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10달러 시대 전망도…OPEC 감산 합의 '난망'

저유가 후폭풍 "1200조 석유 투자 부실화"
연초 국제 금융시장이 혼란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중국발 증시 불안으로 시작된 뒤숭숭한 분위기는 국제 유가 폭락으로 한 치 앞을 가늠하기 힘든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가장 우려되는 것은 국제 유가다. 국제 유가는 연초 배럴당 20달러대로 내려앉았다. 기름값 하락은 평소 같으면 구매력 확대로 경제에 활력을 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지금은 유가 하락이 투자 감소→소득 감소→소비 감소→물가 하락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경로를 따르고 있다. 지난해부터 우려됐던 전 세계적인 ‘디플레이션’의 경로다. 일각에서는 배럴당 10달러대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점치는 목소리는 없다.

국제 유가 하락의 원인은 두 가지다. 수요 감소와 공급과잉이 겹쳤다. 수요는 경기 침체가 주요인이다. 특히 전 세계 원유 수입의 12%를 차지하는 중국이 경기 조정 국면에 접어들면서 수입량을 줄이고 있다.

공급 쪽에서도 여러 하락 요인이 있다. 우선 미국에서 셰일가스 개발 붐으로 공급과잉에 불을 댕겼다. 사우디아라비아를 중심으로 한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미국에 시장점유율을 뺏기지 않기 위해 가격 하락에도 생산량을 줄이지 않고 있다. 미국 셰일가스 업계와 OPEC 간의 ‘치킨게임’이다.

루비니 “역석유파동 온다”

여기에 이란까지 가담할 형국이다. 이란은 전 세계 원유 매장량의 10%를 차지하고 있는 에너지 강국이다. 2012년부터 핵 개발 때문에 수출을 제한받았지만 지난 1월 16일 경제·금융제재가 풀렸다. 원유 수출이 자유로워진 것이다.
저유가 후폭풍 "1200조 석유 투자 부실화"
국제 유가는 이러저러한 하락 요인이 겹치면서 ‘날개 없는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2014년 6월 배럴당 107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19개월 연속 하락세다. 정점 대비 70% 이상 떨어졌다.

지난 1월 15일에는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와 북해산 브렌트유 가격이 각각 배럴당 29.42달러, 28.94달러로 떨어졌다. 국제 유가가 배럴당 30달러 밑으로 떨어지기는 2003년 말 이후 12년 만이다.

보통 기름값이 떨어지면 기업들의 생산 단가가 떨어지고 물건 값이 하락하면서 구매가 늘기 때문에 경기에 활력을 준다. 하지만 기름 값이 너무 떨어지면 얘기가 달라진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유가 하락으로) 시장 참여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누리엘 루비니 미국 뉴욕대 교수가 말한 이른바 ‘역(逆)석유파동(Reverse Oil Shock)’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1990년대 장기 저유가 재현되나

유가 하락은 산유국들의 경제에 타격을 준다. 중동 산유국은 물론 러시아·베네수엘라 등 원유 판매 수입이 재정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나라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중동 산유국과 신흥국들이 휘청거리면서 이들에 대한 수출과 투자 비중이 높은 나라와 기업·개인들이 큰 손실을 보고 있다.
저유가 후폭풍 "1200조 석유 투자 부실화"
또 에너지 관련 주식이 폭락하면서 금융시장이 흔들리고 에너지 기업들에 투자했던 정부와 금융회사들도 벌써부터 투자 손실 규모를 계산하며 골머리를 앓고 있다. 미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1조 달러(약 1200조원)에 가까운 석유 개발 투자가 부실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저유가가 경기의 불쏘시개가 되는 게 아니라 투자 감소와 소비 감소로 이어지며 디플레이션을 야기하고 주식 및 채권 등 금융시장을 불안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관심은 유가가 어디까지 떨어질지와 이를 막을 방법에 모아지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과 금융회사들은 국제 유가가 당분간 하락세를 벗어나기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메릴린치는 올 상반기에 국제 유가가 배럴당 20달러 선까지 떨어지고 하반기에 회복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배럴당 10달러 선으로 하락한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데이비드 레보비츠 JP모건 시장연구원은 “유가의 바닥이 어디인지 확신할 수 없다.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달러 선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1990년대 장기 저유가 국면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는 예상도 나온다. 1998년 12월 국제 유가는 ▷아시아 외환 위기 등에 따른 원유 수요 감소 ▷OPEC의 판단 착오에 따른 원유 증산 ▷달러 강세 등의 요인이 겹치면서 배럴당 11.30달러까지 떨어졌다.

배럴당 10달러 국제 유가는 위기 상황이다. 이 때문에 벌써부터 OPEC 회의 동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OPEC 회원 12개국이 전 세계 원유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0~35%다. 이들이 합의하면 어느 정도 유가 하락세를 막을 수 있다.

OPEC 회의는 매년 6월과 12월 두 차례 열린다. 해외 언론에 따르면 OPEC 회원국 2곳이 올해 6월 정례 회의에 앞서 3월 초 감산 논의를 위한 임시 회동을 요청했다.

하지만 상황은 여의치 않다. 이란은 경제 재건을 위해 단기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연간 생산량을 당장 100만 배럴 늘린다는 계획이다. 비축해 놓은 원유 3000만~6000만 배럴도 풀 기세다. 미국도 지난해 말 자국산 원유에 대한 수출 길을 터놓았다.

OPEC 회원국들이 일찍 만난다고 하더라도 생산량 감축에 전격적으로 합의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OPEC만 덜컥 생산량을 줄였다가 이란과 미국에 시장만 뺏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국제 유가가 비정상적이기 때문에 충격이 일시적일 것이란 시각도 있다.

민병규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980년대부터 통계치를 비교할 때 현재 유가는 예외적인 가격대에 있는 것으로, 가격 측면에서 과도하게 빠졌다”며 “이란 원유 공급도 이미 6개월 이상 노출된 재료라는 점을 고려할 때 유가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워싱턴(미국)= 박수진 한국경제 특파원 psj@hankyung.com

시간 내서 보는 주간지 ‘한경비즈니스’ 구독신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