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뷰

대한민국은 지금 6월을 어떻게 맞이하고 있는가. 계절적으로 초여름, 사방에 푸른 기운이 넘치지만 한국 현대사회에서 6월의 의미는 종종 계절과 다르다. 정치 사회적으로 민감해지고 예민해지는 시기다. 격정적으로 행동할 수 있고 그에 맞서 과잉 대응도 나올 수 있다. 그런 기억 때문일까. 6월을 접하는 많은 이들의 심정은 무겁고 착잡해 보인다.일각에서는 ‘위기의 6월’이라고도 한다. 툭하면 나오는 ‘0월 위기설’과는 다르다. 위기설은 늘 외부에서 제기되곤 했는데 그런 것과도 다르다. ‘0월 위기설’은 최소한 외국 자본의 움직임을 예상한 것과 연계됐다.예를 들면 ‘0월이 되면 일본계 금융회사들이 결산을 위해 한국에 투자 자금을 회수할 것이고 한국 은행들은 매우 어려워질 것’이라는 식이다. 대부분 근거 없는 것이었다. 실제 별 탈 없이 넘어갔던 게 위기설이었다.그런데 이번 6월은 좀 다르다. 위기설이라면 위기감을 부채질하는 것이 될까봐 표현부터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는데, 이번엔 우리 내부에서 나오는 경계의 목소리다. 미리미리 조심하자는 것이기도 하고 선제 대응하지 않으면 큰 봉변을 당한다는 실제적 우려도 있다.이달, 6월이 특히 걱정스러운 것은 세 갈래 길로 다가오는 커다란 난제들 때문이다.무엇보다 핵실험에다 연일 미사일 발사를 해대는 북한 변수다. 후계 문제 때문일까. 북한은 나름대로 치밀한 각본에 따른 듯하다. 한반도에 긴장을 고조시키는 도발 행위를 쉽게 멈출 것 같지가 않다. 우리의 거듭된 경고와 세계의 우려 여론에도 불구하고 막무가내 식이다. 다행이 국내 시장에는 큰 영향이 없고 외국인 자본도 평상심도 유지해 왔다. 그러나 어떻게 상황이 변할지 단정하기 어렵다.북한 문제가 이처럼 우리 머리 위에 드리워진 가장 큰 숙제인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가 손쓸 여지가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국방과 안보 전문가들이 총력 태세를 다지고 미국과 공조를 강화하면서 북의 행동을 가급적 사전에 막되 일이 발생하면 단호히 대처하는 길 뿐이다.나라 안에서는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애도·조문 정국을 정치 발전의 계기로 승화하지 못한다는 점이 불안 요인이다. 이런 어려운 국면에서 내부의 분열상은 정말로 문제가 될 것이다. 특히 여야 정치권이 나라 안팎의 상황이 어떤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듯해 참으로 안타깝다. 제1 야당 민주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에 대해 책임 공방을 벌이고 나서면서 이 문제를 정치 쟁점화하려는 것 같다. 이 문제를 6월 임시국회의 일정과 연계하겠다는 방침을 언급한 주요 당직자들도 있었다. 야당으로서는 나름대로의 입장이 있겠지만 거리와 광장의 애도 열기를 제도적 토론 공간이자, 가장 기본적인 민의의 대의기관인 국회 안으로 수렴하지 못한다면 문제다.따라서 한나라당을 비롯한 여권의 역할이 더없이 중요해졌다. 앞서 나타난 긴 조문 행렬이 보여준 정치 사회적 의미부터 냉철하게 읽고 그 바탕에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검찰 수사에 대한 제도 개선이라든가, 문책론에도 적극 나서면서 야당과 일부 사회단체의 쇄신 요구를 지혜롭고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것이 절실할 것이다. 이는 여권이 앞으로 필요한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필수적이라고 봐야 한다.과거의 사례를 볼 때 집권 세력이 민심 수습책 모색과 개혁의 방향으로 체질 개선이나 수습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국면에서는 과감하게 앞서 실행하되 실기하지 않는 것이 늘 중요했다. 그것에 과반수 여당의 주도권 확보 여부가 달렸고 정부가 경제 살리기에 다시 매진할 수 있는 추진력도 좌우되는 사안이다.정치권에 큰 싸움의 전운이 감도는 와중에 노동계까지 가세할 태세다. 민주노총 쪽에서 6월 중 총파업을 거론하며 하투(夏鬪)를 단단히 벼르는 상황이다. 이 계획이 실행되면 6월의 소용돌이는 한층 거칠어질 수 있다.안팎곱사등이 격이다. 그것도 상당히 위중한 외우내환 상태다. 이러다가 경제 위기는 언제 극복할 것인지, 나라 발전은 어떻게 되는지 걱정이다. 우리 스스로가 위기를 만들고 증폭시킨다는 점이 안타깝고 유감스럽다.허원순·한국경제 논설위원 huhws@hankyung.com