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 G20에 재정지출 확대 주문
국제통화기금(IMF)은 2월 보고서에서 “글로벌 시장 불안이 실물경제를 위축시키기 시작했다”며 “글로벌 경제성장을 위해 세계 주요국이 대담하게 재정지출 확대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재 상당수 주요 국가가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통화정책에 의존하고 있지만 공적 투자를 늘리고 구조 개혁을 보완할 수 있는 재정지출 확대로 수요를 진작시켜야 한다는 게 IMF의 방침이다.

이에 대해 제이콥 루 미국 재무부 장관은 “금융시장에서 생각하는 것보다 실물경제 상황이 양호하다”며 “위기가 아닌 상황을 위기 대응책으로 타개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BRAZIL - 국가 신용 등급 투자 부적격으로 강등
국제 신용 평가사 무디스는 최근 브라질의 국가 신용 등급을 ‘Baa3’에서 ‘Ba2’로 두 단계 강등했다.

무디스는 브라질의 신용 등급을 투자 부적격(junk) 등급으로 조정하면서 향후 추가 강등 여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무디스는 강등 배경에 대해 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 탄핵 위기와 부패 스캔들로 정국이 마비되면서 나타난 불확실성을 들었다.

브라질 재무부는 무디스 발표 이후 성명을 통해 “재정지출 감소와 연금 개혁 등 긴축 조치를 바탕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60% 이상인 부채 위기를 안정화하고 투자자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MEXICO - 2015년 4분기 0.5% 성장에 그쳐
멕시코가 2015년 2.5%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기록하며 3년 만에 가장 빠른 성장을 거뒀지만 4분기 기준으로는 산업 부문이 서비스 부문의 강세를 다소 상쇄하면서 전 분기 대비 0.5% 성장하는 데 그쳤다고 멕시코 통계청이 전했다.

크게 높지 않은 성장세와 최저 인플레이션 상황에도 불구하고 멕시코은행은 최근 금리를 0.5% 포인트 인상했다.

멕시코 정부는 글로벌 시장 변동성과 유가 하락에 대응하기 위해 GDP 대비 0.7%에 달하는 재정지출을 삭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북미 산유국인 멕시코가 저유가에 따른 타격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GLOBAL - 세계무역, 금융 위기 이후 첫 감소
중국 등 신흥국의 수요가 둔화하면서 지난해 세계무역 규모가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첫 감소세를 보였다.

네덜란드 경제정책분석국(CPB)에 따르면 2015년 글로벌 무역 규모는 달러 기준으로 전년 대비 13.8% 감소했다. 글로벌 해운 경기를 말해 주는 벌크선운임지수(BDI) 역시 최근 300포인트대에 머무르는 등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2008년 금융 위기 전까지만 해도 글로벌 무역은 수십 년 동안 글로벌 국내총생산(GDP)의 2배까지 성장했었지만 2011년 이후 GDP 성장 수준까지 둔화하면서 경제 글로벌화의 수혜가 고점에 달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낳고 있다.

◆INDIA - 철도 네트워크 개선에 170억 달러 투자
인도 정부는 철도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현대화하기 위해 2016 회계연도에 약 1조2000억 루피(176억8000만 달러)를 지출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부가 이를 위한 요금이나 운임 인상은 꺼려 투자가 제대로 이뤄질지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의 철도 네트워크 중 하나를 가진 인도의 철도 요금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이다. 인도의 철도는 매일 1만2000여 대의 여객열차를 운영하고 화물 수송의 40%를 담당한다.

정부는 투표에서 나타날 반향을 우려해 요금 인상을 꺼리며 오히려 승객에게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다. 낮은 요금은 설비 노후화를 대가로 한 셈이다.

◆JAPAN - 5년 동안 인구 94만 명 감소
일본 총무성이 최근 발표한 인구조사에 따르면 작년 일본의 인구는 2010년에 비해 94만여 명 감소한 1억2710만 명 정도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소비와 경제활동이 위축돼 일본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도 높아졌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인구 절벽을 막고 2060년까지 인구 1억 명을 유지하기 위해 출산율 1.8%를 목표로 보육 시설 증설 및 불임 부부 지원 등 출산 장려 정책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일본의 엄격한 이민정책이 인구 감소의 또 다른 원인으로 지적된다. 아베 총리는 이민 규제 완화 요구 증가에도 불구하고 근본적 정책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자료 : 해외 증권 전문 애플리케이션 ‘ 월가의 형제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