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월 15일 광복절이 분수령
그럼에도 민주당은 이제 증인 출석 문제는 부차적인 것으로 ▷국정원의 대선 개입 의혹에 대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박근혜 대통령의 직접 사과 ▷재발 방지를 위한 국정원 개혁 등 세 가지 근본적인 요구 사항들이 실현되지 않으면 장외투쟁을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민주당은 이 같은 목표 달성을 위해 장외투쟁뿐만 아니라 원내에서도 여야 협상을 병행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장외투쟁을 대여 협상의 지렛대로 활용하는 한편 민생을 도외시한다는 비판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도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이를 함축해 “한 손에는 민주주의, 한 손에는 민생, 한 발은 광장, 한 발은 국회를 딛고 서서 반드시 국민의 힘을 모아 성과를 내겠다”고 했다.
이번 장외투쟁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서도 엇갈린 전망이 나온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번 국정조사의 핵심 증인인 원세훈·김용판마저 출석하지 않는 청문회가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며 “결국 새누리당이 진상 규명에 대한 의지가 없다는 게 명백해진 만큼 국민 여론이 민주당으로 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반면 새누리당 관계자는 “어떠한 이유에서든 민주당이 이 문제로 장외투쟁까지 하는 것은 결국 대선 불복으로 비쳐질 소지가 많다”며 “설사 국정원과 경찰의 대선 개입이 사실이었다고 할지라도 선거 결과는 달라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국민도 있다”고 반박했다.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를 위한 촛불 시위와 달리 국정원 국정조사는 먹고사는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점도 민주당에 불리하게 작용할 전망이다. 당장 새누리당은 장외투쟁에 나선 민주당에 맞서 ‘민생 탐방’ 카드로 대응하고 나섰다. 날씨도 변수다. 예년보다 길어진 장마로 자주 비가 내리거나 반대로 폭염이 계속되면 아무래도 세를 결집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민주당은 8월 15일 광복절을 이번 장외투쟁의 분수령으로 삼고 있다. 이날 국정원 국정조사의 활동 시한이 종료되는 데다 광복절 축사를 해야 할 박근혜 대통령이 어떤 방식으로든 입장 표명을 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호기 한국경제 정치부 기자 hglee@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