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DI를 GNI로 나누면 국민총소득 중 가계에 돌아가는 비중을 알 수 있다. 아쉽게도 이 수치는 1975년부터 쭉 하락세다. 1975년에는 77.6%에서 2013년 56.1%까지 하락했다. 경제 주체 중 가계의 실질소득은 상대적으로 증가세가 약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계 저축률을 봐도 개인의 부가 축적되는 상황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창 성장기여서 배고팠던 1970년대를 지나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들어서며 가계 순저축률은 점점 상승하다가 1990년대 말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급락한다. 소득은 증가하지만 가계에 돌아오는 비중이 낮아지고 허리띠를 졸라매고 돈을 모으고 있는 상황도 아니라는 말이다. 그러면 그 돈은 다 어디로 가는 걸까. 해답은 기업 저축률에 있다. 기업의 저축률은 꾸준히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국민소득 중에서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졌지만 돈을 풀지 않고 주머니에 꿰차고 있다는 뜻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나섰다.
정부는 작년에 기업의 배당과 투자를 장려하는 의미에서 사내 유보금에 과세하는 기업소득환류세제를 도입했다. 가계로서는 기업이 세금을 더 내기보다 주주들에게 배당을 확대하거나 설비투자에 돈을 푸는 편이 직접적으로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정부의 바람대로 올해는 배당성향과 투자 확대를 기대해 본다. 이미 작년 연말부터 그 기대는 일정 부분 현실화되고 있는 느낌이다. 앞으로 더 가속화되길 진심으로 바란다.
곽현수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