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 아이디어]
“재정 확대시 물가상승 필수”…주식시장에는 소재·산업재 등 글로벌 민감주 중심 호재
옐런이 트럼프 정책을 꼬집은 이유
[곽현수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 재닛 옐런 미 중앙은행(Fed) 의장은 지난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정정책에 대해 비판했다. 완전고용 상태에서 막대한 규모의 재정정책은 기대만큼의 효과를 거두지 못한다는 데서 비판은 시작된다.

옐런 의장의 주장대로 고용 환경이 완전고용 혹은 자연 실업률에 근접한 이후 재정은 균형 상태가 바람직하다. 추가 고용이 제한될 때 재정 확대 정책은 구축 효과를 야기해 물가 상승만 부채질한다.

데이터를 살펴봐도 1990년 이후 미국 실업률과 재정수지의 개인소비지출(PCE) 대비 적자율 간 상관계수는 0.9에 달한다. 현재처럼 실업률이 자연 실업률에 가까울 때 재정 적자를 확대하면 실업률 하락 효과는 미미하고 물가 상승만 부채질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재정 확대가 물가 또는 시중금리 상승과 같은 구축 효과를 초래한다면 트럼프 대통령은 왜 재정정책을 강조할까.

첫째는 오바마 정권 때 늘어난 일자리가 서비스업 쪽에만 국한돼 백인 중산층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백인 중산층이 원하는 제조업 일자리 창출을 위해 트럼프 대통령이 재정정책을 그 수단으로 삼으려고 하는 것이다.

둘째는 인플레이션 그 자체가 목적이기 때문이다. 사업가로서의 직관이 살아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본능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해야겠다고 생각했을 수 있다.

부동산 개발업자 출신인 트럼프로서는 인플레이션보다 디플레이션이 훨씬 못마땅하고 경제에 해악이라는 사고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옐런 의장은 구축 효과를 우려해 거부감을 표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오히려 그 때문에 재정정책을 강조하고 있다. 결론은 하나다.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이 실현되면 인플레이션율은 현재보다 높아질 수밖에 없고 이는 소재·산업재 등 글로벌 민감주에 긍정적일 것이다. 주식시장에 단기적으로는 분명 호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