 안전하고 푸르고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전 세계 국가들과 기업의 노력에 동참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2035년 이후 GM은 전기차만 생산한다. 단 상업용 대형 트럭은 2035년 이후에도 판매된다. GM은 미국의 대표적인 자동차 업체로, 매출과 수익의 98%가 내연기관차에서 거둬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GM의 전기차 업체 변신 선언은 다른 메이저 자동차 업체들에 비해 훨씬 진전된 내용을 담았다는 평가다.바라 CEO는 “우리가 판매하는 모든 차량이 배출 가스 제로(0)인 미래를 향해 속도를 높이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뉴욕타임스는 매출 기준으로 미국 최대 자동차 업체인 GM이 2035년이라는 구체적인 시기까지 못 박아 전기차 업체로의 변신을 선언한 것은 다른 자동차 업체들에도 압박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다면 월스트리트저널은 GM이 전기차 업체로 생존하려면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국 중서부와 남부에 충전 시설이 부족하고 전기차 가격이 비싸다는 점 등을 들었다.이현주 기자 charis@hankyung.com
2021.02.02 07:3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