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그룹의 김선홍 회장이 지난달 29일 회장직에서 사퇴함에 따라혼미를 거듭하던 기아사태 처리가 속속 진행되고 있다. 법원은 기아측의 화의신청을 기각하고 채권은행단의 법정관리 신청을 받아들여 재산보전처분 결정을 내렸고 채권은행단은 4천5백억원의 자금을기아자동차에 지원키로 했다. 지난 7월15일 부도유예조치 이후 국내경제 난맥의 핵으로 꼬일대로 꼬였던 기아사태의 매듭이 풀리고있는 셈이다.이에 따라 기아자동차는 정부의 방침대로 법정관리 아래서 산업은행의 출자전환을 통한 공기업 형태로 운영될 전망이다. 법정관리인으론 박제혁 기아자동차사장 등 현경영진과 한승준 기아자동차 자문역 등 전임 경영진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또 나웅배 전부총리나 안천학 전한국중공업 사장 등 외부인사도 거론되고 있다.물론 기아자동차가 당분간 공기업 형태로 운영된다고 하더라도 제3자 인수를 전혀 배제할 순 없는 상황이다. 강경식부총리가 당초 기아자동차의 법정관리 방침을 밝히며 『새정부 출범후 새주인을 찾아줘야 할 것』이라고 말한 것도 그렇지만 안팎에서 경쟁이 치열한자동차 회사를 언제까지 무주공산으로 남겨둘 수도 없기 때문이다.공기업 형태를 통한 기아의 정상화가 여의치 않을 경우 언제든지제 3자 매각이 대안으로 떠오를 가능성은 상존하고 있다. 기아자동차 내부에서도 법정관리를 통한 제3자 인수 시나리오에 대한 불안감이 여전히 팽배한 게 사실이다.어쨌든 그동안 기아자동차의 제3자 인수를 저지한다는 명분아래 버텨온 김선홍회장이 검찰의 비리 내사 이후 백기를 들고 후퇴함에따라 기아의 운명은 정부와 채권단의 의지에 의해 좌지우지될 예상이다. 당장은 공기업 형태로 연명한다 해도 결국엔 새주인에게 넘어가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이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