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화된 방역 시스템 구축 성공…보건 당국이 직접 우수 사례로 소개해

“코로나19 확산 막기 위해 1500억원 투입”…‘K방역’ 모범 사례 된 쿠팡
[한경비즈니스=김정우 기자] 쿠팡은 자체 운영하는 부천·고양·덕평 물류센터 등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잇달아 발생하면서 큰 곤욕을 치렀다.

특히 부천 물류센터에서 80여 명의 확진자가 추가로 나타나면서 쿠팡 내부의 방역이 허술한 것 아니냐는 비난과 의혹을 받기도 했다. 이런 쿠팡이 최근 ‘코로나19 방역 우수 사례’로 지목되면서 분위기를 급반전시키는 데 성공했다.

◆QR코드 활용해 직원 건강 상태 체크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 같은 우수 사례를 참고해 방역 관리를 철저히 할 수 있도록 지도해 달라.”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이 7월 6일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쿠팡의 덕평 물류센터를 두고 한 말이다. ‘코로나19 방역 우수 사례’로 쿠팡을 직접 언급한 것이다.

쿠팡 덕평 물류센터는 6월 24일 내부에서 근무하던 한 직원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에 방역 당국은 이 직원과 함께 근무했던 200여 명에 대한 검진을 실시했지만 추가 확진자는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

박 1차장은 “(쿠팡 덕평 물류센터) 종사자들은 마스크를 착용하고 거리 두기를 지켰고 확진자도 증상 발생 뒤 이틀 만에 진단을 받아 접촉자 수를 확연히 줄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셔틀버스 탑승 시 (정원의) 반만 탑승시키고 구내식당에서도 칸막이를 설치하고 지그재그로 (착석하게 해) 인원을 제한했다”고 쿠팡 덕평 물류센터의 방역 지침에 대해 높게 평가했다.

이를 계기로 쿠팡은 그동안 쏟아졌던 방역과 관련한 비판들을 한순간에 잠재웠다. 여러 기업들이 내부 방역 시스템에 대해 벤치마킹을 잇달아 문의하기 시작했다.

쿠팡 관계자는 “그동안 방역을 위해 막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은 노력들이 마침내 빛을 발하며 좋은 평가로 이어지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그간 쿠팡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안전비용’에 올 상반기에만 600억원이 넘는 돈을 투자했다.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자동화된 방역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다.

현재 쿠팡은 직원들의 체온을 측정해 일일이 수기로 적는 작업을 QR코드로 완전히 대체한 상태다. QR코드를 통한 출퇴근 관리는 물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과 연동한 블루투스 체온계로 약 3만 명에 달하는 근무자들의 건강 상태를 바로 체크하고 있다.

QR코드를 활용한 직원 관리는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위기 상황에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이를테면 갑작스러운 고열이 발생해 주의가 필요한 근무자들이 생기면 이들을 신속하게 가려내고 격리할 수 있다. 또 이들과 접촉한 다른 직원들도 발 빠르게 파악하는 등 효과적인 방역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근무자들이 작업하는 동안 사용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PDA)와 웨어러블 기기에도 방역을 위한 기술을 탑재 했다. 근무자들이 1m 이내로 접근하면 알람이 울리는 기능을 넣어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할 수 있도록 했다.

쿠팡 관계자는 “덕평 물류센터에서 단 한 명의 추가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던 것은 이 같은 방역 시스템이 잘 돌아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 사례”라고 강조했다.

◆‘코로나19 안전감시단’ 운영 개시


이처럼 체계적인 방역 시스템을 구축했음에도 불구하고 덕평 물류센터와 달리 부천 물류센터에서는 내부에서 첫 확진자가 발생한 뒤 80여 명에 달하는 직원들이 추가로 확진된 바 있다.

이 때문에 쿠팡은 ‘내부 방역이 허술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으며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쿠팡은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 부천 물류센터발 집단 감염의 가장 큰 원인은 허술한 방역 시스템이 아니라 역학 조사의 ‘골든타임’을 놓쳤기 때문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지난 5월 이태원 클럽을 방문한 뒤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인천 학원 강사가 초기 역학 조사 당시 직업과 동선을 속여 논란이 된 바 있다. 이로 인해 2·3차 감염이 이어졌고 결국 부천 물류센터 집단 감염으로까지 이어졌다는 것이 쿠팡이 내린 결론이다.

쿠팡 관계자는 “이태원 클럽을 방문했던 학원 강사의 거짓말로 부천 물류센터 첫 확진자가 증세 발현 후 11일이 지나서야 확진 사실을 통보받았다”며 “역학 조사가 지연되지 않았다면 부천 물류센터 역시 고양과 덕평 물류센터와 같은 양상을 보였을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쿠팡은 이번 사태를 교훈 삼아 방역 시스템을 더욱 강화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6월부터 대규모 인원으로 꾸려진 ‘코로나19 안전감시단’을 운영하기 시작한 것이다.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선 회사의 방역 시스템뿐만 아니라 근무자와의 협력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이번 사태를 통해 깨달았다는 게 내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코로나19 확산 막기 위해 1500억원 투입”…‘K방역’ 모범 사례 된 쿠팡
쿠팡의 코로나19 안전감시단은 쿠팡이 운영 중인 물류센터에서 각각 운영되고 있다. 하나의 물류센터에서 300여 명의 안전감시단이 사업장을 수시로 돌아다니면서 직원들이 마스크 쓰기와 거리 두기 등 방역 수칙을 제대로 지키고 있는지 점검한다. 안전감시단을 운영하면서 6월에만 인건비로 47억원을 추가로 지출했다.

또 부천 물류센터에서 확진자가 나타난 이후 모든 직원에게 개별 용품을 지급하고 일용직에게까지 방한 장갑을 별도 지급하고 나섰다.

쿠팡에 따르면 5월 말 이전 코로나19 방역 지침에는 방한복 등 공용 사용 물품 관련 규정이 없었는데 이를 보완했다. 방한복과 방한화의 재사용 및 전문 업체를 통해 세척·소독해 지급하는 프로세스를 업계 최초로 수립했고 용품에 바코드를 부착해 세척·소독 시기까지 추적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는 설명이다.

쿠팡은 앞으로도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여러 방법을 고안하고 적용하는 등 안전의 고삐를 더 바짝 죌 예정이다. 이를 위해 연내 1500억원이 넘는 안전비용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쿠팡 관계자는 “코로나19 초기 대응부터 쌓아 온 경험으로 방역 활동을 보다 체계화·자동화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실제 현장에서 면밀히 적용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안전감시단을 통해 방역 지침 이행 여부를 계속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enyou@hankyung.com

[본 기사는 한경비즈니스 제 1286호(2020.07.18 ~ 2020.07.24)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