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 인사이트]
-과도한 경기 침체의 공포가 주는 기회 살펴야
-내년 중 두 차례 매수 기회 올 것

[한경비즈니스=신동준 KB증권 자산배분전략부 상무·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2019년에는 주로 미국 주식(비중 확대)을 제외한 글로벌 주식의 비중 축소와 장기 채권의 비중 확대 전략을 제시했다. 하지만 지난 9월부터 미국에 이어 글로벌 주식의 투자 선호도를 비중 확대로 상향 조정하고(한국·유로존 상향) 채권은 중립으로 하향 조정한 대폭 변화된 자산 배분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포트폴리오 재조정의 두 차례 기회 올 것

2020년에도 글로벌 경제의 성장 둔화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미국 경제는 침체가 아닌 둔화에 그칠 것으로 보이고 2018년 4분기를 정점으로 둔화되고 있는 단기 사이클의 경기 저점은 2020년 1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중 무역 분쟁은 최악의 국면을 지났고 제조업 경기와 투자는 저점을 다지고 있다. 미국의 투자 사이클과 정보기술(IT) 업황 등을 고려할 때 이익 회복은 반도체를 비롯한 IT 업종이 이끌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2019년 총 75bp(1bp=0.01%포인트)의 기준 금리를 인하했고 2020년에는 2019년 금리 인하 효과에 상응하는 대차대조표 확대 등을 통해 미국 경제를 지탱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과 달리 미·중 무역 분쟁이 일시적으로 격화되더라도 독일 등 주요국의 재정 확대가 경기 하단을 지지할 것으로 보인다. 장기(1년) 투자 선호도를 기준으로 미국과 유로존, 한국 주식의 비중 확대와 선진국 및 한국 국채의 비중을 중립으로 유지할 것을 권고한다.

미·중 무역 분쟁 완화와 Fed의 통화 완화 정책 그리고 주요국의 재정 확대 논의 등으로 글로벌 금 융시장의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 8~9월 중 극도에 달했던 글로벌 경기 침체의 공포가 역설적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주요국 정책 당국자들을 움직인 영향이다.
첫째, 미·중 양국 모두 정치적으로 펀더멘털 약화를 감내하기 어려운 수준에 도달하면서 무역 분쟁도 최악의 국면은 지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2020년 11월 대선을 앞두고 탄핵 추진과 지지율 하락에 쫓기고 있어 미국의 대중국 강경 모드는 지속되기 어려워 보인다.

둘째, Fed는 2019년 8월 이후 총 0.75%포인트의 기준 금리를 인하했고 2020년에는 올해 금리 인하 효과에 상응하는 대차대조표 확대 등을 통해 미국 경제를 지탱할 것으로 전망된다. 예고된 대차대조표 확대 규모는 최대 5900억 달러(약 702조7000억원)로 2차 양적 완화(QE2) 규모인 6000억 달러(약 714조5000억원)에 맞먹는다. 누적된 통화 완화의 효과는 시차를 두고 글로벌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낮은 인플레 압력이 Fed의 통화 완화 기조를 지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법인세 인하를 포함한 주요국의 재정 확대 논의가 구체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미 한국·인도·스웨덴의 재정 지출 또는 법인세 인하가 확정됐고 독일에서는 공공 투자 기관들의 저금리 채권 발행을 활용한 500억 유로(약 66조원, GDP의 1.4%)의 인프라·기후 관련 투자가 논의 중이다. 독일은 국내총생산(GDP)의 약 1.1% 수준인 재정 ‘흑자’를 ‘균형’ 수준까지 조정할 것을 시사했다. 최근 경기 침체 공포 완화로 추진력이 다소 약해질 수 있지만 주요국의 동시다발적 재정 지출 확대 논의는 경기 침체의 위험을 크게 낮춰 주는 동시에 주가와 장기 금리의 상단을 높이는 요인이다.

2020년 중 두 차례의 포트폴리오 재조정 기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가라앉았던 경기 침체 논쟁은 8월 이후 격화된 미·중 무역 분쟁의 부정적 영향이 반영되기 시작하는 2020년 1분기를 전후해 다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 1분기 성장률은 미국이 1% 안팎으로 낮아지고 중국은 5%대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1분기에는 미국의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위원이 민주당 경선을 통해 유력한 대선 후보로 부각되면서 그동안 미국 증시를 이끌었던 아마존·구글·애플·페이스북 등 대형 기술주들이 반독점법 우려로 흔들릴 위험도 있다.

극심했던 경기 침체의 공포는 잠잠해졌고 오히려 가파른 주가 상승에서 소외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뜻하는 ‘FOMO (Fear Of Missing Out)’ 장세가 펼쳐지고 있다. 8월 중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 인하를 0.75%까지 반영했던 국내 채권 금리도 빠르게 되돌려지고 있다. “한국 경제가 곧 회복세로 돌아서는 것은 아닌지, 한국은행의 향후 금리 인상 시점은 언제가 될 것인지”를 묻는 투자자들이 부쩍 늘었다.

다만 쏠림에 의한 반작용이 주도하는 최근의 금융 시장 흐름은 다소 불안정해 보인다. 변동성 확대 위험이 높아지고 있고 가격 상승의 재료들은 대부분 반영됐다고 판단된다. 미국 등 선진 시장 주식의 단기(3개월) 기대는 다소 낮출 것을 권고한다. 펀더멘털과 무역 분쟁의 개선은 여전히 느릴 것으로 보인다.

눈높이가 높아진 만큼 추격 매수를 자제하고 변동성이 확대될 2020년 1분기까지의 시기를 활용한 저가 매수에 나설 것을 권고한다. 한국의 장기 금리는 주요국 중 가장 빠른 속도로 반등하며 2020년 상반기까지의 금리 상단으로 제시한 국고 10년 1.90% 수준에 도달했다. 기준 금리 인하 가능성이 모두 소멸된 만큼 단기(3개월) 투자 선호도를 중립으로 상향 조정한다.

◆단기 투자 선호도 하향 조정 필요

둘째, 미국과 글로벌 경제는 전반적으로 상반기 중 저점을 형성하고 하반기부터는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으로서는 상상하기 어렵지만 2020년 2~3분기에는 글로벌 경제가 침체의 공포에서 벗어나면서 턴어라운드에 대한 낙관론이 한껏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마침 반도체 업황 회복에 대한 기대도 높다. 레버리지 확대 등 활발한 수익률 추구로 주가와 장기 금리가 오버슈팅할 위험이 있는 시점이다.

하지만 지난 8~9월의 경기 침체 공포가 과도했듯이 당분간 ‘턴어라운드’를 논할 만큼의 강한 낙관론을 충족시키기도 어렵다. 전 세계적으로 무거운 부채가 소비와 투자를 제약하고 있고 중국은 과잉 공급의 후유증으로 여전히 부채 축소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반기 반등 이후에도 미국 경제는 잠재 성장 수준을 회복한 뒤 여전히 밋밋한 성장을 이어 갈 것으로 예상된다. 2~3분기 중에는 과도한 낙관론에 의한 단기 과열이 또 다른 포트폴리오 재조정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경제가 경기 확장기 후반부(late cycle)를 지나고 있다는 인식 아래 경제 주체들이 둔화되는 경제 지표에서 곧 다가올 경기 침체를 떠올리곤 한다. 여기에서 ‘경기 침체’는 주요 주가지수가 약 30~50% 폭락하는 금융 위기급 침체를 말한다. 하지만 많은 투자자들이 집중하고 있는 현재 구조의 경기 사이클에서는 다음 금융 위기의 힌트를 찾기 어려워 보인다.

만약 미래의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되면 경제 주체들은 부채를 이용해 공장을 짓고 생산을 통해 재고를 쌓는다. 이후 어떤 이유에서든지 누적된 재고를 수요가 받쳐주지 못할 때 경제는 침체에 빠진다. 신용 사이클(credit cycle)이 중요한 이유다. 역사적으로 금융 위기급 침체를 유발했던 부채는 선진국의 민간 부채(2000년·2008년)와 신흥국의 대외 부채(외채, 1997년)였다. 하지만 이들은 규제 또는 학습에 의해 과거 어느 때보다 낮은 수준에서 철저히 관리되고 있다.

한국의 가계 부채나 중국의 기업 부채 같은 신흥국의 자국 통화 표시 부채는 금리가 상승해야 부실화 속도가 빨라지지만 고령화와 저성장으로 의미 있는 금리 상승이 어려운 구조다. 신흥국들은 자국 통화 표시 부채 수준이 매우 높기 때문에 소비가 제약되고 성장은 더욱 위축되는 악순환에 빠져 있다. 하지만 정부와 은행의 건전성이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어 금융 위기가 쉽게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경기 침체와 마찬가지로 성장도 대단히 제한된 환경에서 글로벌 경제가 2020년 상반기를 저점으로 회복된다면 경제 주체들은 레버리지를 사용하거나 비유동성 자산 투자로 위험(적절한 가격으로 원하는 시점에 빠져 나오지 못할 위험)을 감수하며 수익률 추구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만기가 있는 펀드 또는 자금력이 충분하지 않은 기관의 환매(유동성) 위험을 잘 관리해야 한다.
[본 기사는 한경비즈니스 제 1254호(2019.12.09 ~ 2019.12.15)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