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신흥국에 불던 글로벌 훈풍이 역풍이 됐다.
더 중요한 건 지난 10년 동안 신흥국들이 경제 체질 개선을 게을리 해 사실상 ‘잃어버린 10년’을 보냈다는 점이다.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콘퍼런스에서)



선진국과 달리 한국은 오랜 저금리 속에서 가계 부채 팽창이 계속됐다. 금리 정상화 과정에서 거품이 꺼질 수 있다.

박종규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인터뷰에서)



미국 기업들은 이제 아무것도 하지 않는 리스크가 변화와 투자에 따른 리스크보다 더 크다고 여기고 있다.

짐 모팻 딜로이트컨설팅 회장(콘퍼런스에서)



공무원 처우가 좋지 않아 퇴임 후 좋은 자리로 보상해 줘야 한다는 것은 20년 전 얘기다.

김태윤 한양대 행정학과 교수(인터뷰에서)



커브드 TV는 멋진 디자인을 갖추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통상 이런 부분에 매료돼 많은 돈을 내지는 않을 것이다.

폴 그레이 디스플레이리서치 이사(인터뷰에서)



공직자윤리법이 공직자의 윤리를 확보하는 법이 아니라 공직자의 퇴직 후 취업을 안전하게 보장하는 법으로 전락한 건 아닌지 모르겠다.

윤태범 방송통신대 행정학과 교수



Weekly OPENSURVEY 정부의 관피아 척결 의지, 국민 절반이 불신
[ISSUE&TOPIC] 이 주의 명언 & 그래픽 뉴스
이번 세월호 참사의 근본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것이 ‘관피아’다. ‘관료+마피아’의 합성어로 현직 관료와 퇴직 관료 사이에서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형성된 은밀한 커넥션을 말한다. 국민들은 관피아 척결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공무원 및 공공기관 관련 각종 비리, 외압 행위 등에 대한 처벌 강화(28.8%)’를 꼽았다. ‘비정상적인 관행, 봐 주기식 행정 문화의 척결(26.8%)’과 ‘퇴직 후 관련 유관 기관 재취업 제한 등을 법으로 엄격하게 규제(26.2%)’가 뒤를 이었다. 한편 4월 29일 박근혜 대통령의 관피아 척결 의지에 대해선 국민의 절반이 ‘성과가 없을 것(49.6%)’이라며 불신을 드러냈고 특히 30대 남성의 부정적 의견이 많았다(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