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사의 성차별도 바탕 따지고 보면 근육노동 의존 때문
아마도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차별은 남녀의 성에 따른 차별일 것이다. 다행히 현대 들어 그 차별은 많이 사라졌다. 적어도 법리적으로나 선언적으로는 평등하다. 하지만 여전히 차별은 존재한다. ‘차이’와 ‘차별’은 분명 다르다. 그런데도 차이를 근거로 차별을 정의하려는 모자란 남성들이 존재한다. 이른바 ‘마초’들만 그런 게 아니다. 심지어 페미니스트를 자처하는 남성들에게서도 그런 사고의 편향성이 보인다. 사회학자 거더 러너(Gerda Lerner)는 “차이를 근거로 어느 한쪽이 다른 한쪽에 열등감을 주입하고 반복 학습함으로써 차별이 생겨난다”고 지적했다.고대사회에서 생존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전쟁과 노동이었을 것이다. 당연히 근육이 발달한 남성들이 맡을 일이다. 그런데 점차 그 일이 중요해지면서 남성들이 권력을 독점하기 시작했다. 여기서부터 남녀 차별도 생겼을 것이다. 심지어 ‘성경’의 창세기에도 ‘남자의 갈비뼈 하나를 뽑아 여자를 만들었다’고 기록돼 있다. 남성의 우월성과 우선권을 갖는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창세기를 남성이 썼다는 것 말고는 아무 의미도 없다는 사실은 외면한다. 실제로 구약성서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길가메시 서사시’에는 남녀가 함께 창조된 것으로 서술돼 있다.
남녀의 외도는 정말 다를까
중세와 근세에도 근육 의존적 노동 유형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 기계가 인간의 근육노동을 현저하게 줄이면서 여성도 공장에 나가 일할 수 있게 됐고 임금을 벌 수 있었다. 현대에 이르러선 노동과 생활이 완전히 변했다. 컴퓨터를 중심으로 하면서 근육노동 의존도가 거의 지워진 것이다. 그런데도 머릿속에는 여전히 예전의 의식이 남아 있다. 어리석은 남자들의 생각이다.
도대체 언제까지 남자와 여자는 서로 평행선을 달려야 할까.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는 과연 지구라는 별에서 만날 수 있을까. 그 불일치는 때로는 차이로 때로는 차별이라는 왜곡의 악습으로 나타난다. 일부에선 이런 말까지 서슴없이 내뱉는다. ‘남자는 바람이 나도 가정을 지키지만 여자는 바람이 나면 가정을 버린다’고…. 과연 그럴까. 현상 자체로만 보면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왜 그런 현상이 생기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면 실체는 분명히 드러난다.
남자는 가정을 소중하게 여겨 외도해도 가정을 버리지 않는 걸까. 이런 생각이야말로 편견일 뿐이다. 자신의 가정을 소중히 여기기는 누구나 마찬가지다. 오히려 남자들보다 온갖 열과 성을 다하고 사랑을 쏟아 내는 여자들이 자기 가정을 더 소중히 생각하게 마련이다. 때로는 배우자의 외도를 보고도 체념하듯 받아들이는 이가 많은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그런데 따지고 보면 진짜 이유가 있다.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남자들이 경제적인 책무를 담당했다. 여자들에게는 사회적 활동과 경제적 소득의 기회가 거의 주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이혼한 여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오해로 자칫 도덕적 비난까지 스스럼없이 가하는 풍토에선 배우자의 부정에도 불구하고 남편을 받아들이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만일 배우자에게서 존중감이나 만족감을 전혀 얻지 못하는 경우라면 어떨까. 남편에게서 불만족과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