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사태, 물가, 동반 성장 등 지난 한 해도 경제 관련 이슈들이 많았다. 관련 정책 당국의 정책 입안자들은 서민과 중소기업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의 복잡한 실타래를 어떻게 풀어나가느냐에 따라 칭찬과 비판을 번갈아 가며 들었다.

임종룡 국무총리실장은 비교적 무난하게 문제를 해결했다는 평을 듣는다. 그는 2010년 8월까지 기획재정부 1차관으로 재직하면서 물가 잡기에 주력했다. 물가가 연초부터 급등했기 때문이다. 소비자물가는 정부와 한국은행 물가 억제 목표(4% 이내)를 훨씬 웃도는 평균 4.5%(1~11월 평균)나 올랐다. 그중 기름값은 리터당 2000원이 넘고 돼지고기와 채솟값은 20~30% 넘게 폭등하기도 했다.
[경제부처 24시]2011년 관가를 달군 인물들
과천 관가에는 물가 대책 태스크포스(TF)를 맡아 정부의 물가 관리 정책을 도맡았던 임 실장을 ‘영원한 TF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임 실장이 ‘영원한 TF장’이라면 김석동 금융위원장의 별명은 ‘영원한 대책반장’이다. 2011년 문 닫은 저축은행만 16곳이다. 저축은행 대주주들이 금융 당국의 감독과 규제가 소홀한 틈을 타 무리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을 일삼는 등 고객들의 돈을 자기 돈인 양 무분별하게 투자한 것이 원인이었다. 이 같은 부실한 저축은행 정리의 칼을 빼든 인물이 김 위원장이었다. 그동안 아무도 건드리지 못했던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이뤄냈다는 점에선 그의 능력을 다시 한 번 인정받았지만 2012년에 또 한 번의 구조조정이 남아 있기 때문에 최종적인 평가를 내리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은 ‘동반 성장’을 주창하며 대기업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MRO) 사업에 압박을 가했다. 이에 따라 한화그룹은 2011년 6월 MRO 사업에서 손을 뗐고 삼성그룹도 MRO 계열사 아이마켓코리아 지분을 인터파크에 매각했다. SK그룹은 MRO 계열사를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김 위원장의 공격적인 업무 스타일이 먹혀들어갔다고도 볼 수 있지만 기업들의 자율 의지를 너무 무시한 것 아니냐는 평도 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치권의 복지 확대와 세제 개편 주장에 맞섰다. 여야 일부 의원들은 워런 버핏 벅셔해서웨이 회장이 2011년 8월 뉴욕타임스(NYT)에 실은 기고문을 통해 연 100만 달러 이상을 버는 부자에게 세금을 더 걷자고 제안했던 이른바 ‘버핏세’ 도입을 주장하고 나섰다. 소득세 최고 세율 구간을 하나 더 신설하자는 내용이었다. 박 장관은 이 같은 버핏세 도입은 겨우 막아냈지만 2012년 총선과 대선 두 선거가 있는 만큼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다.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도 빼놓을 수 없다. “(하청업체의) 납품 단가를 깎는 것을 임직원의 성과로 인정해서는 안 된다”, “무리하게 단가를 조정하는 임직원은 해고해야 한다” 등 수많은 어록을 남기며 청와대 ‘동반 성장’ 모토에 충실한 모습을 보였다. 정유사들의 기름 공급가를 리터당 100원씩 내리게 하는 등 강력한 정책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이 와중에 관운을 올라탄 사람도 있었다. 최 전 장관 후임으로 온 홍석우 지경부 장관은 혼란스러운 경제 상황 속에서도 우리나라의 연간 수출과 수입을 합친 무역 규모가 2011년 12월 5일 사상 처음으로 1조 달러를 돌파한 현장에 있었다. 무역 1조 달러를 달성한 것은 미국·독일·중국·일본·프랑스·영국·네덜란드·이탈리아에 이어 세계 9번째다.





박신영 한국경제 경제부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