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현식 LG유플러스 사장, 4대 플랫폼 승부수…‘U+ 3.0 시대’ 활짝 연다 [2023 100대 CEO]
[2023 100대 CEO]황현식 LG유플러스 사장은 2023년 신년사를 통해 다시 한번 ‘빼어남’을 강조했다. 여기서 ‘빼어남’이란 단순히 고객의 페인포인트를 제거하거나 개선하는 정도를 넘어 고객이 인정할 만한 LG유플러스만의 독특하고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황 사장은 “기존 사업에서 고객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면 새로운 가치가 만들어지고 이를 플랫폼 사업으로 진화하면 U+ 3.0으로 나아갈 수 있다”며 “이때 우리가 만드는 고객 경험은 통상적인 수준을 넘어 확실하게 차별화된 빼어남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황 사장은 ‘빼어난 고객 경험’이 자칫 지나치기 쉬운 사소한 영역에서부터 시작된다고 설명했다. 디테일한 부분까지 신경 쓰는 사소한 차이가 빼어남을 완성할 수 있고 디테일한 부분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모든 임직원이 상품·서비스에 영혼과 애착을 담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LG유플러스는 통신 사업자를 넘어 플랫폼 사업자로 전환하겠다는 ‘U+ 3.0’ 선언에 발맞춰 올해 플랫폼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개발 역량을 내재화하기 위해 인공지능(AI)·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데이터·플랫폼 엔지니어 등 전문 인력 채용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대표적으로 LG유플러스는 4대 플랫폼 전략(라이프·놀이·성장케어·웹3.0) 중 놀이 플랫폼의 기반이 되는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이를 위해 지난해 신정수 PD와 임형택 PD, 양자영 PD 등 콘텐츠 제작 전문가를 대거 영입하고 크리에이터 테크 스타트업에 지분을 투자하거나 영상 콘텐츠 투자 담당 펀드에 참여하는 등 콘텐츠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반을 다졌다.최근 영상 트렌드에 발맞춰 미드폼·
2023.06.30 08:07:02
-
[100대 CEO-황현식 LG유플러스 사장] ‘영업통’ 첫 내부 출신 CEO, 비통신 매출 30%로 키운다
[100대 CEO]황현식 사장은 LG유플러스 내부에서 성장한 인물로는 처음으로 최고경영자(CEO)에 올랐다. 20여 년의 풍부한 통신 사업 경험과 온화한 리더십으로 그룹 안팎에서 신임이 두텁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그는 1999년 LG텔레콤에 입사해 강남사업부장·영업전략담당 등을 역임하며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영업과 영업 전략을 두루 거친 영업통이다. 이후 LG통신서비스팀을 거쳐 2014년 다시 LG유플러스에 합류했다.황 사장은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도 LG유플러스의 모바일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끈 성과를 인정받아 2019년 LG그룹에선 유일하게 사장으로 승진했다. 2020년부터 모바일·IPTV·인터넷 등 스마트 홈을 통합한 컨슈머사업총괄 사장을 맡아 LG유플러스의 유·무선 사업을 이끌었고 2021년 3월부터 LG유플러스 사장을 맡고 있다.황 사장은 2025년까지 비통신 사업 분야의 매출 비율을 20% 수준에서 3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내걸고 디지털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취임 후 ‘고객 일상의 즐거운 변화를 주도하는 디지털 혁신 기업’을 비전으로 삼고 고객 중심 경영과 질적 성장을 통해 디지털 혁신 기업으로의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황 사장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끊임없이 혁신해 나가는 기업을 지향하지만 기술 자체보다 고객 가치를 더욱 중요하게 생각한다”며 “고객 일상 속 아주 작은 변화까지도 놓치지 않고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LG유플러스는 비통신 사업 강화를 위해 올해 △해지율 감소 △핵심 기술 내재화 △신사업 강화에 집중할 방침이다. 특히 해지율을 고객의 관점에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지표로 꼽
2022.07.05 06:02:03
-
비통신 새 성장판 열렸다…역대급 실적 낸 LG유플러스
[비즈니스 포커스]황현식 LG유플러스 사장이 비통신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올해 취임 2년 차를 맞은 황 사장은 2021년 6월 첫 기자 간담회에서 2025년까지 비통신 사업 분야의 매출 비율을 20% 수준에서 3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내걸었다.황 사장은 고객 중심 경영으로 ‘찐팬’ 확보에 사활을 걸었다. 찐팬 전략은 구광모 LG 회장이 지난해 신년사에서 제시한 LG 팬덤 만들기 전략이다. 황 사장은 “뼛속까지 고객 중심을 실천해 LG유플러스 상품과 서비스에 만족해 열광하고 이를 주변에 적극적으로 알리는 찐팬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황 사장은 LG유플러스 내부에서 성장한 인물로는 첫 최고경영자(CEO)에 올랐다. 20여 년의 풍부한 통신사업 경험과 온화한 리더십으로 그룹 안팎에서 신임이 두텁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황 사장은 1999년 LG텔레콤에 입사해 강남사업부장·영업전략담당 등을 역임하며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영업과 영업 전략을 두루 거친 영업통이다. 이후 LG통신서비스팀을 거쳐 2014년에 다시 LG유플러스에 합류했다.황 사장은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도 LG유플러스의 모바일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끈 성과를 인정받아 2019년 LG그룹에선 유일하게 사장으로 승진했다. 2020년부터 모바일·IPTV·인터넷 등 스마트 홈을 통합한 컨슈머사업총괄 사장을 맡아 LG유플러스의 유·무선 사업을 이끌었고 2021년 3월부터 LG유플러스 대표이사 사장을 맡고 있다.황 사장의 찐팬 전략에 힘입어 LG유플러스는 2021년 창사 이후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매출액이 전년보다 3.2% 증가한 13조8511억원, 영업이익은 10.5% 늘어난 9790억원을 기록했다. 일회성
2022.02.18 06:00:07
-
황현식 LG유플러스 사장, ‘뼛속까지 고객 중심’ 경영으로 찐팬 확보
[100대 CEO]LG유플러스는 올해 황현식 사장을 신임 최고경영자(CEO)로 선정하고 이사회와 주주 총회를 거쳐 대표이사에 선임했다. 황 사장은 급변하는 통신·미디어 시장 환경에서 조직을 안정적으로 이끌면서 디지털 전환을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는 적임자로 평가됐다.황 사장은 LG유플러스 내부에서 성장한 인물 중 CEO에 임명된 첫 사례다. 20여 년의 풍부한 통신 사업 경험과 온화한 리더십으로 그룹 안팎의 신임이 두텁다.황 사장은 1999년 LG텔레콤에 입사해 강남사업부장, 영업전략담당 등을 역임하며 B2C 영업과 영업 전략을 두루 경험했다. 이후 (주)LG 통신서비스팀을 거쳐 2014년 다시 LG유플러스에 합류했다.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도 LG유플러스의 모바일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끈 성과를 인정받아 2019년 LG그룹에서 유일하게 사장으로 승진했다.황 사장은 올해 CEO로 맞는 첫 신년사에서 “모든 변화의 시작은 고객인 만큼 임직원 모두가 고객에 집중하고 소위 고객에 ‘미쳐야’ 한다”며 “‘뼛속까지 고객 중심’ 경영”을 천명했다.황 사장은 “전 임직원이 뼛속까지 고객 중심을 앞장서 실천함으로써 회사의 상품과 서비스에 만족해 열광하고 이를 주변에 적극적으로 알리는 ‘찐팬’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황 사장은 “품질에 있어서만큼은 고객의 기대를 뛰어넘는 수준으로 제공해야 한다”며 “고객 중심으로 사고를 전환하지 못해 생겨난 만성적 ‘페인 포인트’들이 제로가 되도록 전사의 역량을 모아 개선해야 한다”며 고객의 요구에 충족하는 활동을 최우선에 둘 것을 주문했다.황 사장은 우선 기업
2021.06.21 06:4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